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수업 태도, 분위기, 만족도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김용석 ( Kim¸ Yongse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4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 또한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성장을 예측·분석하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4년도(중학교 2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별 수학수업 태도, 분위기, 만족도의 변화양상과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1456명, 68.3%)과 2그룹(677명, 31.7%)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수학수업 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수업 태도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룹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2그룹의 학생들은 1그룹의 학생들보다 수학수업 태도, 분위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수업 태도와 분위기, 만족도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변화의 폭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nfluences of those factors are also complex. Sinc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longitudinal studies to predict and analyze the growth of learners are needed. This study uses longitudinal data from 2014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 (seco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 and divides it into 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patterns of change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and direct influence of mood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first group (1456 students, 68.3%) including the majority of students and the second group (677 students) of the top 31.7%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mathematics class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mood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e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class attitude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oup. In addition, students in group 2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showed higher mathematics class attitude, mood,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ttitude, atmosphere,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es were found to change continuously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nd the extent of the change was small.

      • KCI등재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기후지대 변화 연구

        김용석,심교문,정명표,최인태,강기경,Kim, Yongseok,Shim, Kyo-Moon,Jung, Myung-Pyo,Choi, In-Tae,Kang, Ki-Keong 한국농림기상학회 201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9 No.2

        In this study, we were carried out the classification of Korea's climate zone.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Warmth Index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 and we have predicted how the climate zone will be changed during the 21st century. Especially,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the world. The climate data used monthly climate normal data (1981-2010) and future climate data (2051-2060 and 2091-2100) by considering RCP 8.5 scenarios, which was made from geospatial climate models at 1km grid cell estimated. In conclusion, the temperature will rise steadily and the climate zone will be simplified in the future as a result.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라오를 바탕으로 온량지수와 쾨펜의 기후구분을 통한 우리나라의 기후지대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온량지수에 의한 기후지대를 구분하였을 경우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기온이 증가하여 전국적으로 난온대의 기후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쾨펜의 기후지대 구분에서는 기온의 꾸준한 증가와 강수량의 연중 빈도 차이에 의해 Cfa와 Cwa의 기후특성이 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기계학습법을 이용한 서리 발생 구분 추정 연구

        김용석,심교문,정명표,최인태,Kim, Yongseok,Shim, Kyo-Moon,Jung, Myung-Pyo,Choi, In-tae 한국농림기상학회 201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예보자료를 이용할 것을 전제로 서리가 발생하는 날과 서리가 발생하지 않는 날을 구분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서리가 발생한 날과 서리가 발생하지 않은 날을 구분할 수 있는 기상인자로서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상대습도, 평균이슬점온도로 나타났다. 기상인자별로 두 날을 비교한 결과 서리가 발생한 날이 서리가 발생하지 않은 날에 비해 최저기온, 이슬점온도, 평균풍속은 낮게 나타났고 상대습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기상인자로 인공신경망, 랜덤포레스트, 서포트벡터 머신의 기계학습법을 이용한 모형을 연구한 결과 70%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내어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model to classify frost occurrence and frost free day was developed using the digital weather forecast dat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minimum temperature, average wind speed, relative humidity, and dew point temperature were identified as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useful for classification frost occurrence and frost-free days. It was found that frost-occurrence date tended to have relatively low values of the minimum temperature, dew point temperature, and average wind speed.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humidity on frost-free days was higher than on frost-occurrence dates. Models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s includ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Random Forest(RF), Support Vector Machine(SVM) with those meteorological factors had >70% of accuracy.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models would be useful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frost using a digital weather forecast data.

      • KCI등재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용석(Kim, Yongseok),이종호(Lee, Jongho),신수경(Shin, Sookyung),김용묵(Kim, Yongmug),송승연(Song, Seungyeon),이경진(Lee, Kyoungjin),김소연(Kim, Soyeon),김상우(Kim, Sangw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다수의 중독 클라이언트가 강요에 의해서 치료에 참여하기 때문에 강요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가 경험했던 강요에 대해서 연구된 바는 없다. 강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강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지각된 강요 척도(PCQ)는 치료 강요에 대한 중독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지각을 측정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강요의 출처를 측정해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중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각된 강요 척도의 한국어판을 개발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17명의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에 대한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는 영어판 척도처럼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결과도 양호하였다. 이는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를 구성하는 6개 하위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은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였고 각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하는 정도가 양호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개발은 중독 클라이언트가 인지하는 강요를 측정 가능하게 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many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enter treatment by coerc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coercion in treatment entry process. However, studies on coercion have been very scarce. The reason for the lack of research on coercion may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proper instruments measuring the construct.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is an instrument not only to measure individuals’ perception of coercion but also measuring various sources of coerc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PCQ). A total of 217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atisfac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like its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6 factors (self, family, legal, finance, health, work).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would contribute to conducting scientific studies on coercion.

