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증후군 구성요인의 군집별 변화 양상

        김영란(Kim, Young-Lan),천해경(Cheon, Hae-Kyung),이태용(Lee, Tae-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인의 군집별 변화양상과 군집별 조합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된 조합들을 파악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총 2회 검진을 받은 19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사증후군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정상군과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 군 두군으로 나누어 코호트연구를 시행하였 다. 연구결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인의 조합 상태에 따라 대사증후군 진단율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2개의 조합에서는 TG+HDL, TG+FBS순이고, 3개의 조합은 WC+TG+HDL, TG+BP+FBS순이었고, 4개의 조합은 WC+TG+HDL+BP, WC+TG+HDL+FBS의 순이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사증후군 진단율에 영향을 주는 조합을 고려하여 대사증후군 고 위험군을 찾아내어 관리하는 보건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clustering of metabolic syndrome,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a combination of clustering.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data from the same 1,900 people who had a medical checkup at a health clinic twice from 2009 to 2013.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metabolic syndrome and non-metabolic syndrome (normal group)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periodic changes. The related factors were examined with a cohort study. Results: The order affecting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by the combination of metabolic syndrome constituent factors was two combinations (TG+HDL), three combinations (WC+TG+HDL), and four combination (WC+TG+HDL+BP). Conclusions: To manage these factors, public health programs will be needed and the methods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should be promoted. In addition, more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ADHD성향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효과: 취학 전 아동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김영란(Kim, Young lan),장성호(Jang, Sung Ho)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행하여 ADHD 성향 취학 전 아동의 과잉행동과 주의력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조기치료의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C어린이집에 재학 중이며 과잉행동과 부주의 행동으로 지속적인 문제가 보였던 6세 남아였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9년 3월 5일 사전검사를 시작으로 5월 7일까지 총16회기 진행하였고 미술치료프로그램 구성은 초기, 중기, 종결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첫째,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주의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연구 참여아동의 K-ARS 척도 사전검사점수는 26점에서 사후검사 18점으로 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별 관찰기록에서도 연구 참여 아동은 의미 있는 상호소통과 자기절제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감소와 부주의의 감소가 상이했다. 다양한 매체와 과도한 선택의 기회가 있었던 프로그램에서 ADHD 성향 아동은 부주의성이 상승했다. 더불어 선호하는 재료를 사용하고 평소 흥미 있던 작업진행은 연구 참여아동의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ADHD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를 제시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둘째, 과잉행동과 충동성 감소에 자율성을 부여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ADHD성향 취학 전 아동 대상의 미술치료 접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험구조 -위험의 민주화 또는 위험의 계급화?

        김영란 ( Young Lan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1 담론 201 Vol.14 No.3

        As the world entered the post-industrial society, the risk spectra became wider due to new diffusible risks, so social risks came to spread beyond the border of space and time. Beck and Giddens call today`s society ``the risk society`` and modern society must be analyzed differently from the viewpoint of the established class. Talyor-Gooby maintains that the risks represent the class instead, and furthermore reinforce it. The study examin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hat character the social risks in Korea show with regards to the controversy. From the analysis of findings on survey, experience of risk,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risk, reaction mechanism to risk, and deprivation and so on show differences among various groups according to education, income, children`s age, subject`s age, job, the state of employment, etc. It is to say that distribution and experience of risk are structuralized, and anxiety about the possibility of risk and deprivation also are unequally distributed among the classes. It especially trends towards concentrating the risks on certain groups. And it shows regarding experience of risk and anxiety about the possibility of risk, reaction mechanism and deprivation that those who are over 51years-old, below high school graduate, self-supported and public employees, simple working men(or small self-employment etc.), less than 1.5 million won, that is, those who have low-education, low-income, and older-age a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in connection with risk that the discussion should be carried out focusing on how we could get rid of the risk, not on the simple dimension of class or risk. The social risk has been managed mainly by a welfare state so far. There`s a drift towards reducing the role of a welfare state and privatizing a welfare these days. Considering classism of the risk, the people and the state should make conclude new social contract which is able to protect institutionally those who are in danger on progress of social change, so they could meet the basics of life and escape from the risk.

