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내용학 : 무상(無常)과 상(常)에 관한 연구 -불교의 근본경전을 중심으로-

        김연숙 ( Yeun Soo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불교의 무상성과 상주성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불교 삼법인에는 제행무상이라는 것이 있다. 이 무상성은 근본불교 초기단계에서 강조되는 12지연기의 연기생법을 설명하는 과정에 서 부각된다. 연기생법은 인연에 의해 존재하게 되는 것이나 무릇 조건에 의해서 생긴 것은 모두 무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석존은 소품 반야바라밀경이나 열반경에서 제행무상의 무상성에 대해, “무상성을 물질적인 존재 나 정신적인 존재나 모든 것은 멸하여 사라지는 것이다”라는 의미로 이해한다면, 이는 거짓 반야 바라밀인 것으로 아직 깨우치지 못한 사람을 과오에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그래서 처 음에는 무상·무아·고통을 가르치지만 사람들이 공덕을 갖추어 대승의 단계에 이르면 상·아·락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석존은 법, 불성, 여래와 같은 것은 소멸하지 않는 것, 상주불변한 것으로 설시한다. 이들은 헤아릴 수 없는 공덕과 지혜로부터 생기는 것으로, 자비희사와 같은 사무량심, 육바라밀, 십력, 사무소 외와 같은 것들로부터 온다. 모든 중생은 이런 여래가 될 수 있는 종자인 여래장을 지닌다. This study covers the issue of transience and permanence. Transience stands out as one of key concepts while describing a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twelve causes which is emphasized at the initial level of early buddhism.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refers to transience, or transitoriness, of what results from relations or comes with conditions. In The Diamond Sutra and The Nirvana Sutra, Shakyamuni cautions that understanding transience from the idea of impermanence, one of three marks of existence, as “anything material and spiritual diminishes and disappears” has risk of misguiding the unawakened. Thus, at the beginning, impermanence, unself-hood, and dis-ease need to be learned. However, after people do good deeds and reach the level of “great vehicle”, permanence, self-hood, and delight need be learned. Shakyamuni explains that teachings, Buddha nature, and potential for Buddha do not disappear and exist permanently and consistently. They are attained from countless good deeds and wisdoms and thus derive from the four limitless minds, six perfections, ten powers of the Buddha, and the four fearless guarantees. Therefore, all sentient beings have this potential of being the Buddha.

      • KCI등재

        가치의 갈등과 한국인의 정치참여: 2010년 세계 가치관 조사를 중심으로

        김연숙 ( Yeun-sook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7 韓國 政治 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다양한 가치들이 문화적 조건 속에서 정치참여에 상이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논의한다. ‘물질-탈물질’의 문화적 가치는 융합형태의 집단문화로 존재하며, 개인수준의 ‘내재 가치(implicit value)’와 정치영역의 ‘외현 가치(explicit value)’가 심리적으로 병존한다고 전제한다. 이러한 가치의 특징이 투표참여와 비제도적 참여의 두 가지 행동패턴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다. 2010년 한국의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 Survey)를 분석한 결과,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탈물질형 집단은 투표참여와 비제도적 참여에 물질형 집단보다 적극적이다. 그러나 ‘물질-탈물질’가치의 투표참여 효과는 비선형적(non-linear)이다. 둘째, 물질-탈물질의 혼합형 집단은 동질적 집단에 비해 상충되거나 상반되는 가치를 동시에 가지지만, 복수 가치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치참여에 적극적이 된다. 셋째, 슈와츠 가치(Schwartz’s value) 중 ‘개방형 자아증진(self-enhancement)’의 가치와 시민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민주가치를 중시할수록 비제도적 참여의 의지와 동기가 높아지고, ‘보수적 자아초월(self-transcendence)’의 가치와 국가권위와 통치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투표참여에 적극적이다. 넷째, 혼합형 집단의 투표참여는 내재가치와 외현가치의 상호보완적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비제도적 참여는 주로 외현가치의 영향에 의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개인의 가치가 정치참여에 가장 근본적인 요인임을 의미한다. This paper explores that various values at the individual level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condition of group cultures. I posit that the cultural values of materialism and post-materialism have been mixed, which have co-existed as an hybrid form with both implicit value and explicit value. And I argue the valu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voting and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Analyzing of 2010 World Value Survey including Schwartz’s Value Study (SVS) in Korea, I found the below four main evidences of value’s effects on participation. First, post-materialistic group is more active than materialistic group in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However the value effect on voting is not linear. Secondly, the mixed group has more ambivalent and conflict value than the homogeneous group, but the interactions of each value make them more active in participation. Third, the value of self-enhancement among Schwartz’s value and democratic value related to civil rights and du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of participation. The value of self-transcendence and the perception of authority have also positive effect on voting. Fourth, I found that mixed value group can activate to vote when implicit and explicit value work together in their minds, whereas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has mainly been attributed to explicit value.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 values are basic factors in political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부정적 정당 감정과 후보자 선택

