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 연구

        김예원 ( Kim Yea Wom ),정현선 ( Chung Hyu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색채는 빛이고 파장이며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의 심리 현상을 일으키는 자극원으로 인체에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을 준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행복과 높은 삶의 질과 같은 질적 성장을 중시하는 사회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개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행복을 이끄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 중 자아 존중감은 환경 적응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심리 특성으로 여겨지며, 인간의 심리와 정신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무엇보다 정서와 행동, 인지과정이 한 개인에 밀접한 관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구조와 경제위기로 인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20-30대 밀레니얼 세대의 1인 가구의 행복한 주거 생활 영위를 위해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색채 선호 및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감성 색채 전략 체계 및 이론적 요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에서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주거 공간에 대한 색채로 White와 중명도 중채도의 Y, G, B 등의 색상을 선호했고, 자아존중감이 보통인 응답자는 중명도 중채도의 Y, G, B의 1차색 이외에도 RP, PB, YR 등 2차색에 대한 선호가 동일하게 두드러졌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 보다 공간의 각 요소별 무채색에 대한 선호가 훨씬 높았다. 자아 존중감이 낮은 응답자는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에 적용되는 색채에서 벗어난 원색 계열이 선택되어 자아존중감 정도에 따라 색채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주거 공간을 활용한 마케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보의 활성화를 통해 색채 적용이 가능해지고, 자존감의 정도와 주거 공간 색채와의 연계성을 찾아 청년 1인가구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 감성 색채를 활용하고자 기대한다. Colors are light, a wavelength and also have energy. It is also a stimulant source that invokes a person's psychological phenomenon, invigorating the body and helping to maintain emotional stability. In modern society, a mega-trend is mainly focused on increased quality of life in terms of individual happiness and standard of living, and ‘individual happiness’ in particular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mong the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hat lead to human happiness, self-esteem is considered a trait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in th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Additionally,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not only human psychology but mental health and furthermore, deeply involved in emotions, activities and the cognitive process. From i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elf-esteem of one-person-households among the Millennials, paying attention to the happiness in their residence under such a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uncertain economy. In addition, the paper conducts a study of color preference and residential space color preference to build an effective emotional color strategy and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based on self-este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spondents of high self-esteem are attracted to the color white and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Y, G, B for their residence, while those of average self-esteem show an inclination towards primary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of Y, G, B as well as secondary colors of RP, PB and YR. Also, when compared to high self-esteem persons, they tend to highly prefer achromatic colors in their residential space. The respondents of low self-esteem show their preference for primary colors, which are not generally used when it comes to resid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results in meaningful differences as to color preference. With theser esults, we hope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conducted to set up a marketing infrastructure for the Millennials and also produc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color applications and create efficient color value.

      • KCI등재

        중고령층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예원(Ye Won Kim),한세미(Semi Han),기성(Ki Sung Kim)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3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위기와 기회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령화에 의해 증가하는 보건의료 수요 및 지출과 관련된 변화에의 대응이 필요하며, 최근 다양한 기술이 보건의료에 융합됨에 따라 대응방안으로서 디지털헬스케어가 주목 받고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에 대한 관여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건강서비스의 주 사용자는 중고령층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중고령층의 사용의도와 이의 영향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양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중 소비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피트니스밴드로 조사 서비스를 설정하였으며, 피트니스밴드의 특성(정보품질, 디자인)과 중고령자 개인의 특성(혁신성, 자기효능감, 건강관심도)이 피트니스밴드에 대한 인식(유용성, 사용용이성)과 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모델 검증을 위하여 50대와 60대인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진행되었다. 확인적요인분석 결과 내적일관성,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모두 기준에 충족하였다. 피트니스밴드 특성과 관련된 가설 검증 결과, 정보품질이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디자인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었다. 중고령자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가설 검증 결과, 혁신성과 건강관심도는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며, 자기효능감은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가설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이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Korea is the fastest aging country in the world. Aging causes vario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particular healthcare sector. Aging leads increasing healthcare demands and expenses, and we need to handle these challenges. Nowadays, as the latest technologies converge with healthcare, digital healthcare is emerging as a solution for healthcare in the aged society. Major users of healthcare services are middle and older adults, because they have stronger health involvement than younger adults have. However, middle and older adults have not been treated as major users of digital healthcare, because there is a stereotype that older adults do not use technologie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identify the middle and older adults’ intention to use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nd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Among various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 fitness band is chosen because it is the most familiar digital healthcare device for general users. The proposed determinants are characteristics of fitness band(information quality and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older adults(innovativeness, self-esteem, and health involvement). The effect of these determinants on the perception of fitness band(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is examined.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209 respondents in their 50s and 60s were asked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s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atisfactory.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 reveal that information q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fitness band and desig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addition, innovativeness and health involvement significantly influence usage intention and self-esteem influence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final section, we discuss managerial and academic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 시각장애인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전용 배달 플랫폼 연구 및 개발