      • KCI등재

        한국인 폐경기 여성에서 콩 단백질 섭취량과 골밀도의 연관성

        김영란(Kim, Young-Lan),남해성(Nam, Hea-Sung),이태용(Lee, Tae-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자궁절제술을 하지 않은 폐경 후 12년 미만의 폐경기 여성 686명을 대상으로 콩 단백질 섭취량과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을 골 소실이 상대적으로 빠른 폐경 후 4년 미만 기간에 있는 여성군과 폐경후 4년 이상인 여성군으로 층화하여 각각 콩 단백질 섭취량과 골밀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령, 체중, 신장, 칼슘 섭취량 등을 보정하였을 때 폐경 후 4년 미만 인 여성군에서는 콩 단백질 섭취량과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반면 동일한 보정을 하였을 때 폐경 후 4년 이상인 여성에서는 콩 단백질 섭취와 대퇴골(femoral neck, total hip 부위) 골밀도 사이에는 역방향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나, 총단백질 섭취량, Na섭취량, 에너지섭취량을 추가 보정한 결과 그 연관성이 사 라졌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폐경기 여성에서 콩 단백질 섭취와 골밀도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y protein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women using data from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tudy sample comprised 686 Korean women who were within the first 12 years of postmenopause and had no history of hysterectomy. Adjusting for age, weight, height and calcium intak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women under 4 years postmenopausal and at least 4 years postmenopausal, respectively. Among women under 4 years postmenopausal,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y protein intake and BMD at lumbar spine or proximal femur. On the other hand, in the later postmenopausal women, there was a reverse correlation between soy protein intake and BMD, especially at the femoral neck and the total hip. However, the correlation disappeared with additional adjustment for total protein intake, Na intake and energy intake. In conclusion, there may be no correlation between soy protein intake and bone density in Korean menopausal women.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김영란(Kim, Young-La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2

        1986년 독일의 사회학자 벡(Beck)은 <위험사회>를 통하여 위험은 현대사회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이론적 개념이 되었다. 위험은 국가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오기도 하며 신/구사회적 위험이 중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1990년대 한국은 세계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노동시장의 유연성, 비정규직 증가, 청년실업, 장기실업, 근로빈민증가 등) 및 기업의 해외이전, 아웃소싱 등의 증가로 인한 다양한 계층의 직업불안정과 가족의 불안정성(이혼의 증가, 여성의 사회참여와 아동・노인에 대한 보살핌 한계 등)은 가족의 전통적 보호능력 침식과 대안부재 등의 위험을 가져왔다. 21세기 사회적 위험 중 가장 위험한 것은 가족위험으로 1) 노동시장과 가족과 연계된 가족위험, 2) 가족자체의 위험으로 이혼 등 가족해체에 따른 한부모가족 증가 및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따른 남성생계유지자모델의 약화, 이인소득자가족내의 새로운 긴장, 중산층 가족의 불안정성, 3) 가족성원의 위험으로 청년층 실업에 따른 부모의존성 증가 및 결혼, 자녀출산 등 통과의례의 지연, 가정내 자녀와 노인 등에 대한 돌봄기능 약화 및 일-가정 양립의 문제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족위험의 스펙트럼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3년 11월~12월에 걸쳐 서울 경인지역 650명을 대상으로 가족위험과 관련하여 신/구사회적 위험에 대한 인식, 위험경험, 위험 대응관련 박탈감, 가족가치 등에 대해 경험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위험은 노동시장 위험과 연계된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가족위험의 극복능력은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돌봄의 책임은 자신과 가족 등 사적인 부문에 책임을 두고 있으며 위험대응은 주로 자조와 시장보험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가족위험 경험, 위험대응 관련 박탈감 등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하층으로 갈수록 가족위험경험, 대응관련 박탈감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국가는 가족위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위험의 가능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가족안전망으로서의 뉴딜(new deal)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isk’ has become the important theoretical concept to examine and analyze the modern society since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introduced ‘risk' of modern society through his book called “Risk Society” in 1986. According to each country, risks in turn occur or new social risks overlap with old social risks. In the 1990s, South Korea has come new risks of instability in labor market due to globalization (i.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an increase of non-regular workers, youth unemployment, long-term unemployment, and an increase in working poor) and corporate offshoring, outsourcing of various levels due to an increase in job insecurity and instability (i.e. limit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car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caused the alternative risk of family's traditional ability to protect the erosion of family members. Risk of family, the most dangerous in the social risks of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currently states: 1) the labor market and family risks associated with the family, 2) the risk of the family itself, for example, increase of the divorce and family breakdown causing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eakens the sustenance of the male roles, the new tension in dual earner family, instability of middle class families, and 3) the risk of family members, that is, increase of dependency on parents caused by youth unemployment, delay of a rite of passage such as marriage and child birth, the decline of in-home car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the problem in 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family. As the result, the spectrum of the family risk appears to be gradually widened.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from 650 people in the region of Seoul and Kyung-in between November to December 2013. The survey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family in which it empiricall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ld / new social risks, the experience of risks, the risk management, the sense of deprivation related to response of risks, family values and etc. The study shows that family risk has increased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he labor market and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capability of overcoming the risk of the family.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family, including himself and his family, is kept as the personal sector, and the self-help and insurance are primarily used on response of risk. In case of deprivation and experience of family risk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tions, and the lower social status is, the higher experience of family risks and the sense of deprivation based on response to risk are. In the future, the nation must arrange the New Deal policy as a safety net for family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family risk, to ensure systematically the possibility of risk.

