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韓國)에 도입(導入)된 Orchard grass(Pactylis glomerata L.) 중요형질(重要形質)에 관(關)한 육종학적(育種學的) 연구(硏究) (I)

        김영래,최창열,길경열,Kim, Y.R.,Choi, C.Y.,Kil, K.Y.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 No.1

        Orchard grass의 내한성생태형(耐旱性生態型)을 선발(選拔)하고 기타중요형질(其他重要形質)에 관(關)한 예비실험(豫備實驗)을 실시(實施)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rchard grass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充分)하였을 때 초기생육(初期生育)은 품종간(品種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며 Turkey's D=0.84였다. 그러나 생육(生育)이 진행(進行)함에 따라 품종간(品種間) 초장(草長)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질소(窒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와 배비구간(倍肥區間)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품종간(品種間)의 유의차(有意差)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배비구(倍肥區)는 초장(草長)이 20~30% 더 생장(生長)하였으며 그 질소반응성(窒素反應性) 비교적(比較的) 높다고 추정(推定)된다. 3) 한발(旱魃)에서 생존(生存)한 품종(品種)들은 분얼수(分蘖數)가 고사품종(枯死品種)들에 비(比)하여 많으며 약간(若干)의 품종(品種)을 제외(除外)하면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된다. 그러나 초장(草長)에 있어서는 양자간(兩者間)에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4) Merita, Phyllox 및 Dorise등(等) 품종(品種)들은 전개체가 한발조건(旱魃條件)에서 생존(生存)하였으며 그 초장(草長) 및 경수(莖數)는 각각(各各) Merita가 26.4cm 24.2개(個), Phyllox가 31.4cm, 24.6개(個) Dorise가 26.8cm, 35.6개(個)였다. This trial was conducted for the selection of drought registance strains and other main characters of orchard grass. Some preliminary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initial growth of orchard grass in sufficient soil moisture condi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eties. Turkey's D=0.84. However, in proceeding the growth, the grass height among the varieties showed non-significant. 2. Addition of nitrogen fertilizer before first flowering tended to increase the grass height occation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3. The survived varieties on the drought soil moisture condition had more numbers of tillering than the wilted significantly except some varieties. However, in grass height between the survival and the wilted, almost varieties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4. In the varierties of Metia, Phyllox and Dorise, all individuals were survived in drought soil moisture condition and showed almost the same growth responces with willted ones comparatively.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s of tillering of these 3 varieties were as follows: Merita; 26.4 cm 24.2 ea, Phyllox; 31.4 cm 24.6 ea. Dorise; 26.8 cm 35.6 ea.

      • KCI등재

        인삼(人蔘) 주요(主要) 양적(量的) 형질(形質)의 유전(遺傳)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영래,조재성,Kim, Y.R.,Jo, J.S.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4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 No.1

        인삼(人蔘)의 육종(育種)을 위(爲)한 몇가지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얻기 위(爲)하여 국내(國內) 육성계통(育成系統) 16계통(系統)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의 각 주요(主要) 양적(量的) 형질중(形質中) 경장(莖長)이(0.7050) 가장 높은 유전력(遺傳力)을 보였고 반면 엽장(葉長)의 유전력(遺傳力)이 (0.5674) 가장 낮았다. 2. 엽장(葉長)과 경직경간(莖直徑間)의 유전형(遺傳型) 상관(相關)이 (0.9844) 가장 높았고, 엽장(葉長)과 경장간(莖長間)의 유전형(遺傳型) 상관(相關)이 (0.8649) 가장 낮았으나 표현형(表現型) 상관(相關)에 있어서는 경장(莖長)과 경직경간(莖直徑間)이 (0.8788) 가장 높았으며 경장(莖長)과 경직경간(莖直徑間)이 (0.7950) 가장 낮았다. 3. 각 형질간(形質間)의 공유전력은 경장(莖長)과 경직경간(莖直徑間)이 가장 높았으며 엽장(葉長)과 경장간(莖長間)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 재식위치(栽植位置)에 따르는 각 형질(形質)의 변이(變異) 정도(程度)는 경장(莖長)이 가장 컸던 반면 경직경(莖直徑)에서 가장 적은 경향(傾向)이 있다. To obtain several fo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breeding of Korean Ginseng. 16 line selecte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In all quantitative genetic characters of Korean Ginseng, the stem length showed the highest heritability(0.7050) and the leaf length the lowest(0.5674). 2. The genotypic correlation was showen the highest value (0.8649) at between the leaf length and the stem diameter and the lowest value(0.8649) at between the leaf length and the stem length, but the phnotypic correlation was shown the highest value (0.8788) at between the stem length and the stem dimeter and the lowest value (0.7950) at between the leaf length and stem length. 3. The co-heritability between the stem length and the stem diameter showed the highest value(0.6124) and that between the leaf length and the stem length showed the lowest value(0.5471). 4. The inter-class correlation among the planting location showed the highest value at the stem length and the lowest value at the stem diameter.