        김예원 ( Ye-won Kim ),윤지 ( Yun-ji Kim ),신예진 ( Ye-jin Shin ),이재훈 ( Jae-hun Lee ),최시은 ( Si-e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코로나19 확산 이후 온라인 주문 배달 음식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음식 배달 모바일 플랫폼이 상용화되고 있다. 기존 배달 서비스의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분석한 결과, 비시각 장애인의 관점에서만 편리성이 확보되고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기존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복잡한 UI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대상의 인터뷰와 관찰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pain point를 극복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중심의 배달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서비스 이용 과정의 간소화, 시각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UI 제공, 접근성 강화를 통해 플랫폼 구성을 차별화한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 사용자의 배달 플랫폼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장애인의 편리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서비스들이 향후 많이 개발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본 연구를 확장하여 ‘시각장애인의 키오스크 사용 관련 이슈 해결 방안’을 향후 연구 주제로 제안한다.

      • KCI등재

        정보화시대, 모바일 투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일 고찰- 민주통합당의 모바일 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김예원 ( Yea Won Kim ),송경재 ( Kyong Jae S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4

        정보화시대로의 진입은 정치과정 특히 정당정치의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후기산업화 이후 정당운영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할 수 있는 당원감소와 정당조직운영의 비민주성 문제는 정당정치에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정당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그 중에서 정당민주화와 투명성,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전자정당(e-party)은 전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고 그 적실성 역시 확인되고 있다. 본논문은 정보화시대의 정당정치에 주목하여, 당직자 및 공직후보자 선출과정에서새롭게 공개적 시민참여 방식으로 등장한 모바일 투표(mobile voting)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사례는 2012년 민주통합당의 당직자 및 공직후보자선출과정을 대상으로 모바일 투표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바일 투표는 당내 선거에서 일반 시민들의 참여는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모바일 투표가 장점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투표 도입의 목적과 운영, 표의 등가성, 기술적인 오류 등의 한계도 발견되었다. The information age brings about many interesting changes to partypolitics. Nevertheless, it has long been an open secret that the traditional partysuffers the decrease in the party members and there exist undemocratic issues inthe party system. There have been, however, active discussions about analternative to overcome the crisis that the party is facing. In fact, an electronicparty(e-party) has become a leading trend, enhancing the democratization,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traditional partie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party politics in the information age, analyz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mobile voting. The mobile voting has become an evolutionary format of a newlyemerging electronic party as a vehicle of civil participation. The researchexamines how the mobile voting affects the procedure of executive andcandidate selection in the Democratic United Party in 2012. The findings showthat there was the increas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for the party. The research, however, displays that the mobile voting has the limitedadvantages. The study also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mobile voting withrespect to the purpose of its application, its operational process, the voteequivalence, and technical errors.

      • KCI등재
      • KCI등재

        톰슨효과를 포함하는 열전히트펌프 난방 모드의 최적 동작 조건

        김예원(Kim, Ye-Weo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7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1 No.6

        The simplified modeling used to describe the energy behavior of a thermoelectric system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Thomson effect. This hypothesis is no longer valid 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s are high. As a result, it can induce significant errors in the estimation of performance, and in particular the maximum COP. The latter are generally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merit factor, determin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By integrating the Thomson effect, new expressions are defined defining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It is observed that the Thomson effect is poorly taken into account in the case of the material studied (Bi₂Te₃), when the Seebeck coefficient is assumed to be constant. It is then necessary to add to the model the dependenc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of the faces of the Seebeck coefficient. A new merit factor is thus obtained, which is no longer an intrinsic property of the material, because it also depends on the temperature.

