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와 영유아 학부모가 기대하는 보육교사 전문성에 관한 연구

        김양은(Yang E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 전문성의 의미를 개념화하여 교사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준거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185명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부모 14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로서 전문성이 있다’ 라는 평가를 받기 위해 어떤 요소를 갖추어야 하는지 기술하고 그와 관련된 사례를 수집하였다. 참여자 선정에서 자료수집까지 총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Nvivo 12와 SPSS 24.0을 이용해 내용분석법의 절차에 따라 질적,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총 517개의 노드가 도출되었고 이는 24개의 소주제와 6개의 대주제(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전문인으로 자각, 업무에 대해 갖는 태도,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기관과 교실 운영, 보육에 관한 전문이론과 지식보유, 사회적 인정과 사회봉사성)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소주제와 대주제는 연구대상(교사,부모), 교사의 경력, 자녀의 연령에 따라 빈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 즉 주체자와 수요자 입장에서 보육교사 전문성의 의미를 탐구한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자질을 점검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사교육 및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standard that should be aimed by teachers, by conceptualizing the meanings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For this, targeting 185 childcare teachers and 144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the data was collected by asking them to describe which elements should be equipped to be evaluated as ‘a childcare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It took a total of three months from selection participants to data collection. Using the Nvivo 12 and SPSS 24.0 for the collected data, the qualitative/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content analytic metho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otal 517 nodes were drawn, and t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24 sub-themes and six main themes(perceived as a professional job and realized as an expert, attitude toward work, decision-making ability with the use of necessary knowledge and techniques, ability to operate institutes and classes, equipped with specialized theories and knowledge about childcare, social recognition and service to society). The classified sub-themes and main themes show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research subjects(teachers, parents), teachers’ career experience, and children’s 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pos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s the subjects and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teachers’ training for inspecting and cultivating the qualifications to be grown into professional teachers.

      • KCI등재

        여대생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통해 살펴본 저출산에 관한 이해

        김양은 ( Kim Yang-eun ),하지영 ( Ha Ji-yo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부모가 될 세대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탐색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결혼 및 출산의사가 있는 여대생 185명이었으며 web을 통해 자료조사를 한 후 기초통계, paired-t test,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은 자녀출산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경제적 부담이나 자아실현에 대한 방해 등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이상적 자녀수와 현실적 자녀수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여대생들은 출산 후에도 직장을 계속 다니길 원했으나 만약 직장과 육아 중 선택할 수 있다면 육아를 선택하기를 원했다. 또 자녀 출산 및 양육에 대한 결정권은 본인에게 있다고 생각하여 자녀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들은 자녀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며 부담적 가치, 사회적 가치, 도구적 가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여대생들의 이상적·현실적 자녀수와 남편의 이상적·현실적 육아참여 기대, 자녀가치관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가까운 미래에 출산을 하게 될 젊은 여성들의 인식을 이해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산 및 양육 관련 정책과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of Korea by exploring childbirth and parenting, value of child of the generations to be par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were 215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marry and basic statistics, paired t-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data research through the web.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positive about childbirth, college women chose not to give birth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such as financial burden or interference with self-realization etc. Second, college women preferred to continue to work even after childbirth but wanted to choose parenting if they can choose either work or childcare. And thinking of having decisions about childbirth and parenting, they were found to feel the responsibility for and burden on children at the same time. Third, among values of child, college women recognized the emotional value the highest followed by burden value, social value, instrumental value in order.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value of child, husbands` childcare participation and expected number of children of college wome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study findings, the perception of young women to give birth in the near future will be understood and study findings will be the basic data in establishing policies and support measures for parenting and parenting to solve the low fertility problem.

