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 구룡사 소통(疎筒)의 수종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김요정,박원규 한국가구학회 2014 한국가구학회지 Vol.25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pecies of a wooden container forwritten prayers, Sotong, from Guryongsa Temple in Wonju, which is currently stored in theMuseum of Woljeongsa, and to date it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It wasmade exclusively of basswood, Tilia spp.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ringsresulted in A.D. 1670 to 1691 (± 2σ)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Guryongsa Sotong’ as the late 17thor early 18thcentury, which became a first date on ‘Sotong’in Korea.

      • KCI등재

        연륜연대법을 이용한 목공예품의 과학적 편년 해석-조선후기와 근대의 사례연구

        김요정,박원규 한국미술사학회 2005 美術史學硏究 Vol.- No.246·247

        The chronicles of Korean woodcraft works including furniture and other artifacts have been usually set up on the basis of their styles or patterns. The classification of them based on the styles are largely approximate such as "early Joseon" or "late Joseon" periods. Tree-ring chronology can be useful in scientifically dating historic buildings or woodcraft works by matching them with me chronologies of living trees. Because living trees span only 200-300 years, old woods obtained from buildings and woodcrafts can be used to develop long-term chronologies. Tree-ring chronology means the plot of ring widths The master or standard chronology represents any one absolutely dated by me chronology of living trees. Tree-ring dating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me cutting dates of logs or woods. There exists no error in tree-ring dating. It can produce even seasonal resolution.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tend our tree-ring dating applications to Korean woodcrafts. As a case study, we examined two kitchen boards (KB1, KB2), three pieces of furniture (FN1, FN2, FN3), two mask panels for the funeral bier (MP1, MP2), and a fish-shaped drum (FD1). Only pine woods, whose tree-ring database were well established, were considered. The outermost rings of KB1 and KB2 were dated as AD 1931 and AD 1899, respectively. Due to the presence of bark in KB1 and KB2, the above dates denote cutting years. The localities of KB1 and KBⅡ were also identified by tree-ring patterns as around Daegwallyeong and Hangyeryeong in Gangwon Province, respectively. Since all the furniture did not possess any bark, so uncertainties or errors as much as 20 years should be added to the calendar years of outmost rings in order to obtain cutting dates. Gyeongsang Bandaji (FN2), Gyeonggi Bandaji (FN1) and Gangwon Bandaji (FN3) were dated as AD 1859±10, AD 1869±10 and AD 1930±10, respectively. The locality of FN3 was proved by tree rings, too. Tree ring patterns of drawers in FN3 indicated that the leg part of FN3 were added after the original manufacturing of FN3. The outmost ring of MP1 were dated to 1955, that was assigned as cutting date owing to the presence of bark. The outmost ring of MP2 were dated to 1894, which produced only terminus post quem because of the absence of bark. Tree-ring dating indicated that MP2 was about 50 years older. The calender year of FD1's outmost ring was 1824. This date seemed to be close to cutting date due to the shape of ring boundary.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ree-ring dating should be a useful and accurate method to identify the critical dates for the chronicles of Korean woodcrafts such as furniture and other wooden objects. A high-resolution non-destructive measuring method such as CT (computerized tomograghy) should be employed for better quality of dating. Tree-ring data of oaks and zelkova trees are necessary to enhance dating samples. 목가구를 비롯한 목공예품의 편년은 대부분 양식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양식에 의한 편년은 조선 전기, 중기, 후기 등으로 단순하게 구분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연륜연대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목공예품의 연대를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가구를 비록한 전통 목공예품의 편년확립에 신기원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연륜연대법의 원리는 나무의 생장이 환경, 특히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마치 指紋과 같이 시대별로 독특하게 나타난 연륜패턴을 한 지역에 자라는 수목들이 공유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무의 수령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200-300년 이상의 연륜연대기를 현생목으로부터는 얻을 수 없다. 현생목 이전 시대의 것은 고건축물이나 유물로부터 작성되는 연륜패턴을 현생수목의 것과 비교하여 연결함으로써 장기간의 연륜패턴圖를 만들 수 있다. ‘연륜연대기’라 불리는 연륜패턴圖는 나이테의 폭을 그래프로 작성하게 된다. 연대를 모르는 미지의 목재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나이테의 너비를 측정하여 만들어진 곡선(표본연대기)을 이미 절대연대가 부여된 마스터연대기 곡선과 비교하여, 미지 시료의 연대 특히 수피를 포함하고 있는 시료의 마지막 나이테의 연도 즉, 별채연도를 알아냄으로써 제작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건축 편년연구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연륜연대법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목공예품에 확대 적용하고자 떡판 2점, 가구 3점, 상여용수판 2점, 목어 1점 등 총 8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떡판 Ⅰ, Ⅱ의 경우 마지막 연륜의 생육연도가 1931년과 1899년으로 부여되었으며 모두 수피 부분이 존재하고 마지막 연륜의 추재가 완전히 형성되었기 때문에 벌채 시기는 떡판Ⅰ은 1931년 겨울부터 1932년 봄 사이, 떡판 Ⅱ는 1899년 겨울부터 1900년 봄 사이로 밝혀졌다. 벌채 후 건조기간을 고려하더라도 떡판Ⅱ가 떡판Ⅰ보다 30년 정도 앞서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목재의 생육지 즉 생산지도 연륜연대 패턴일치도로 떡판Ⅰ은 대관령 지역, 떡판Ⅱ는 한계령 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가구의 경우 모두 수피가 존재하지 않아 벌채연도 산정에서는 20년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선후 관계는 알아낼 수 있었다. 경상도 반닫이와 경기도 반닫이의 별채연도가 각각 1859±10년, 1869±10년으로 산정되어 19세기 중후반의 가구로 밝혀졌으며 강원도 반닫이는 1930년±10년으로 가장 시대가 떨어지는 것으로 감정되었다. 건청궁이라는 火印이 찍힌 경기도 반닫이의 경우 목재의 산지가 2곳 이상으로 보여 궁궐 가구의 경우 다수의 산지에서 集送된 원자재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반닫이의 경우 그 산지가 설악산으로 추정되었으며 다리부분이 후대에 추가된 것이 연륜연대로 검증되었다. 경상도 반닫이의 경우는 산지를 알 수 없는 표준 연륜연대기인 P2연대기와 일치하여 가구의 양식으로 P2 연륜연대기의 산지가 경상도일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상여용수판인 귀면의 경우도 선후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용의 모양을 조각한 귀면 Ⅰ은 벌채연도가 1955년로 산정되었으며, 두 마리의 용두가 귀면 윗부분에 부착된 귀면 Ⅱ은 벌채연도가 1894년 직후로 귀면 Ⅰ보다 최소 50년 이상 시대가 앞선 것으로 밝혀졌다. 木魚의 경우 벌채연도가 수피가 명확히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연륜의 진행 상...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화순 쌍봉사 극락전 아미타불 연화좌대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김요정,손병화,오정애,조태건,최선일,박원규 한국가구학회 2012 한국가구학회지 Vol.2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Lotus Pedestal of the Amitabha Statue at Ssangbong-Temple in Hwasun. The six wood blocks used for the Lotus Pedestal were hard pines (Pinus spp.; diploxilon) except one piece which was ginkgo (Ginkgo biloba L.). The lotus leaves surrounding the pedestal body were also made of ginkgo. Tree-ring patterns of 3 blocks were synchronized and a 133 years chronology was made. The chronology was crossdated well with the master chronology of Japanese red pine in South Korea. It dated back to A. D. 1551∼1683, i.e. the last ring dated A. D. 1683.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apwood rings removed during carving, the felling year was calculated A. D. 1704 ± 10. The calligraphic writing on the Pedestal indicated that this statue was made in A. D. 1694.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tree-ring dating has been proven.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소장 목가구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김요정,이광희,오정애,수철 한국가구학회 2014 한국가구학회지 Vol.25 No.4

