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제격 ‘안 /은/난 /는’과 목적격 ‘알/을/랄 /를’의 단일화에 대한 일고찰

        김성옥(Kim, Seong-ok)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간찰을 대상으로 주제격 ‘안/은/난/는’과 목적격 ‘알/을/랄/를’에 대한 단일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체언말음이 폐음절일 경우, 주제격과 목적격과의 연쇄에서 이들이 연철표기이면 대체로 주제격은 ‘안’, 목적격은 ‘알’이 쓰이고, 분철표기이면 ‘은’과 ‘을’이 주로 쓰이는 가운데, 16세기 중반의 순천김씨 한글간찰에서는 연철표기이면서 주제격 ‘안’과 목적격 ‘알’이 연쇄한 ‘CVC+안→CV$C안’형과 ‘CVC+알→CV$C알’형이 분철표기이면서 ‘은’과 ‘을’이 연쇄한 ‘CVC+은→CVC$은’형과 ‘CVC+을→CVC$을’형보다 훨씬 높은 빈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다가 17세기 초반의 현풍곽씨 한글간찰에 가면 분철표기의 확산으로 인하여 연철표기인 ‘CVC+안→CV$C안’형과 ‘CVC+알→CV$C알’형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이어 18세기 이후의 은진송씨 한글간찰에서는 ‘안’ 과 ‘알’은 체언말 ‘ㅅ’과의 연쇄 외에는 발견되지 않고, 대부분 분철표기이면서 주제격 ‘은’과 목적격 ‘을’이 연쇄한 ‘CVC+은→CVC$은’형과 ‘CVC+을→CVC$을’형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폐음절과는 달리 체언말음이 개음절에서는 주제격 ‘/는>는’과 목적격 ‘랄/를>를’의 변화 과정이 아닌, 16세기에서 19세기 한글간찰에 이르기까지 주제격 ‘난/는’과 목적격 ‘랄/를’이 ‘는’과 ‘를’로는 아주 간헐적으로만 보이고, 대부분 ‘ㆍ’가 있는 ‘난’과 ‘랄’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16∼19세기의 한글간찰에서는 주제격 ‘안/은/난/는’과 목적격 ‘알/을/랄/를’이 체언말음이 폐음절일 경우는 주제격 ‘안/은>은’과 목적격 ‘알/을>을’로의 변화 과정을 보이지만, 체언말음이 개음절일 경우는 16세기 중·후반기에 이미 주제격은 ‘난’, 목적격은 ‘랄’로의 단일화적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여 이들이 19세기에 이르기까지도 ‘’과 ‘’로의 표기적 경향성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chronically analyze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subject case, ‘안/은/난/는’, and the objective case, ‘알/을/랄/를’, of Hangeul Letters from the 16<SUP>th</SUP> to 19<SUP>th</SUP> centuries. Therefore, when the nominal stem final is a closed syllable, Hangeul Letters from the Kims of Suncheon in the mid-16<SUP>th</SUP>century showed more ‘CVC+안→CV$C안’ form and ‘CVC+알→CV$C알’ form, phonetic notation and a connection of subject case ‘안’ and the objective case ‘알’ rather than ‘CVC+은→CVC$은’ form and ‘CVC+을→CVC$을’ form,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a connection of ‘은’ and ‘을’. However, in the Hangeul Letters from the Gwak of Hyeonpung in the 17<SUP>th</SUP> century, use of ‘CVC+안→CV$C안’ form and ‘CVC+알→CV$C알’ form was decreased due to the common use of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In the Hangeul Letters from the Song of Eunjin after the 18<SUP>th</SUP> century, ‘안’ and ‘알’ didn’t appear other than in connection with noun final ‘ㅅ’. It was mostly with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and ‘CVC+은→CVC$은’ form and ‘CVC+을→CVC$을’ form, a connection of the subject case ‘은’ and the objective case ‘을’, appeared. On the other hand, unlike closed syllables where the change of subject case was ‘난/는>는’ and the object was ‘랄/를>를’, for the nominal stem final in open syllables from 16<SUP>th</SUP> century Hangeul Letters to 19<SUP>th</SUP> century Hangeul Letters, the subject case ‘난/는’ and the objective case ‘랄/를’ appeared rarely as ‘는’ and ‘를’, but mostly appeared with ‘ㆍ’ such as ‘난’ and ‘랄’. Therefore, in the Hangeul Letters of the 16<SUP>th</SUP>∼19<SUP>th</SUP> cneturies, the subject case ‘안/은/난/는’ and the objective case ‘알/을/랄/를’ showed the changes of ‘안 /은>은 and ‘알/을>을’ when the nominal stem final was a closed syllable, but when the nominal stem final was an open syllable, it showed the unified aspect of the subject case as ‘난’ and the object ‘랄’ in the mid·late 16<SUP>th</SUP> century and showed notional tendency as ‘난’ and ‘랄’ until the 19<SUP>th</SUP> century.