      • KCI등재후보

        교육 환경 변화와 미디어교육의 과제

        김양은 ( Yang E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2

        It is a common feature betwee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hat makes the reciprocity for the human and the surrounding. Especially, the media have been applying to overcome bounds of space-time extending the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 progres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o lead a change in education. Historical change of the educational paradigm in theory have transformed the media concepts. Media have been varied from the tools to enhance efficiency of education to the subject through communication circumstance. They were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a new language. Apart from the generation who raised with letters, they raised with visual language indicate that media should be a subject of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Finally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Media education would be latent force against the future competitiveness.(Cyber Culture Research Center)

      • 정보사회에서의 미디어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김양은 ( Yang E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1

        The advent of media education was in the television age. To show how to recognize all the difference between real fact and mediamorphosis for the image generation it originated. Internet media would be a capital media of digital generation who are leading the 21st century. They are communicating and making culture by using internet. The coming of new media is asking to re-conceptualization of media education. Also the educational world connected with media education is moving. Not only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been changing with new media but also each field of media and education. So then, what should the media education be in the information society? From this question we are looking for the media education`s vision to get changed surroundings. The media education should coultivate men of competence to go with the times.(Soonchunhyang Univ.)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김양은(Kim, Yang-E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이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 생각하는 교사교육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임에서 고경력교사까지 다양한 경력의 보육교사 17명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경력 1-2년의 초임교사들은 영유아행동지도, 부모상담, 교수법과 같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였으며, 교실 내 고립에서 오는 부담감을 토로하였다. 3-4년의 예비경력교사들은 교사 업무 전반에 대해 보다 능률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또, 기존에 해오던 방식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회의감과 소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도 경험하고 있었다. 5년 이상 된 경력교사들은 선임 혹은 주임교사가 되면서 직급과 역할에 맞게 이전보다 더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과 아동심리, 전문적 부모상담 기술이 필요하다 하였다. 10년 이상의 고경력교사들은 현장에 대해 고루 알긴 하지만 인성교육, 교사로서의 마음가짐을 되짚어 주는 기본교육, 중간관리자로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는 교육 등이 필요하다 하였다. 아울러 상호작용과 부모상담에 대한 교육은 경력에 상관없이 모든 단계의 교사들이 요구하는 복합 · 순환적 지식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 수요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경력의 교사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해 봄으로써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현직교육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teacher education that the though to be necessary to maintai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work experi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 childcare teachers with varying experience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showed that new teachers with one to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reported they need education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the field such as behavioral instruc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parent counseling, and teaching method and expressed pressure of being isolated in the classroom. Semi-experienced teachers with 3 to 4 years of experience wanted to gain knowledge that can help them perform overall tasks as a teacher in a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way. In addition, they reported skepticism about continuing to use the same techniques and psychological conflict caused by exhaustion. Experienced teachers with five years or more experience reported they need more in-depth theoretical knowledge of teaching, child psychology, and professional parent counseling techniques that is suitable for their position and role as a principal or senior teacher.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ith 10 years or more experience reported, although they have broad knowledge of the field, they need personality and other types of education that will remind them of the basic qualities required among teachers as well as education that will help them broaden their view as an intermediate manager. Furthermore, education on interaction and parent counseling was,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level, demanded by all teachers as comprehensive and circulatory knowledge.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help understand educational demands of teachers of varying experience levels and develop professional education for teachers that can help improve expertise of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의도적 통제가 역기능적 훈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양은(Kim Yang E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가 역 기능적 훈육행동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고, 의도적 통제가 양육스트레스와 역기능적 훈육행동과의 관계에 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 151명이었으며,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 역기능적 훈육행동 중 과잉훈육은 서로 유의미하게 상관이 있었으며, 역기능적 훈육행동 중 방임훈육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의도적 통제는 과잉훈육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과잉훈육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는 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의도적 통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 치게 되고,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역기능적 훈육행동인 과잉훈육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노력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역기능적 훈육행동(과잉훈육)을 낮 추기도 하지만, 의도적 통제능력이 낮은 어머니의 경우 훈육행동에 대한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고 려하여 이를 위한 예방과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predict dysfunctional parenting for the mothers who have a child subject to discipline, and if effortful control plays a mediation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ysfunctional paren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51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1.5 and 3, and, for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as follows: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and overreactivity in dysfunctional parenting. Laxness in dysfunctional parenting, howev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parenting stress and effortful control of mothers were predictors of overreactiv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overreactivity of mothers, effortful control part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had a negative effect of effortful control and a low level of effortful control led to a higher probability of overreactivity, which is a type of dysfunctional paren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effortful control of mothers can reduce dysfunctional parenting (overreactivity) in stressful situations, but, also, mothers who are less capable of effortful control can have difficulty adjusting the level of parenting. Therefore, relevant prevention and parenting education is needed.