      • KCI등재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김영란 ( Young La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1

        한국은 이주민의 증가와 함께 그동안 경험하지 않았던 다인종·다민족과 공존해야 하는 사회가 되었다. 어떻게 한국사회가 그간의 동질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사회로 변화해야 하는가 하는 현실적이고도 당면한 문제에 맞닥뜨린 것이다. 다문화주의 정책은, 모든 민족과 문화가 평등하고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정책을 말하며, 관련법과 제도를 비롯하여 프로그램 등 실천까지 포함한다. 정부는 국민과 이주민 간의 사회통합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과 제도를 마련해오고 있는데, 특히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은 다문화의 이해증진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다문화사회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적 수준에서 법, 제도 등 다문화주의 정책이 운용되어야 한다. 또한 개별적 수준에서는 다문화적 시민이 지녀야 할 지식·신념·미덕이 필요한데, 즉 다른 민족의 신념과 차이 그 자체를 인정하는 시민정신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정책 및 한국인과 이주민 상호간의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다문화주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국가적 수준에서 다문화주의 정책으로서의 법과 제도의 성격을 고찰하고 둘째, 개별적 수준에서 다문화시민의 공존과 관련하여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 이주민의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다문화주의 정책과 관련한 법의 제한성과 함께 한국인은 이주민에 대한 서열화된 차별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주민도 한국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 정책은 법과 제도의 운용과 함께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변화, 다문화주의에 대한 담론 확산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했다.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re increasing, Korea should co-exist with various races and nations, even though it has never experienced such a situation before. The multiculturalism policy is the policy which supports the equal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of all races and cultures, and it includes laws, institutes, programs and practices etc. The government has set up the law and the system for the integration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especially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show that its major objective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e. The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Korean multiculturalism policies and mutual awareness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as well. On its basis, it trie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ism policy. The study, above all, grasps the character of the laws and institutes as the multiculturalism policy on the national level. It also analyzes Korean`s recognition of immigrants and immigrant`s recognition of Korean society regarding multicultural citizen`s coexistence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ulticulturalism policy-related law is quite limited, in addition, Koreans have their segregated attitude toward the immigrants and this leads for the immigrants to have a negative associations related to Korean society. The study, accordingly,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ism policy should adequately be involved in both a law and a system, Korean`s recognition of the immigrants should change, and the public discourse of the multiculturalism should spread extensively.

      • KCI등재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탈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의 실태를 중심으로