        김연숙(Yeun-Sook Kim)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4

        본 연구는 부정적 정당 감정이 투표선택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7년 대통령 선거결과, 유권자들이 가진 정당 감정은 후보자의 당선가능성을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종 투표선택을 결정하는 심리 전략의 준거점임을 알 수 있었다. 경험적 분석결과,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좋아하는 정당 후보가 당선가능성이 높을 때, 인지강화 효과가 나타나며 그 후보를 선택한다. 둘째, 싫어하는 정당 후보자가 당선가능성이 높을 때, 손실회피(loss aversion) 심리 전략에 따라 덜 싫어하는 후보에 반대투표(negative voting)한다. 셋째, 좋아하는 정당 후보자의 당선가능성이 낮다고 인식될 때, 위험회피(risk aversion)의 전략에 의해 제3후보를 대안으로 선택(alternative voting)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 2017년 한국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긍정적 정당 감정뿐 아니라 부정적 정당 감정이 중요하게 작동하였으며, 그중 부정적 정당감정이 최종 승자를 가리는 중요한 심리요인이었다는 점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negative partisan affects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voting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san affect is a reference point of the psychological strategy which determines the final voting by mediating how the voters recognize the electability of candidates. There are three proven hypotheses. First, when the candidate of positive partisan affect is likely to be elected, the cognitive reinforcement effect appears and the candidate is selected. Second, when the candidate of negative partisan affect is likely to be elected, negative voting is applied to the candidate who is less disfavorable by the loss aversion psychological strategy. Third, when the candidate of positive partisan affect has a low possibility of winning, the third candidate is voted by alternative voting by the risk aversion strateg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voters" choice in the 201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was made by the negative and positive partisan affects, and negative partisan affect is an important factor in candidate selection.

      • KCI등재

        한국정치학의 이론적 스케치: 한국 민주화 경험의 이론화를 위한 소고

        김연숙 ( Yeun-sook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7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3 No.2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례 중심의 정치학이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점을 고민해 보고, 한국정치현실 중심의 민주주의 이론화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있다. 한국 정치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서구이론과 한국 정치현상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이론확증형(theory-confirming) 연구’였다. 서구이론 중심의 분석은 (1) 정치이론이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개별현상의 일반화과정이라는 전제를 도외시하는 문제, (2) 연역적 추론의 문제, (3) 한국경험의 특수 사례화, 일탈사례(deviant case)의 간과의 문제, (4)경험적 분석방식의 획일화 문제를 초래하였다. 한국사례 중심의 이론화 해법은 한국 민주화의 축적된 경험을 새롭게 재정립할 수 있는 이론의 장에서, 전통적 민주주의 이론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경험적 현상에 대한 탈서구 중심주의적 이론화의 시도로 제안될 수 있다. 또한 인과추론 방법의 다양화, 일탈사례분석을 통한 ‘이론 논박형 연구(theory-informing)’ 방식으로 전환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한국의 민주화경험을 미시적 수준에서 이해하고 거시적인 수준의 이론으로 확장,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수들의 발굴과 탐색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which political theory and methodology could take an better explanation of Korean democratization, and how it could contribute to theorizing from Korea democratic experience. Most of the political process researches including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in Korea has been in line of the theory-confirming research focused on congruence between the western based theory and Korean political phenomenon. There are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Korean political analysis in the western basis approach (1) the overlooking on the fact that a political theory is the cumulative result of numerous phenomena (2) the problem of deductive reasoning in theory (3) the problem of considering Korean experience as a deviant case (4) the uniformed research design by mainly regression analysis of quantitative method. I suggest that our theory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Korean political democratization should take beyond the western- centrism on the basis of our reality. It is also needed to implement the theory-informing research including deviant case and to explore new variables. Furthermore, this research strategy could be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linking pre-democratic stage before 1987 with post-democratic one after 1987.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투표결정시기에 관한 연구

