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할극을 활용한 "진로와 직업" 수업에서 얻게 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김연옥 ( Yeon-ok Kim ),임경원 ( Kyoung-won L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역할극을 활용한 진로와 직업 수업을 실행하면서, 그 과정에서 얻게 되는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시사점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action research)였으며, 참여자는 연구자, 수업관찰자 5명, 학생 3명이었다. 1차 연구 는 교과서를 기반으로 2회에 걸쳐 실행하였고, 2차 연구는 역할극을 수업전략으로 도입하여 4 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총 6차시 걸쳐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연구를 통해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훔 쳐야’, ‘즐거운 수업으로의 초대’, ‘걸어서 사회 속으로, 직업 속으로!’, ‘자신감이 쑥쑥쑥’, ‘풍년 을 바라는 농부처럼 가르쳐라’의 5개의 상위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 27개의 의미단위로 분석 되었다. 2차 연구인 역할극을 활용한 진로와 직업 수업을 통해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 식은 ‘흥미로운 역할극 수업을 위한 밑거름’, ‘수업이라는 무대의 주인공은 학생’,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의미 있는 인생수업’, ‘학생을 위해 도전하는 교사’, ‘스스로 성장하는 학생’의 6개 상위범주, 15개의 하위범주, 37개의 의미 단위로 분석되었다. 연구자는 반성적 수업을 통 해 교과서 중심의 지도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부합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적용 할 수 있게 되었다.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교사는 역할극을 활용 한 진로와 직업 수업기술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experience through course and vocational classes using role play and practical knowledge they get to obtain through the experienc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action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 of 1 professor as a researcher, 5 class observers, and 3 student research participants. 2 textbook-based courses and vocational classes were conducted in primary research, conducted 4 sessions of role play in secondary research, and analyzed the obtained data from the process inductively. As a result, First, the teacher is encouraged to use a celebrity as a character to initiate the role-play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Second, the role-playing class should be changed from teacher-oriented activities to learner-focused activities. Third, teacher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multiple opportunities to self-manage their behaviors or learning via recording and watching the role-playing together and completing the self-assessment checkboxes.

      •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연옥(Kim, Yeon 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20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을 파악하여 활동보조인이 직면하는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사단법인 경기도 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의 광명시지부, 하남시지부, 성남시지부, 용인시지부, 부천시지부에서 소속되어 근무하는 장애인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23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러한 과정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인지하는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존 연구에서 부족하였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절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함으로 시사점과 의의를 갖는다. 첫째,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 과업중요성 요인 및 과업정체성 요인, 피드백 요인에서 직무만족에는 정(+)의 영향이 미치게 됨에 따라서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과업중요성 및 과업정체성, 피트백을 강화하는 등의 직무특성 관련 요인이 긍정적으로 개선될수록 직무만족 또한 개선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 중에서 과업의미성 및 자기결정성 요인, 업무 영향력은 직무만족에서 정(+)의 영향력을 미치게 됨에 따라서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과업의미성 및 자기결정성, 업무 영향력을 강화하는 등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이 긍정적으로 개선될수록 직무만족 또한 개선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과업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업무 영향력 요인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과업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 , , 업무 영향력을 강화하는 등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이 긍정적으로 개선될수록 직무만족 또한 개선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ask characteristics of activity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and to analyze how the task characteristics faced by activity assistants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impact control in the process. The final 323 copies of this study were used to assist disabled persons working in Gwangmyeong Branch, Hanam Branch, Seongnam Branch, Yongin Branch, and Bucheon Branch of the Gyeonggi Intellectual Development Disabled Welfare Association for empirical analysis. Data analysis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f activity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analysis of the control effects of impression was performed in such a proces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by analyzing whether psychological impact, which was lacking in previous studies, has a controlling effect in the process of job characteristics recognized by activity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affects job satisfaction. First, the study also found that task-related factors such as task-criticality, task-identity factors, and feedback factors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so the more positive the task-criticality, task-identity, and fitness-related factors of disabled activity assistants are improved. Second, among psychological impotence, task aesthetics, self-determination factors, and work influenc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o among the sub-factors of the disability activity assistants, the more positive factors such as task aesthetics, self-determination, and work influence are improved. Third, as the task aesthetics,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nd work influence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mpact on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djustment effects, the research result was improved positively, such as enhancing task aesthetics,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work influence.

      • KCI등재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김연옥(Kim Yoon-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3

        본 연구는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재혼가족의 모 125표본을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재혼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79.2%, 남성배우자의 74.2%의 전혼해체사유가 이혼으로서 ‘이혼 후 재혼’이 재혼의 보편적 유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이 남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보다 앞선 조사결과를 통해 재혼의 사회문화적 태도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체적 실재와 심리적 실재의 일치여부로 측정한 가족경계모호성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67.6%가 경계모호성이 없는 반면, 32.4%가 심리적, 육체적, 혹은 양쪽 모두의 경계모호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Remarriage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all marriage in Korea. In 2010, 21.9% of marriage were remarriages for one or both partners. In spite of such increasing of remarriage, not much attentions were given the issues of remarriage in the academic circle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marriage, the family structure in remarri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undary ambiguity and the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Although boundary ambiguity is believed to be more problematic for remarriage families than first-marriage families and as such has been the topic of research in the U.S.A and other countrie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topic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degree of boundary ambiguity of 125 samples of remerried women and their family functioning. Also,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undary ambiguity and the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This study conceptualized boundary ambiguity as an incongru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memb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67.6%) were categorized as having both no psychological and no physical ambiguity. 19.8% of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physical ambiguity, 9.9% as having psychological ambiguity, and 2.7% as having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ambigu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were found among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type of boundary ambiguity.