      • 신무신론자 4인에 관한 비판

        김예원(Yewon KIM) 창조론오픈포럼 2019 창조론오픈포럼 Vol.13 No.1

        The world was shocked and frighten by 9/11 terror in the name of god. This event resulted in the growing hatred to religion and brought us lots of arguments about the abolition of religion in public. These phenomena gave birth to so called New Athe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recent movements of Atheism by the four horsemen of New Atheism; Sam Harris, Richard Dawkins, Christopher Hitchens and Daniel Dennet. To know what they assert, first we will look into their life story briefly to know who they are and then survey on their books and summarize the core of the arguments. By doing these, we will recognize how they use ‘Science and Reason’ to build their arguments and to attack religion hostile. In addition, we will fi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m which lead us to think about how to react ‘New Atheism’.

      • KCI우수등재

        감사시장에서의 경쟁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

        김예원 ( Yewon Kim ),이용규 ( Yong Gyu Lee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학연구 Vol.48 No.2

        감사시장에서의 경쟁수준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 전세계의 규제기관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이다. 규제기관들은 감사시장에 경쟁이 부재하여 감사인들이 독과점적인 위치에서 낮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우려하지만, 이런 견해에 대한 반론도 상당히 많다. 선행연구들의 발견도 혼재된 경우가 많아 구체적인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 이 주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감사시장의 경쟁수준에 대해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반응하는지를 연구하였다. 만약 감사시장의 경쟁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감사품질이 저해(향상)된다고 투자자들이 인지한다면, 회계 이익에 대한 정보가 공시되었을 때 주가가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이익반응계수(earnings response coefficient)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감사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발생한 결과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저해(향상)된다고 믿으면 이익반응계수가 감소(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매년 동일산업 내 존재하는 회계법인의 수가 많거나 허핀달 지수(Herfindahl index)가 낮은 경우 이익반응계수가 높은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발견은 경쟁이 치열해질 때 투자자들은 감사품질이 향상된다고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발견은 규제기관들이 정책수립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투자자들의 반응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Worldwide regulators have great concern on the effects of audit market competition. Specifically, they are concerned that the current audit market lacks competition among auditors and the lack of competition may lead auditors to enjoy monopolistic prices while providing low quality audit service. In contrast to this view, several studies argue that intense competition leads to an improvement in audit quality. To shed light on this controversy, this study examines how stock market investors perceive the effects of audit market competition. If investors believe that audit market competition enhances (impairs) audit quality, earnings informativeness will increase (decrease) as the level of audit market competition increases. The number of auditors and the Herfindahl index are used to compute the level of audit market competition for each year and industry. To proxy for investor reaction to accounting information, we us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Empirical results using Korean data indicate that the magnitude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increases as the level of competition in the audit market increas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vestors perceive the low level of audit market competition to cause poor audit quality, thereby discounting the credibility of reported earnings. Our finding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regulators about investors’ perception of the audit market competition.

      • 한국형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

        김예원 ( Kim Yewon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6 공익과 인권 Vol.16 No.-

        장애인이 소수자 내지 사회적 약자라는 것은 어느 정도 사회적 공감대가 있으나, 정작 현실에서는 심각한 장애인의 인권침해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 장애인복지법 개정으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기관이 왜 도입되었고 어떠한 역할을 할지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도입된 이유는 무엇이고, 도입과정은 어떠하였는지, 나아가 동 기관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실무적 논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목적을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에 장애인 권익옹호 체계가 도입된 배경은 무엇이며, 장애인 권익옹호기관의 법제화가 이 사회에 던지는 함의는 어떤 것이 있는지 동 기관의 구체적인 역할을 고려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다양한 운영방식에 대한 유형별 분석 후,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현장에서 활용될 운영방식인 위탁형 운영방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위탁형 운영방식에서 필수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업무독립성 확보 방법을 함께 검토하였다. 기타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가지는 조사권의 의미, 장애인 인권침해 사례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관리를 위한 제도 및 지원방안 등도 아울러 살펴본다. There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minorities or the weak in the society. However, many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still occur on a daily basis in reality. In this reg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dvocate Agency" (hereinafter "the agency")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evertheless, research papers about why such an agency had been introduced and what role it should play are not easily found. Thus, the aims of this paper are, first,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gency: second, to look at the whole process of introduction of the agency: and third, to examine what we could specifically do for desirable management of the agency. To achieve these aims, this article first review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r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n reviews the implication of institutionalization of such agency considering the specific role of the agency. Further, this article explores the various types of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n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ated management system, which will be the most commonly used type in the field. With regard to this, this article also examines suggested plans to ensure the independency of the work of the management system, which should essentially be assured especially in the designated system. And this article also reviews the meaning of the investigation right held by the agency and looks at the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ways to support for effective and sound supervis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