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flubenzuron이 누에의 실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영섭 ( Kim Yeong Seob ),손해룡 ( Sohn Hae Ryong ) 한국잠사학회 200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43 No.2

        DFB는 IGR계통의 약제로서 나비목 곤충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알려진 효과는, DFB 본래의 chitin합성 억제 특성이외에(Post and Vincent, 1973), DFB의 물질분비능력억제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Nakagawa et al., 1996). 또 다른 한편으로 DBF가 juvenile hormone(JH)의 길항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DFB가 누에의 발육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FB를 2.5×10^(-2)μg/μl, 2.5×10^(-3)μg/μl의 농도로 누에에 처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DFB가 누에의 실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기 위해, SEM을 이용한 미세구죠 분석 및 외부형태 변화 그리고 DFB처리에 의한 실샘의 건물중량, 수분량 등을 알아보았다. 실샘의 발육정도는 DFB의 처리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DFB의 처리시기와 처리 회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처리기간이 길수록 실샘의 건물중량은 현격히 줄었으며, 반대로 실샘의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특히 5령 1일, 3일 처리구에서 실샘의 수분함량이 80% 이상으로 증가되어 수분생리대사에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 실샘 물질의 물리성이 변하여 결국 정상적인 토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불결견잠으로 된 원인이었다. DFB를 처리한 누에 실샘의 외부 특징은 중부 실샘에 백색경화현상이 나타났으며 이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실샘의 세포막이 정상과는 달리 조밀하여 실샘 세포 내에서 합성된 견단백질이 분비가 되지 않고 실샘 내에 축적되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know the effects of diflubenzuron(DFB) on the larval silkgland development of the silkworm. Bombyxmori(L). It has been known as a prohibitor of chitin syntheses mostly on the species of the Order Lepioptera. In this work, the effecs of the DFB concentrations(2.5 ×10(-1), 2.5×10(-2), and 2.5×10(-3)ug/ul) on the various larval stag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n the silkgland. The macro-and microstructure of cell membrane of silkgland, and the differences of silkgland weight and water contents treated by DFB are also surveyed. As the tesults, the silkgland weight depended sensitively on not the DFB concentration but the DFB treatment period. The longer DFB treatment period, the lighter dried silkgland weight and the heavier water content of the silkgland. White opaque(WO) emerged in the middle silkgland of DFB treated larva. from the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observation, the cell membrane of silkgland of DFB treated larva was distinctly more compac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e WO was evidently resulted from the obstacles of normal transformation of silk protein through the cell membrane of middle silkgland.

      • KCI등재

        전처리 과정에 따른 홍게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특성

        김영섭(Yeong Seob Kim),최수근(Soo-Keun Choi) 한국조리학회 2017 한국조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홍게의 부산물인 껍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분은 튀김 처리한 FRC 시료가 가장 높았으며, 수침 처리한 SOC 시료가 가장 낮았고, 점도는 이와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pH는 건조 처리한 DRC 시료가 가장 높았고, 전처리 하지 않은 RAC 시료가 가장 낮았다. 색도에서는 L, a, b값 모두에서 튀김처리한 FRC 시료가 가장 높았으며, 기름에 튀기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지용성 색소 단백질인 아스타잔틴이 더 용출되어 L, a, b 값 모두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염도는 튀김 처리한 FRC 시료가 가장 높았고, 수침 처리한 SOC 시료가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이와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수침 처리한 SOC 시료가 장 높았으며, 전처리하지 않은 RAC 시료가 가장 낮았다. 유리 아미노산 중 필수 아미노산과 맛난 맛 아미노산도 SOC 시료가 가장 높게 측정되어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시료 중 가장 감칠맛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던 SOC 시료가 외관, 향, 맛, 텍스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전처리 방법중 홍게 껍질의 침지 처리 과정은 가용성 고형분 및 맛난 맛 성분의 용출이 높아지면서 데리야끼 소스의 전체적인 맛의 기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홍게 껍질을 이용하여 데리야끼 소스를 제조하는데 있어 침지 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는 것이 영양적, 관능적으로 우수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made by using the shell, the byproduct of red snow crab.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in fried FRC and the lowest in immersed SOC- while viscosity exhibited contrary tendency. The pH was the highest in dried DRC and the lowest in untreated RAC. Chromaticity was the highest in fried FRC for L, a, and b values altogether. Such result was considered attributable to elution of astaxanthin, a fat-soluble dye protein, which affected chromaticity while it underwent pre-treatment by being fried. Salinity was the highest in fried FRC and lowest in immersed SOC. Available solid contents exhibited contrary tendency.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immersed SOC and the lowest in untreated RAC.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and tasty amino acids, the free amino acids, were the highest in SOC, suggesting that savory taste manifested the most noticeably among specimens treated differently by varying methods. The results of preference test showed that SOC, which showed the highest free amino acid content, also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in terms of outwards appearance, frag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items of preference.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mersion of red snow crab shell increased elution of available solid content and tasty components, influencing the preference of overall taste of teriyaki sauce positively, concerning pre-treatment methods. Based on overall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pre-treatment involving immersion would lead to production of teriyaki with excellent nutrition and sensory features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red snow crab shell for manufacturing teriyaki.

      • KCI등재
      • KCI등재

        과공정 Al-Si 합금의 용탕처리 조건에 따른 초정 및 공정 Si 의 동시 미세화

        김동규,유보종,박종익,김영섭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2 No.6

        The effects of melt holding time and various melt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phosphorus treatment, simultaneous treatment after remelting of phosphorus treated alloy, and strontium treatment one hour after phosphorus treatment on the simultaneous refinement of primary and eutectic silicon in hypereutectic Al-Si alloy were studied. In case of simultaneous treatment with 0.04%P and 0.05%Sr, the size of primary silicon particles increased with melt holding time and started to decrease after one hour and modified microstructure was maintained during melt holding time for four hours. In case of strontium treatment after remelting of phosphorus treated alloy, the size of primary silicon particles increased with melt holding time and started to decrease after 30 minutes and eutectic Si modification was achieved during melt holding time for four hours. Strontium treatment after remelting of phosphorus treated alloy showed the smallest primary Si particle size among the melt treatment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