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상 에러와 하이브리드 SC/MRC-(2/3)기법을 고려한 MC-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김원섭,박진수,Kim Won-Sub,Park Jin-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6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고 페이딩 환경 하에서 최적의 다이버시티 기법 중 하나로 알려진 하이브리드 SC/MRC(Selective Combining/Maximal Ratio Combining) (2/3) 기법을 적용하고, 각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수신 신호와 수신기 내의 PLL(Phase Locked Loop)에서 발생된 참조 신호와의 위상차를 위상 에러로 가정한 후, PLL 루프 내의 이득 값을 조정하여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가 되는 MC-DS/CDMA(Multi-Carrier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 통신 환경에 대한 채널 모델로 나카가미-m 페이딩 채널 환경을 채택하였으며, 하이브리드 SC/MRC-(2/3) 다이버시티 방식이 적용된 MC/DS-CDMA 시스템에서 고려 사항인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m), 경로의 수$(L_p),$ 하이브리드 SC/MRC-(2/3) 다이버시티 브랜치 수$(L,\;L_c),$ 사용자 수(K), 부반송파의 수(U), PLL 루프 내의 이득 값 등을 고려하여 수식을 전개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이브리드 SC/MRC-(2/3) 방식이 적용된 MC/DS-CDMA 시스템에서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PLL 루프 이득 값을 조절하여 성능의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가 되기 위해 페이딩 지수와 부반송파 확산이득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PLL 루프 이득 값이 7dB 이상 되어야 각 경로의 수신 신호가 완전 동기 된 수신 신호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MC-DS/CDMA system with input signal synchronized completely through adjustment of the gain in the PLL loop, by using the hybrid SC/MRC-(2/3) technique, which is said to one of the optimal diversity techniques under the multi-path fading environment, assuming that phase error is defined to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multi-path and the reference signal in the PLL of the receiver. Also, assuming that the regarded radio channel model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is subject to the Nakagami-m fading channel, we have developed the expressions and performed the simul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 in the MC/DS-CDMA system with the hybrid SC.MRC-(2/3) diversity method, such as the Nakagami fading index(m), $the\;number\;of\;paths\;(L_p),$ the number of hybrid SC.MRC-(2/3) $diversity\;branches\;(L,\;L_c),$ the number of users (K), the number of subcarriers (U), and the gain in the PLL loop.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ystem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properly the PLL loop in order for the MC/DS-CDMA system with the hybrid SC/MRC-(2/3) diversity method to receive a fully synchronized signal. And the value of the gain in the PLL loop should exceed 7dB in order for the system to receive the signal with prefect synchronization, even though there might be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fading index and the spread processing gain of the subcarrier.

      • KCI등재

        나카가미-m 페이딩 채널에서 부반송파 간격에 따른 MC DS-CDMA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원섭,박진수,Kim Won-Sub,Park Jin-Soo 한국전자파학회 200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5 No.12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rthogonal MC DS-CDMA system and no-overlapping MC DS-CDMA System, which were divided by the normalized spacing between adjacent subcarrier over Nakagami-m fading channel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selective paths occurring in the MC system, the Hybrid SCMRC technique was applied, which was compared with the case when the MRC technique was used. As a result of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Hybrid SC/MRC method could be replaced by the MRC method and if the number of subcarriers was increased when the given bandwidth was fixed, the interval between subcarriers increased and bigger bandwidths were required. an, the number or subcarriers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r given bandwidth. 본 논문에서는 나카가미-m 페이딩 채널에서 정규화된 부반송파의 간격에 따라 구분되는 직교 MC DS- CDMA 시스템과 오브래핑 되지 않는 MC DS-CDMA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선택 경로수를 줄이기 위하여 Hybrid SC/MRC 방식이 적용되어 MRC 방식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Hybrid SC/MRC 방식을 MRC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주어진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부반송파의 수를 증가시키면 부반송파 간격이 증가하고 필요한 대역폭이 더 많이 필요함으로 부반송파의 수는 주어진 대역폭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함을 확인하였다.