      • KCI우수등재

        영아기 자아인식 능력에 관한 연구

        김양은(Yang Eun Kim),조복희(Bok Hee Cho)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2

        The subjects of this study on self-awareness were sixty-four 8- to 30-month-old infants. They were tested with the Behaviors Observed in Mirror Conditions (Lewis & Brooks-Gunn, 1979; translated by Jong Moo Kim , 1989). Analyses were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Most infants responded when they saw their reflection in the mirror, and their self-awareness increased with age. Most infants under 17 months didn`t respond before and after rouge was painted on their noses, but by 18- to 23-months, they started to show a response. Most of the infants older than 24 months noticed something unusual and tried to rub the rouge off when they saw their reflect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infants begin to show self-awareness after 18 months of age, and this self-awareness is well developed after 24 months of age.

      • KCI등재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김양은(Yan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2가지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수용자의 이용자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의 3가지 차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이론과 연관성을 맺으면서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환경과 이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초기의 텔레비전에 대한 교육에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교육이 언어적 차원, 미디어 내용의 비판적 해석, 사회와의 소통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짐을 의미한다. This study's purpose is a search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For this purpose, media education's surrounding is used to search by two of view. First view is about the condition of media education that includes an advent of new media, consumer's attitude change to user and variety of educational change. And then the variable paradigm of media education are viewed how it is connected with the theories of media with time. Change of surrounding and theoretical variety tell us why concept of media education should be revised. So, in this study, many scholar's definitions of the media education are regarded. From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for the television, the media education's definition has formed as new field. After that, media education expanded to the media literacy as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 an advent of new media. This means that media education would be variably extend to verbal media education,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and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 KCI등재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김양은(Kim Ya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이 교직을 지속하는데 경험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해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교직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0년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고경력 보육교사 7명 이었으며, 반 구조화된 질문과 비구조화된 면담을 기본으로 1-3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은 원장중심의 수직적 조직문화와 낮은 직무자율성, 휴가제를 비롯한 복지후생에 대한 불만, 주간 중심 제도와 환경과 같은 외적어려움과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회적 인식, 인간관계에서 겪는 갈등, 교사로서의 자부심 상실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 평가인증경험, 학부모 및 원장과의 갈등, 일과 가정의 유지 힘듦, 무력감 및 일에 대한 실증으로 인해 교직 이탈을 고려한 적이 있었으며, 주변의 정서적 지지와 자기발전에 대한 의지로 이탈위기를 극복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고민에 대해 조명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교직지향성을 높이고 보육교사직을 평생 유지 할 수 있도록 양성기관, 교사교육 전문가, 관련 부처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iculty experienced in daycare teachers’ continuing teaching and crisis of turnover and try to grope for a scheme that can increase daycare teacher’s intention of teaching. Study participants were 7 highly experienced daycare teachers who had worked in daycare center for 10 years or abov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 and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the daycare teachers experienced external difficulty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work autonomy, welfare program, educational opportunity and work environment and internal difficulty such as social perception, relationship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director of daycare center, and loss of pride in being a teacher. Besides, they wanted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accreditation experience, conflict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director of daycare center, being hard to balance work and family, feeling of helplessness and being tired of work, and overcame the crisis of turnover by emotional support of people around them and their will to self-improvement. Finally, daycare teachers wanted to remain teachers rather than becoming a director of daycare center in the future, but worried that it would be harder to remain a teacher as experience increa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suggestions for training institute, teacher education specialist, relevant ministries, and policy makers so that daycare teachers can increase their intention of teaching and keep their lifelong job as daycare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