        김연숙(Yeun-Sook Kim)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투표결정시기’가 정당에 대한 감정과 평가의 차원에서 비일관적으로 나타나는‘정당 상충성(partisan ambivalence)’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카시오포(John Cacioppo)의 다차원적 상충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충 유권자(ambivalent voters)들은 일방 유권자(one-sided voters)들에 비해 젊은층, 저소득층의 유권자들로서 일방 유권자에 비해 기권하거나 지지하던 후보자를 변경하지는 않았지만, 지지후보결정시기는 매우 늦었다. 또한 상충 유권자는 일방 유권자들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지 않으며, 높은 내적 효능감과 선거관심, 그리고 낮은 당파심을 매개로 하여 인터넷을 통한 활발한 정보수집 활동을 하면서 지지후보결정이 늦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국, 정당에 대한 상충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 유권자들은 그들의 상충성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능동적이며 감성적 유권자층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that the partisan ambivalence has an effect on the time of vote decision in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Based on Cacioppo’s multi-dimensional ambivalence model, it is found that ambivalent voters do not tend to abstain from voting, and to change their supporting candidates, while they tend to take more time in making their vote choices. The ambivalent voters are mostly young and low-income people regardless of their education levels. We also found the fact that the ambivalent voters tend to have lower efficacies and political interests than the one-sided voters. But the ambivalent voter tend to be active in seeking informations, and to have much more time in considering various details relating to the vote choice. Using the path analysis, we clearly show that the ambivalent voters with higher level of efficacy need additional times in making their respective vote deci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an possibly say that the ambivalent voters could have a potential capability and self-motivation needed to be a democratic citizen.

      • KCI등재

        E. Levinas 타자윤리에서 윤리적 유통에 관한 연구 : 얼굴·만남·대화 face - to face relation , dialogue

        김연숙 한국국민윤리학회 2000 倫理硏究 Vol.44 No.1

        본 논문은 자아와 타자의 윤리적 소통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살펴 본다. 내면성으로 분리되는 이기적 자아가 절대적 타자성을 지니면서 외계성을 유지하는 타자와 어떻게 윤리적으로 관계 맺는가? 레비나스는 자아란 자기 보존성(conatus essendi)을 지닌 동시에 타자를 향한 정향성을 지닌 존재로 본다. 그러므로 자기패쇄적·獨居的인 이기적 자아성으로부터 타자를 열망하면서 초월해 가는 자아의 운동, 얼굴을 마주보는 윤리적 관계의 형성을 윤리학의 중요문제로 다룬다. 이같은 문제설정으로 레비나스에게서 윤리학은 더 이상 추상화된 자아의 사유 안에서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논구된다. 자아와 타자의 윤리적 관계는 내면성의 주체와 말하는 주체의 관계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다. 인간은 자기중심적 내면성을 형성할지라도 동시에 타자와 더불어 말하는 '발화자'인 것으로 이는 밖으로 향해 있는 존재인 동시에 타인의 존재사실, 타인의 얼굴과 마주하는 존재임을 나타낸다. 타인과의 만남에서 그의 얼굴이 현현하는 근원적 윤리어를 받아들일 때 자아의 자기중심성은 타자에게로 開示되며 윤리적 자아로 전환된다. 이 같은 논의는 언어철학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말하기'의 윤리학적 의미는 타자에게로 열려지고 노출되어진 자아가 타자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이다. 이는 동시에 '응답의 윤리'로서의 타자윤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뿐만 아니라 '말하기'든 '대화'든 모두 타자를 전제로 해서만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타자윤리가 왜 자아중심성으로부터 타자중심성으로의 전환을 촉구하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