      • $2{\times}2$배열 피드혼 안테나용 모노 펄스 피드 설계

        김원섭,Kim, Won-Sub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1

        본 논문에서는 3중 모드를 형성하는 $2{\times}2$배열 피드혼 안테나용 모노 펄스 피드를 설계 제작하고 복사 특성을 고찰하였다. 단일 피드의 경우 이득은 8.25dB의 값을 가지며,. 변환부에서 공기 중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전계면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이득은 증가하고 구형 도파관과 공기 중의 반사는 저하시켰다. 급전 피드 port1과 port2는 수직으로 위치하여 개구부 혼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격리도는 -25dB이하의 특성을 만족하며 높은 주파수일수록 격리도는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port1과 port3은 수평으로 위치하여 전기장의 분포가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기장의 결합은 적게 일어나지만 자기장의 결합이 나타나기 때문에 port1과 port2와의 격리도 보다는 최저 2dB에서 최대 6dB 향상된다. port1과 port4는 구조적으로 직접 결합은 아주 적은 양만 발생하지만, port2와 port3의 영향으로 -35dB이하가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monopulse fled for three mode $2{\times}2$ array feed horn antenna was designed. Gain of single feed was 8.25dB. Increasing property of gain and rectangular waveguide and reflection of free space is decreased because it has structure extending to electric plane at connected part from transformation to free space. When fled port1 and port2 is placed vertically and thickness of aperture hem is reduced, isolation is satisfied with property of lower -25dB. Also, at higher frequency, it is confirmed that isolation is improved. Combination of electric field occurs less influence because port1 and port3 is placed horizontally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field is connected to parallel. However, because of combination of electric field, it is more improved from 2dB to 6dB than isolation of port1 and port2. Direct combination occult less effect at port1 and port4 than effect of port2 and port3, it is lower -35dB.

      • 한국 공사연금제도 협력을 위한 정보인프라 구축 방향

        김원섭,이용하,Kim, Won Sub,Lee, Yongha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18 Analyses & alternatives Vol.2 No.2

        본 연구는 공·사연금 제도의 협력 활성화의 필요성, 이를 위한 국내외 제도의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에 적합한 공사연금 협력의 정보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선진국은 최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다층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연금교육과 정보서비스는 공사연금 협력의 핵심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다층노후소득보장 체계의 틀은 갖추어졌으나 내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연금제도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정보가 연금제도의 정착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가주도형인 아일랜드과 뉴질랜드, 민관협력형인 네덜란드, 민관분화형인 스웨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공사연금 협력의 기본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연금기관 간 정보교류와 협력의 촉진, 영세사업장 등의 공동실사체계 구축, 통합연금정보 서비스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네덜란드형의 민관협력형을 참고하여 '공사연금협회'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공사연금협회는 민간기관과 공적기관이 파트너로써 구축하고, 연금제도의 정보, 교육, 홍보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통합, 관리한다. This study scrutinizes the necessity and cases of the public and pension cooperation and tries to present the way of construction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the pension systems suitable for Korea.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while pens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ension cooperation. The frame of the multi-pillar-pension system in Korea has already been constructed, but it is not substantial. Especially bad information on the pension system has seriously hindered the consolidation of the pension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analyzed cases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s in Iceland, New Zealand, Netherlands, and Sweden. In order to build a basic infrastructure for construction pension cooper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promot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pension organizations and to improve the pension portal of NPS 'My Pens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n association of private and public pension schemes, which manages the integr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pension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국민연금 조기노령연금제도와 연기연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감액률과 증액률을 중심으로