        We present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wooden furnitures in NationalMuseum of Korea. Six of fou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Rice Chest (구 2225) was dated A.D. 1805 +. Others dated were Rice Chest (신수 9479; A.D. 1819), Rice Chest (신수 9475; A.D. 1826 ± 10), Ganghwa-Chest with a flap door (구 2341; A.D. 1842 ± 10), Ganghwa-Chest with a flap door (구 3124; A.D. 1859 ± 10), Chest with a flap door (신수 15731; A.D. 1865 ± 10).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Rice Chest (신수 9479) was the earliest piece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National Museum.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 < 구두-B-08 > 연륜연대로 밝히는 고성 옥천사 목조나한상의 제작시기

        김요정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경남 고성 옥천사 목조나한상은 원목을 그대로 사용한 일목조각상이다. 나한상은 16나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옥천사의 나한은 1988년 1월 30일 16존 중 7존을 도난당했다. 2014년 이후 4존이 회수되었으며 2017년에는 미국 경매시장에 나온 1존이 다행히 회수된 바 있다. 조성발원문이 발견되지 않아 조성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단지 작가(색난)의 지역(전라도) 활동시기를 근거로 1680년부터 1710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정확한 제작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연륜연대측정법을 실시하였다. 연륜연대분석에 적합한 나한 4존을 선택하여 연륜을 채취하였다. 연륜연대분석법을 적용하려면 대상유물에 포함된 연륜의 수가 50개 이상 되어야 한다. 연륜채취는 바닥에 드러나 있는 횡단면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나한으로부터 측정 가능한 연륜의 수는 49개, 57개, 59개, 68개였다. 연륜패턴은 모두 동시대로 일치하여 72년간의 옥천사나한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다. 대표연륜연대기와의 비교결과 마지막 연륜에 1706년이 부여되었다. 마지막 연륜은 수피부에 해당하였으며 만재가 형성되어있었다. 이로써 1706년 늦가을에서 1707년 초봄사이에 벌채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나한상의 제작시기는 1707년임이 밝혀졌다. 불상제작을 위한 목재의 건조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완주 대원사 명부전 불상과 고흥 능가사 응진전 불상의 복장연대와 연륜연대 비교연구를 통해 벌채 후 바로 제작하였음이 증명된 바 있다.

      • KCI등재후보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 측정: 뒤주의 사례연구

        김요정,수철,박원규 한국가구학회 2007 한국가구학회지 Vol.18 No.3

        Tree-ring dating can be used to date scientifically prehistoric timbers, historical buildings or woodcrafts. It can give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 pa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ree-ring dating to three rice chests, whose dates of manufacturing are unknown. According to the shape of frame, we assumed that they should be made in Cholla Province. The last rings of the woods of three rice chests were dated A.D. 1830, A.D. 1870 and A.D. 1901, respectively. Tree-ring patterns indicated that two of them were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