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User Interface Design Platform based on Usage Log Analysis

        Ahyoung Kim(김아영),Junwoo Lee(이준우),Mucheol Kim(김무철) 한국전자거래학회 201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1 No.4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실행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은 다른 도메인의 어플리케이션보다 사용성의 우선순위가 높다. 기존의 연구들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서 프로토 타입과 스토리보드 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한 설문을 수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관련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식별하고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치 제스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성을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어플리케이션의 UI/UX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시킬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efficient services to application users. In particular, mobile applications that can be executed anytime and anywhere have a higher priority of usability than applications in other domains.Previous studies have used prototype and storyboard method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lications. However, this approach has limitations in continuously identifying and improving the usability problems of a particular appli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ability analysis method using touch gesture data. It could identify and improve the UI / UX problem of the application continuously by grasping the intention of the user after the application is distributed.

      • 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산업특성변수와 기업특성변수 중심으로-

        김아영 ( Kim Ahyoung ),신혁승 ( Shin Hyukseung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기업경제연구 Vol.4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특성변수, 기업특성변수와 기업의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kis-value의 1999~2011년의 13개년의 자료를 이용해 실증분석을 했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기 연구개발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기 연구개발비, 전전기의 연구개발비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 연구개발비는 시차를 두고 기업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육훈련비 투자는 기업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 및 과거의 교육훈련비의 투자가 기업의 이익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와 다르게 당기의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셋째, 모든 분석모형에서 기업의 성과와 시장집중률, 허쉬만-허핀달 지수(HHI)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연구개발집약도도 모든 모형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개발집중도 역시 모든 모형에서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t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among industri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variables, firm performance in Korean listed company panel datasets for 1999-2011.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how R&D investment of the current term affects firm performance, R&D investment of the current term showed meaningful negative affects statistically. However, R&D investment in the right former term and other prior terms showed meaningful positive affects statistically. Therefore, R&D investment in the past has positive effects on enterprise performance with a time difference. Second, educational inves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statistically. Educational investment in the current and past terms does not positively affect firm profits of the current ter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that educational investment would affect firm profits positively. Third, in all the analysis models, several industrial characteristics(market concentration ratio, R&D intensity, R&D concentration ratio) positively effect firm performance.

      • KCI등재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연계화

        김아영(Ahyoung Kim),이규민(Guemin Lee),반재천(Jae-Chun Ban),차정은(Jung-Eun Cha)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개정된 성인용 직업적성검사와 기존 성인용 직업적성검사를 연계(linking)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일집단설계와 무선동등집단설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계화 작업에 앞서 개정판 검사와 기존판 검사가 측정하는 구성요인의 비교성 검증을 위해 하위검사간 상관과 하위요인간 상관을 분석하였다. 연계화를 위해 무선동등집단 설계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 동백분위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표집에 따른 무선오차를 줄이기 위해 큐빅 스플라인 방법으로 연계화 함수를 사후 완곡화 하였다. 연계화에 따른 오차를 파악하기 위해 각 점수별로 연계화 오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bootstrap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계화 결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일집단 설계 자료를 이용하여 동일 피험자가 기존판 검사를 본 후 산출된 척도 점수와 개정판 검사를 본 후 연계화를 통해 얻어진 척도점수를 비교ㆍ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linking scores between old and new vocational aptitude batteries for adults. Both single-group and random-groups data collection designs were administerd to gather data for proposed analyses. Before conducting actual linking procedures, the degree of construct compatability between old and new test batteries was checked by investigating correlation matrices among sub-tests and sub-factors in batteries. Equipercentile linking procedures with a cubic-spline post-smoothing technique were applied to find linking relationships between old and new vocational aptitude batteries. The cubic-spline post-smoothing technique helps to reduce linking errors due to random selection of examinees for linking. Linking error on each score point was calculated by using the Bootstrap re-sampling technique. The validity of applied linking procedures was examined by comparing examinees' scale scores from single-group design that forced examinees to take both old and new vocational aptitude batteries.