        김원섭 ( Kim Won Sub ),한정림 ( Han Jung Lim ),정해식 ( Jung Hae Si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근로유인 제고의 관점에서 조기노령연금제도와 연기연금제도를 양 제도에 각각 적용되고 있는 감액률과 증액률의 적용방식과 수준을 바탕으로 검토하고, 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외국의 급여 감액 제도와 증액 제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연금제도가 조기노령연금의 수급요건은 관대하게 적용하면서 연기연금의 수급요건에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다음으로 연금수급시점에 따른 국민연금의 공정 감액률과 공정 증액률을 보험수리상의 중립방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계산 결과 국민연금의 조기수급에 대한 공정 감액률은 6.5~5.9% 정도이고, 연기수급에 대한 공정 증액률은 6.5~6.1%이다. 이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현행 감액률인 연 6%는 거의 공정 감액률에 근접해 있지만, 현행 증 액률인 6%는 공정 증액률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조기노령연금에 적용되는 감액률을 수급시점별로 유연화하는 방식을 개선대안으로 제안하였다. 반면 연기연금 증액률의 적용은 보다 적극적인 제도개선 이 필요한데, 적용요건을 완화하여 포괄범위를 확대하고 증액률도 공정 증액률에 정책 적 요소들까지 고려하여 7.2%로 상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제안된 국민연금 감액률과 증액률 제도의 개선안으로 감당할 만한 추가적 재정소요로 근로유인 과 노후소득보장 수준이 강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early retirement pension and the deferred pension concerning the level and application of the rate of reduction and the rate of increment. This study analysed firstly reforms of the benefit reduction and increase according to retirement timing in pension systems of OECD countries.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loose conditions for the early retirement and the strict conditions for referring pension provision. As next, this study calculated the actuarially neutral reduction rate and increment rate of the National Pension Scheme. According to calculation the actuarially neutral reduction rate lies between 5.9~6.5% and the actuarially neutral increment rate between 6.1% and 6.5%. It shows, that the current reduction rate in NPS is almost close to actuarially neural rate, but the increment rate is slightly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ctuarially neutral rate.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the application of the reduction rate should be flexiblized in the early retirement pension. In the deferred pension, it is desired that the increment rate should be increased to 7.2%, considering the policy goal of the promoting work incentive. With this proposed policy improvement,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work incentive and old age income security on the affordable additional financial burden.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개인연금 가입과 납부액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원섭 ( Won Sub Kim ),이용하 ( Yong Ha Lee ),김치완 ( Chi Wan Kim ),강성호 ( Sung Ho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4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제도적 요인, 특히 보장성보험이 개인연금의 가입과 납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국재정패널조사 1~6차 자료를 바탕으로 패널로짓모형과 패널토빗모형을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공적연금과 개인연금의 보완적관계를 재확인해 주었다. 또한 보장성보험의 가입이, 실시된 모든 분석모형에서 개인연금(연금저축과 연금보험)에 가입할 확률을 높이고 급여액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장성보험과 개인연금의 관계가 상호대체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 in particular coverage insurance on coverage and savings of the personal pension. This study, based on the Korean Financial Panel Survey (1-6 wave), carried out the empirical analysis utilizing Panel Logit and Panel Tobit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affirm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he public pension schemes and the personal pension. Also, it shows that joining coverage insurance increases the probability to join the personal pension (pension savings scheme and pension insurance scheme) on all of the analysis model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coverage insurance and the personal pension is not mutually substitutional but mutually complementary.

      • KCI등재후보

        다중맥락사회에서 사회 통합과 공공성

        김원섭 ( Won Sub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2 한국사회 Vol.13 No.1

        이글은 루만의 현대사회 이론에서 공공성 목표의 달성이 왜 가능하지 않는 지에 대한 근거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 결과에 따르면, 루만이 현대 사회를 다수의 독립적이고 자기폐쇄적인 부분 기능 체계로 구성된 다중맥락사회로 파악한다. 이 사회 형태에 사회 통합의 문제는 부분 체계로의 개인의 포괄 문제로 전환되었다. 또한 후기에 와서 루만은 다중맥락사회에서 배제 문제가 구조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공공성 실현의 전략 측면에서 루만은 정치 체계의 개입은 사회를 구성하는 자기준거적 체계의 상호폐쇄성 때문에 더 이상 효과가 없을 것으로 진단하였다. 이에 따라 루만은 공공성 실현을 위한 복지영역으로 두 가지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공공영역으로 복지영역은 정치적 포광을 위해 정치 체계의 부분 영역으로 구출될 수 있다. 둘째, 복지영역은 대리 포괄을 위해 이차적 분화 형태인 사회사업 체계의 구축에 의해 보조된다. 이러한 루만의 사회 통합 이론은 지나친 조종 회의주의로 이론적, 형험적으로 수용되기 어별고 자유주의적인 국가와 친화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만의 포괄과 이차적 분화의 개념은 복지국가 이론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critically, why in the modern social theory of Niklas Luhmann it is impossible for the political system to achieve the social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study, Luhmann regards the modern society as the Multi-Center-Society, which is composed of a number of independent and self-closing functional systems. In this society form the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is converted to the problem of inclusion of individuals in the subsystems. The late Luhmann points out, that also in the Multi-Center-Society the exclusion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society and, therefore, leads to serious social problems.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Luhmann diagnoses however, that the strategic intervention of the political system would not be effective because of the system`s self-closure. Accordingly, for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Luhmann presents two forms of the welfare sector. First, the welfare sector as public sector can be constructed as the part area of the political system. Second, the welfare sector is complemented by the system of the social worker, which is constructed as form of independent social system resulted from the secondary differentiation. Luhmann is criticized that his regulation skepticism is hard to be accepted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nd closes to the idea of the liberal st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