        김영란(Kim Young-La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구조변화에 따른 빈곤형태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빈곤층의 탈빈곤을 위한 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빈곤정책은 노령, 실업, 장애, 질병 등 노동능력 상실과 관련된 절대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경제위기 후 증가하는 빈곤의 특성은 노동시장 참여가 더 이상 탈빈곤의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빈민을 대상으로 경제위기이후 경제상황변화, 복지상황, 사회적 위험에 대한 경험 및 대응방식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근로빈민층은 경제위기이후 실업, 소득감소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위험을 경험했으며 불안정한 고용상황, 취약한 복지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으로 소득안정정책, 직업훈련 및 기술교육정책,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social-economic structure and poverty-shape to escape poverty. In Korea, the working poor have been increased by flexibility and division of labor market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and are faced with hard conditions due to the vulnerable welfare system. Especially the workers who engage in irregular jobs were increased by restructure of labor market. Besides they are in unstable employment terms such as low payment, low-skill and exclusion from welfare-benefit. Many small independent businessmen are also in danger of poverty for enterprises trend to move abroad by globalization. Poverty policy in our country was focused on the absolute poor class that has relation with old age, unemployment, disable, disease etc, so they were the object of welfare policy. The poverties, however, are increasing rapidly after the economic crisis, and they work so hard but are still poor, that i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doesn't become an element to escape poverty. Thus the emergence of new poverties whose core consists of the working poor becomes to need new poverty policy. The study is to survey change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ir welfare conditions, their experiences and responses of social dangers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n to explore the policy to escape poverty.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hows that the working poor experienced many kinds of social dangers like unemployment, decrease of income etc. In their welfare conditions as their responses to the social dangers, the benefit of social insurance, enterprise welfare like legal retirement pay and paid leave and private welfare such as private pension and insurance are low. The working poor are faced with social dangers, moreover, they don't have skill or education for adapting themselves to information society. The study says that it needs variable policies for the working poor to escape poverty, and suggests payment & tax policies as stable income policy, occupational discipline and skill-education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moreover, social insurance as expansion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housing & education policies whose objects are the working poor.

      • KCI등재

        저소득층 청소년복지에 관한 연구

        김영란(Young Lan Kim)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99 청소년복지연구 Vol.1 No.1

        In seeking to identify a welfare policy for the youth of low-income Korean families, this study has carefully considered the relevant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 this group. The youth of low-income families currently suffer from the destabilising effect of income problems, housing uncertainties and lack of space for any leisures or cultur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welfare policy for the youth of low-income families is still very poor. In addition to poverty, his section of society has to cope with an important development stage of lif, but rater than categorize them as a single homogeneous uni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ir behaivour is subject to vari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circumstances. Thus, we have first divided low-income youth into three groups, focus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y incorporate financial success into social value system (typeⅠ, Ⅱ, and Ⅲ). Subsequently we have proposed a welfare-policy plan considering some of the behavior and attitudes that might be shown by each group. We have suggested a preliminary policy which concentrates on the aquisitin in of study-centers and the expansion of cultural and leisure venues. Depending on each types degree of success evaluation, we have also focused on the expansion of supporting education for Type Ⅰ, and counselling and vocational training for Type Ⅱ and Ⅲ. This was in line with our observation that TypeⅡ has a greater tendency to experience relative deprivation and discouragement, whereas Type Ⅲ was more inclined to lack motivation, depend on others and to be fatalistic.

      • KCI등재

        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영란(Young Lan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이주해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적응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주로 제3세계 국가이면서 가부장적 사회로부터 유입되고 있으며, 노동시장에 편입해도 성별로 분업화된 직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즉 남성보다 낮은 지위, 임금, 작업환경, 모성보호 부재와 함께 성폭력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주여성은 인종 및 계층문제뿐만 아니라 성문제 등이 중첩되어 이주남성노동자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주자들이 이주국에 편입되면 그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주국에 대한 언어, 법과 제도 그리고 생활양식 등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남성보다 사회문화적 적응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가 여성들간에도 적응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조사결과 사회문화적 적응과 관련하여 성별 차이보다는 여성 집단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적응관련 정책뿐만 아니라 여성 집단간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식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mpirical survey and on finding support ways, concerning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women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In Korean society, these women are mostly coming from the Third Worl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and being occupied in labor field of gender division, that is, with lower status and wage, worse labor environment and the lack of maternity protection, they may experience sexual violence. So these women have more difficulties than men laborers, concerning problems of race, social class and gender. In transferring into the immigration state, it is important for the immigrated to adjust themselves to that society, especially to know and understand language, law and institution, and ways of living of the state. Female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however, have more difficulties in sociocultural adaptation than men ones, and differences even between them. These difficulties interfere in overcoming different discriminations in the labour field. So, with th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near at hand in Korea,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ality of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and to propose, on this basis, support ways to their adap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