      • KCI등재

        초등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1

        김아영(Kim, Ahyoung),안경자(Ahn, Kyugnja)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영어 디지털교과서의 수업과 가정에서의 활용에 대한 인식과 언어기능별 인식을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교사 38명, 학부모 75명,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사, 학부모, 학생의 디지털교과서 경험과 활용도는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를 서책형 교과서의 보조수단으로 도입해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것에는 대부분 찬성했다. 교사와 학부모의 경우 디지털교과서 활용 여부가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학생들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 디지털교과서를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교사와 학부모의 이해도와 관심도는 모두 낮은 편이었는데, 이해도에서는 교사가 학부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반면, 관심도는 학부모가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음으로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영어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지만, 디지털기기 활용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언어 4기능을 영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특히 디지털교과서의 영상 및 애니메이션을 활용할 것을 기대하면서 듣기 기능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보았고, 음성 언어가 문자 언어보다 영어 디지털교과서로 학습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인식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영어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을 촉진시키는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와 효과적인 기능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영어 디지털교과서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tha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old regarding the use of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s (EDT). The participants included 38 elementary teachers, 75 parents, and 89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ll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was done with four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using EDT were limited. However, they had positive view on the use of EDT in classrooms. In particular, students who experienced English lessons with EDT preferred to use EDT in their classrooms. Second, both the teachers and parents had fairly low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EDT. However, the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parents while the pare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the teachers. All the groups agreed that using EDT in classes would improv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but they worried that the prolonged use of digital devices would negatively affect the students’ eyesight. Lastly the participants felt that all 4 basic language skills could be nurtured using EDT.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use of animation in EDT as a beneficial tool for improving listening comprehension and found EDT to be more helpful for speaking skills over writing skills. Such findings imply that various high-quality contents and effective functions of EDT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More support is needed to facilitate appropriate use of EDT in classrooms and at hom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넷플릭스 딜레마 : 플랫폼 아비투스 시대, 한국 방송영상 제작시스템 변화에 관한 연구

        김아영(Ahyoung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4 언론과 사회 Vol.32 No.2

        이 연구는 ‘플랫폼 아비투스’라는 개념을 통해 넷플릭스 이후 한국 방송영상 제작시스템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글로벌 OTT가 제공하는 막대한 제작 자율성과 제작비는 한국 방송영상물의 질적 도약이라는 원리를 근간에 둔다. 이 점에서 제작자들은 여러 딜레마적 상황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방송한류’를 위시한 산업 규모나 수출액 검토에 집중하고 글로벌 OTT와의 협업을 낭만화하는 대신 생산자의 시선을 통해 제작현장의 변화를 읽어내고자 했다. 연구결과 지배적 행위자인 넷플릭스를 통해 영화 장의 유입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펀드레이징부터 스태프 고용, 배급자 섭외를 총괄해온 영화 감독들의 풍부한 경험치, 티켓과 구독으로 비용을 지불할 만큼의 장르물을 만들어내는 영화 장의 고유한 특성이 넷플릭스와 합치됐다. 기술적 차원에서, 넷플릭스의 세분화된 제작 공정은 글로벌 표준 감각을 익힐 수 있는 기회로 부각됐다. 제작자들은 넷플릭스와 같은 대자본의 총량에 특화된 아비투스를 형성해 나가면서 ‘돈의 두께’만큼 콘텐츠IP의 양도를 인정했다. 한국 예능 고유의 특수성인 자막의 소거와 일상성의 소멸은 넷플릭스 젠트리피케이션의 일면이었다. 한국 콘텐츠의 투자 가능성과 전 세계 수익성은 양화된 데이터에 근간해 이미 계산된 것이나 다름 없었다. 넷플릭스의 데이터 권력은 제작시스템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하면서 국내 제작자의 절합적 사고와 대안적 고민을 가로막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전통적인 방송 장의 공공성 아비투스가 OTT라는 새로운 방송 장의 플랫폼 아비투스로 변화되는 징후로 읽을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ructural shifts withi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by exploring the notions of “platform habitus” with an emphasis on producers i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What impact has the emergence of Netflix had on the Korean broadcasting production system?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deep-rooted boundary between genres in the broadcasting and the cinematic fields is being dismantled, as more film directors are venturing into series production. In addition, with the increased fragment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strengthened quality control (QC) for content, domestic producer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global standards. On the surface, Netflix appears to take bold risks with its original content, but this approach is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global performance ofits original content, which is transmitted as digital files. While the intellectual property (IP) rights of Korean content belong to Netflix, on par with the “scale of funding” provided by the company, the phenomenon in which Netflix eliminates the distinct production methods and uniqueness of domestic entertainment content has been dubbed “Netflix gentrification.” Meanwhile, from a similar perspective of “securing content IP,” the difficulty faced by domestic broadcasters in adjusting or transforming their power dynamics with Netflix is attributed to Netflix’s “data power.” The investment potential and global profitability of K-content are “already calculated” based on quantified data using algori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