      • KCI등재

        답(沓) 이용도(利用度) 제고(提高)를 위(爲)한 조사(調査) 연구(硏究)

        최범열,김영래,김문규,최창열,조재성,김달웅,김충수,Choi, B.Y.,Kim, Y.R.,Kim, M.K.,Choi, C.Y.,Jo, J.S.,Kim, D.U.,Kim, C.S.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 No.1

        충남지방(忠南地方)의 답이용도(沓利用度) 제고(提高)를 위(爲)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얻기 위(爲)하여 충남(忠南)의 입지적(立地的)인 조건(條件)과 아울러 답이용현황(沓利用現況) 및 답이용도(沓利用度)의 제고(提高)를 조해(阻害)하는 요인(要人)을 분석(分析)하고 보다 생산성(生産性) 높은 작업(作業) 및 경종체계를 모색(摸索)하였던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답전후작(沓前後作)을 기피(忌避)하는 일차적(一次的)인 원인(原因)은 논의 배수불량(排水不良)이었고 이차적(二次的)인 원인(原因)은 이앙기(移秧期)에 지장(支障)을 초래(招來)한다는 점(点)이었고 삼차적(三次的)인 원인(原因)은 노동력(勞動力) 부족(不足)이었다. 2. 답전후작(沓前後作)을 수행(遂行)하는 농가(農家)는 대부분영세농(大部分零細農)으로서 자가식량(自家食糧)을 대보를 위(爲)한 소규모재배(小規模栽培)가 많았으며 주작목(主作目)은 보리였다. 3. 충남(忠南)의 기조적(氣條的)인 조건(條件)을 고려(考慮)할 때 대체로 답전후작물(沓前後作物)의 수확기(收穫期)는 6월(月)10일(日)이 한계(限界)이며 수도(水稻)의 이앙기(移秧期)는 6월(月)25일(日)이 한계(限界)이다. 4. 답전후작(沓前後作)으로 보리를 파종(播種)할 경우(境遇) 경운전(耕耘前) 로타리살파(撒播)가 가장 능률적(能率的)이었을 뿐아니라 적은 경비(經費)가 소요(所要)되었다. 5 소득(所得)과 아울러 수확(收穫) 및 이앙작업소요기간(移秧作業所要期間)을 고려(考慮)할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으로 조생(早生)통일+올보리의 작부방식(作付方式)이 유리(有利)하였다. To obtain the informations on the checking factors of the effecient utilization of paddies in chungnam province and study on the effecient working system and high productive cropping system in paddies, the utilization state of paddies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t sample 1,500 farm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iculty of drainage in paddie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checking the utility of paddies. Delayed transplanting of rice and lack of labour were also important checking factors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paddies. 2. The utilization of paddies was rather effecient at small size farms of which farmers were almost poor, and most of them cultivated barley for their own food. 3. Considering climatic conditions, pre-crops of rice must be harvested before June 10 tho and the marginal transplanting date of rice plant is June 25 th. 4. In case of planting barley as a post-crop after rice, the spread seeding by rotary before plowing was most efficient with lowest cost. 5. Considering rice cultivation, yield of barley and net income, the most efficient cropping system was "Josaengtongil + Olbori".

      • KCI등재

        대두와 일년생잡초와의 경합에 관한 연구 III. 대두의 품종과 재식거리의 차이가 대두와 잡초와의 경합에 미치는 영향

        변종영,김영래,김칠현,강재철,Pyon, J.Y.,Kim, Y.R.,Kim, C.H.,Kang, J.C. 한국작물학회 197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4 No.2

        콩품종 동북태, 수원 8003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콩의 재식거리 60$\times$15cm나 45$\times$20cm에 파종하고 3주 간격으로 제초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콩과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illiams의 CGR과 LAI는 동북태와 수원 8003보다 적으며 잡초경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도 현저하였다. 2. 잡초경합에 의하여 Williams 품종은 동북태, 수원 8003와 비교하여 분지수, 협수 및 1000입종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3. 콩의 수량은 재식거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동북태와 수원 8003는 45 $\times$20cm에서 그리고 Williams는 60 $\times$15cm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콩수량은 잡초방임구에서 동북태는 14.8%, 수원8003는 11.9% 감소되었으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였던 Williams는 25.5% 감소되었다.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ybean cultivars and weed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plant spacings and weed competition times. Soybean yiel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plant spacings. Annual weed competition more signficantly reduced yields and yield components of 'Williams' soybeans than those of 'Dongbuktae' and 'Suweon 83'. 'Suweon 83' and 'Dongbuktae' were more competitive to weeds than 'Williams'.