      • KCI등재
      • KCI등재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가 자색고구마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연옥,문용,빙동주,윤은주,이영주,전순실,Kim, Yeon-Ok,Kim, Mun-Yong,Bing, Dong-Joo,Yoon, Eun-Ju,Lee, Young-Ju,Chun, Soon-Sil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1

        헤미셀룰레이즈를 0.005%, 0.010%, 0.015%, 0.020%를 첨가한 자색고구마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와 총 산도는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효 시간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헤미셀룰레이즈 첨가량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45분과 60분에서는 헤미셀룰레이즈 0.015%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식빵의 pH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총 산도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수분 함량은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명도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적색도는 0.005% 첨가군을 제외하고,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황색도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다소 높았다(p<0.05).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헤미셀룰레이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복원성은 0.005% 첨가군을 제외하고,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는 색과 부드러움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향미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는 헤미셀룰레이즈 0.010% 첨가군이 5.6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에서 헤미셀룰레이즈 0.010% 첨가가 자색고구마 식빵의 부피를 개선하는데 최적 첨가량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purple sweet potato bread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005%, 0.010%, 0.015% and 0.020% hemicellulase. It's effect on product quality and consumer evalu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the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a 0.015% addition sample was the highest between the samples. The bread pH decreased significantly as hemicellulase was increased, whereas. Bread total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ddition of hemicellulase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than the control sample.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colors, the lightness of the control sample was the highest, the redness of the 0.020% addition sample was the lowest while the yellowness of the control was the lowest. The hardness and the fractur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as hemicellulase was increased. The resilience indicated reverse effects. In consumer evaluation, the color and soft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And the hemicellulase addition of samples was higher in flavor than that of the control sample.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5.67 with a 0.010% addition samp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addition of 0.010% hemicellulase in purple sweet potato bread would be the optimum level.

      • KCI등재

        해체된 재혼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연옥(Kim Yoon-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2

        본 연구는 재혼이 초혼보다 취약하며 재혼이혼율이 초혼이혼율보다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혼해체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는 현실에 착안하여, 재혼이 어떻게, 왜 해체에 이르게 되는가를 이해하고자 재혼 후 이혼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총 7명을 심층 면담한 녹취록을 질적자료 분석프로그램인 Nvivo2로 분석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애착이 결여된 재혼동기, 취약한 부부유대, 계자녀와의 갈등, 시집의 소외 등이 해체된 재혼생활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러한 재혼생활의 특성들이 재혼생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직, 간접으로 재혼의 해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혼과 재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해 주고 있다. Remarriage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all marriage in Korea. In 2005 26.1% of marriages were remarriages for one or both partners. Also, remarriages are more likely to end in divorce than first marriag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remarriage is ended in divorce in Korea. Seven ex-stepmothers were asked in-depth interview to describe the whole story from courtship to divorce of remarriage. Their narratives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software program, Nvivo2, which assured us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method of the study.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several major concepts related to the dissolution of remarriage: lack of feeling of love in a motive of marriage, lack of understanding of and preparation for remarriage, fragile tie of remarried couple, frictions between step-children and step-mothers, feeling excluded from family-in-law, and wife batt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that the social work interventions should be actively done in the area of family life education including remarriages and remarried families.

      • KCI등재

        재혼가정의 가족기능향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김연옥(Kim Yoon-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2

        가족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경험하는 극심한 사회변동중의 하나는 재혼의 급증이다. 2002년 전체 혼인의 21%를 차지할 정도의 재혼율 상승, 여성 재혼율의 남성우위현상, 재혼의 불안정성과 높은 재이혼율 등은 사회적 관심과 개입을 요구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배경에서 증가하는 재혼가족의 건강한 기능을 위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재혼가족 기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적 방향과 관점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관심을 끄는 사실은 재혼의 놀라운 증가와는 달리 재혼생활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점, 재혼자들이 재혼에 대한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점, 대신에 재혼에 대한 비현실적인 환상과 사회적 통념만이 크게 존재한다는 점 등이었다. 따라서 재혼가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재혼을 둘러싸고 존재하는 많은 환상들에 도전하여 재혼의 실체를 현실적으로 인식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재혼을 초혼에 준거하여 바라보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 재혼가족 나름의 발달과정을 거치며, 재혼가족에서 보이는 갈등이나 마찰은 하나의 새로운 가족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 현상으로 보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A little understood but rapidly growing phenomenon in our society is remarriage. By 2002, 21% of marriage involved the remarriage of one or both partners. Furthermore, the ratio of remarriage of women has outnumbered the ratio of remarriage of men, which is remarkable chang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putting a taboo on women's remarriage in Korea.<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perspective and the direction of programs for enhancing the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For the purpose, we explore the intrinsic vulnerability to family dissolution of remarriage and ill preparation for remarriage of people. There are unrealistic myths around, lack of informations on, absence of guideline for remarriage family life. Also, we discuss the process of remarriage family development, which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marriage shows totally different family structure and family interaction from first marriage nuclear family.<br/> Based on discussion mentioned above, several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developing programs for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Above all, the family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remarriage is more useful paradigm rather than deficit-comparison perspective for remarriage family. Also, the programs for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should challenge the unrealistic myths around remarriage such as the instant love betwee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the re-created nuclear family, etc. Also, several points such as the remarried family developmental stage, the disparity in expectation of man and woman on remarriage, and the tendency to scapegoat a stepmother should be considered in programs for enhancing remarriage family functi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