      • KCI등재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 · 위험요인 척도 개발

        김용석(Kim, Yongse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도박문제와 관련 있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하는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청소년 도박문제 및 문제행동 관련 국내외 문헌 분석, 기존 척도 분석, 도박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주변인 대상 심층면접 등을 실시하여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총 1,536명의 청소년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보호요인 6개와 위험요인 6개가 도출되었다. 이들 12개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그러나 타당도 평가에서 위험요인 중 1개 요인이 일부 보호요인들과 예상과는 다른 관계를 보였고, 보호요인 6개 중 4개가 도박문제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는 7개 요인(보호요인 2개, 위험요인 5개)과 3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로 결정되었다. 후속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외된 보호요인들을 재평가하고 보호요인을 추가 발굴하여 청소년 도박문제 보호・위험요인 척도의 완성도를 높여주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 risk and protective factor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cluding gambling, the review on existing similar scales, an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teachers, and social workers. A total of 1,536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ix risk factors and six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all the 12 subscales show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However, 4 protective factors and 1 risk factor did not have satisfactory validities. The final risk and protective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is composed of 2 protective factors and 4 risk factors with 35 items. It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identify more protective factors in order to make the scale more complete.

      • 새로운 도시부 도로 구분

        김용석(KIM, Yongseok)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3 No.-

        도시부 도로는 자동차 이용자뿐만 아니라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등 다양한 이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며, 도시를 형성하 는 공간의 일부라는 중요한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도시부 도로 구분은 자동차 이동 안전에 중심을 둔 지방부 도로 설계 기준과 크게 차별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도로 이용자에게 균형 있는 통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로를 도시 생활공간의 일부로 그 기능을 확장하여 문화, 정보교류, 휴식, 이벤트 관람이라는 장소로써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방부 도로와 차별화된 도로 유형구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외 도시 도로구분 방법 등을 살펴보고, 도시 도로 유형 구분 방안을 새롭게 제안 하였다. 향후 연구는 제안된 도로 유형이 설계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다양한 이용자 및 도시공간의 일부로써의 도시 도로 기능이 완 전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

        김용석 ( Kim Yongse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初等 數學敎育 Vol.25 No.1

        Recently, as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s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the active construction of knowledge of learn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ccordingly, classes using mathematical modeling are receiving atten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teachers 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to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mathematical modeling was examined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we looked at how positive experiences of mathematical modeling change their perce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very little experience in mathematical modeling during their school day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when a theoretical class on mathematical modeling was conducted, rather than when the experience of mathematical modeling was actually sh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he course of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내·외적요인의 관계 및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용석 ( Kim Yongseok ),한선영 ( Han Sun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3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그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 또한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3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내적요인(자아개념, 자기통제,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 외적요인(학교풍토, 자녀에 대한 보호 자의 관심, 보호자의 학습조력)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내·외적요인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 펴보았다. 수학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 때는 소폭 하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요인인 자아개념과 자기통제는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는 소폭 떨어지다가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소폭 증가하고 고등학교 2학년에는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기간 동안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요인 중 학교풍토는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는 소폭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 에는 그 값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은 중학교 1학년 때의 값이 고등학교 2학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학습조력은 중학교 1학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임의 기울기 모델(Random Slope Model)을 시행한 결과 내적요인인 자아개념 및 자기통제, 그리고 외적요인인 학교풍토가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tilized longitudinal data from the 2013 year (Secondary Middle School) to 2017 year (Secondary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Termination Study.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and the piecewise growth model,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ternal factors(self-concept, self-control, self-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nd external factors(school climate, guardians) as students' grades increased, and examined whether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 the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e examined whethe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remained unchanged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steadily increased from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then decreased slightly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ad little change. It has been found that self-concept, self-control as internal factors, and school climate as external factors influence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용석 ( Kim Yongse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1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특성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성장을 예측·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중학교 1학년(2013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2017년)까지의 중·고등학교 학생자료를 사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양상이 유사한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전문성,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상위인 1그룹(343명, 14.5%) 수학교사의 특성(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은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위의 3그룹(745명, 32.2%)은 수학교사의 학업적 피드백, 하위 53%의 2그룹(1225명)은 수학교사의 기대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의 특성과 성향에 따라서도 교사의 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다르므로 교수·학습의 지원도 이러한 점을 반영해야함을 시사해준다.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at affec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affecting mathematics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data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seco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SELS). By classify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to similar subgroup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characteristics(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cademic feedback) perceived by student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eachers(professional performance, expectation, and academic feedback) in group 1(343 students), which included the top 14.5% of students, did not directly affect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the middle 2nd group(745, 32.2%) had academic feedback from the mathematics teacher, and the 2nd group(1225 students) in the lower 53%, which included most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mathematics teacher were the longitudinal mathematics achievement. The change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a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academic feedback on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s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