      • KCI등재

        우량인삼생산(優良人蔘生産)을 위(爲)한 육종생리학적(育種生理學的) 연구(硏究)(II) -재식위치(栽植位置)에 따르는 인삼(人蔘)의 주요량적(主要量的) 형질(形質)의 변이(變異)와 그 상호간(相互間)의 관계(關係)

        최범열,박종성,김영래,김문규,조재성,김충수,Choi, B.Y.,Park, J.S.,Kim, Y.R.,Kim, M.K.,Jo, J.S.,Kim, C.S.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 No.1

        재식위치(栽植位置)에 따른 인삼(人蔘)의 주요량적(主要量的) 형질(形質)의 변이(變異)를 구명(究明)하고 형질상호간(形質相互間)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4열(列) 6열(列) 및 8열재식포장(列栽植圃場)의 인삼(人蔘)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부(地上部)의 생육(生育)(엽장(葉長), 엽폭(葉幅), 경장(莖長), 경태(莖太))은 6열(列) 및 8열구(列區)에서 도두 전열(前列)과 저조(低調)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던 반면(反面)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근경(根長), 근직경(根直徑), 근종(根種)은 전열(前列)에서는 오히려 우수(優秀)하였고 후열(後列)에서만 저조(低調)한 결과(結果)를 보였다. 그러나 4열구(列區)에서는 지하부(地上部) 및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 모두 전열(前列)에서 우수(優秀)하였고 후열(後列)에서는 현저(顯著)히 불량(不良)하였다. 2. 6열재식구(列栽植區)의 평균근중(平均根重)은 34.2g인데 비(比)해 8열재식구(列栽植區)는 18.2g으로서 전체수량은 6열재식구(列栽植區)가 8열재식구(列栽植區)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높았으며 품질(品質)도 좋았다. 3. 재식위치(栽植位置)의 차이(差異)에 따르는 변이(變異)는 8열재식(列栽植)의 경우(境遇)는 경태(莖太)가 가장 작은 변이(變異)를 보였고 근장(根長)이 가장 큰 변이(變異)를 보였는데 6열재식(列栽植)의 경우(境遇)에서는 엽폭(葉幅)이 가장 작은 변이(變異)를 보였고 경장(莖長)이 가장 큰 변이(變異)를 보였던 반면(反面) 4열재식구(列栽植區)에서는 엽장(葉長)에서 가장 작은 변이(變異)를 그리고 근중(根重)에서 가장 큰 변이(變異)를 보였다. 4. 각재식밀도(各栽植密度)에서 대체로 근중(根重)과 가장 높은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였던 형질(形質)은 근직경(根直徑)이었으며 또한 근직경(根直徑)과는 경태간(莖太間)에서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다. 5. 재식위치(栽植位置)에 따라하 각형질(各形質)에서 개체간의 변이정도(變異程度)는 현저(顯著)히 다른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형질(形質) 상호간(相互間)의 상계(相係)로 재식위치(栽植位置)에 따라 상관(相關)의 정도(程度)가 서로 다른 경향(傾向)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variations of important quantitative characters and correlations among them accoding to the planted location under the shadow by planting densit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rowth of leaf and stem of 6 rows and 8 rows planting plots was decreased at front and back rows, but that of root was increased at front row and also decreased at back row. However, at 4 rows planting plots, front row was better for the growth of leaf, stem and root. 2. Average root weight of 6 rows planting plot was 34.29g but that of 8 rows planting plot was ]8.20 g. And total weight of root per unit area was increased and quality of ginseng was better in 6 rows planting plot compaired with 8 rows. 3. Variation by planting locations under the shadow was smallest in stem diameter and highest in root length at 8 row planting plot, but at 6 rows planting plot, that was smallest in leaf blade and greatest in stem length. However, in 4 rows plant ing plot, variation of leaf length was smallest and that of root weight biggest. 4. In all Planting densities, root weigh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oot diameter and high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root diameter and stem diameter. 5. Rate of variations of all characters among plant individuals was different by planting location and that of correlations between quantitative Characters too.

      • KCI등재

        전산유체역학을 활용한 투척식 무인기 이륙 실속방지 영역분석

        우상만(S.M. Woo),김동현(D.H. Kim),김영래(Y.R. Kim)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21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26 No.2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 are widely used not only for military applications such as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but also for leisure activiti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take-off method includes general land take-off, launch platform take-off without a runway, vertical and hand-launch take-off. In spite of having several advantage, the hand-launching UAV may be somewhat unstable due to possible stall phenomenon during taking-off process depending on the different throwaway movement of a human launcher. Therefore, various damage cases have been occasionally reported from the past operation. In this stu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method has been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possible safe zone during the hand launch process considering the effect of roll angle and initial take-off speed. Finally, guideline data for a safe hand launching take-off were successfully obtained and presented for the present small UAV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