      • KCI등재

        알칼리도와 경도가 클로로필-α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옥 ( Sung Ok Kim ),학성 ( Hag Seong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1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is done to prove the premise that both alkalinity and hardness affect on the dissolved phosphorus concentration so that the growth of algae is also affected in water bodies like rivers and lak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data of 13 reservoirs collected for the last decade shows the relations between alkalinity and chlorophyll-α and between haedness and chlorophyll-α are not linear but follow second order equation. This relation seems to be due to two antagonistic effects accompanying a simultaneous increase in alkalinity and hardness. The increase stimulates the growth of algae by supplying carbonates and Ca2(+) to algae and at same time it causes a decrease in soluble phosphorus which retards algae to grow. These opposing tendencies are confirmed by theoretical calculations with the MNTEQ model. There seems to be ranges of alkalinity and hardness that are in favor of algae growth; the ranges are less than 44mg/L as CaCO3 in alkalinity and also less than 63mg/L as CaCO3 in hardness. This finding will provide a solid base to develop an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water bodies.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외국의 외래처방 제네릭 의약품의 입찰제 운영 현황과 시사점

        김성옥(Seong-Ok Kim) 한국유통학회 2015 流通硏究 Vol.20 No.3

        외래처방 의약품 입찰제는 약제비 절감 방안의 일환으로 뉴질랜드를 필두로, 유럽 6개국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특히 뉴질랜드의 경우 입찰제 대상 제네릭 의약품은 급여의약품의 절반에 해당하여 광범위하게 입찰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글은 뉴질랜드 외에도 외래처방 의약품 입찰제를 실시하고 있는 네덜란드, 독일, 벨기에, 말타에서의 입찰제 담당기관과 적용 의약품 사례, 입찰제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 및 제도 효과와 문제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캐나다, 호주와 영국에서는 국가 정책으로서 입찰제 도입 타당성과 예상효과에 대한 검토를한 경험도 있어 향후 외래처방 의약품에 대한 규제 방안으로 확대가능성이 있다. 외래처방 입찰제 운영 결과 약가 인하를 통해 약제비 절감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2012년부터 시행된 “동일성분·동일약가 정책” 외에 별도의 제네릭 약가규제 방안이 부재한 우리나라에서 제네릭 약가를 추가적으로 인하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도입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약제비 절감을 위한 목적 외에도 의약품 입찰제를 통해 의약품 유통의 투명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부가적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나라 유통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적극 검토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제네릭 의약품 품질과 효능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먼저 선행하여야 하며,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김성옥(Seong ok Kim),정태(Jeong tae Kim)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 중에서 19세기 말 ~ 20세기 초 간찰에 대한 표기를 분석하여 개화기 국어의 표기법 특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간찰자료는 구어적인 요소(연철과 중철표기 등)와 표기의 보수적인 요소(' · '의 혼기 양상과 ㄹㄴ표기형 등)가 함께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철 · 중철 · 분철표기가 혼기되는 가운데 분철표기는 곡용에서, 연철표기는 활용에서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연철표기와 분철표기의 양상이 시대별 표기경향과 더불어 형태론적인 범주별 표기경향 또한 배제할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중철표기의 경우, 곡용은 체언말에 'ㅅ(ㄷ)'을 가진 어형에서, 활용은 현대국어의 용언 '있­'에서 대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된소리 표기에는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고 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ᄡᅥᆺᄉ · ᆸᄂ · 이다(1164), 바ᄂ · ᆯ 세 ᄡᅣᆷ(1164), ᄡ · ᆺᄂ · ᆫᄃᆡ(1202)' 외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 · '가 비음운화되었음에도 본 간찰자료에서는 'ᄒ · 나(하나 1147), ᄉᆡᆼ각(생각 1131), 동ᄂᆡ(동네 1151), 쳘ᄂ · ᄅ · (>철로로, 1191), 만흘ᄉ · 록(>많을수록, 1150), 모ᄅ · 오니(모르오니 1063)' 등, ' · '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음절말 'ㅅ'표기를 통하여 현대국어에서 용언어간의 '있­'과 문법형태소 '­았/었­, ­겠­'이 이 당시는 기저형이 '잇­, ­앗/엇­, ­겟­'이었음을 추정하였다. 다섯째, ㄹㄴ형이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팔니면(1135), 놀납­(1152)'처럼 용언에서, '쳘ᄂ · (鐵路 1191)'처럼 한자어 구성에서, 그리고 'ᄯᅡᆯ노(1130), ᄉ · 별노(1130), 시골노(1151)'처럼 체언말 'ㄹ'과 부사격조사 '로'의 결합인 곡용 등에서 ㄹㄴ형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글간찰을 통한 개화기 국어의 다양한 표기상의 혼기는 『한글마춤법통일안』(1933)을 계기로 현대국어와 같이 통일화 및 규정화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orthography of letters us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Dongchu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to consider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is, it's found that in Hangeul Letters coexist colloquial elements(yeoncheol & jungcheol writing and etc.) and conservative elements of writing(' · ' intermixed, ㄹㄴ-writing and etc.). First, while yeoncheol/jungcheol/buncheol writings were intermixedly used, buncheol writing appeared more in declension, yeoncheol writing in inflection. For this reason, it discussed that the phases of yeoncheol and buncheol writing cannot exclude the writing tendency by morphologic category along with the writing tendency by time. As for jungcheol writing, most of jungcheol writing appears in word form with 'ㅅ(ㄷ)' at the end of nouns while most of inflection appears in '있­', a predicate of modern Korean. Second, "ㅅ"-initial onset Clusters are used to write fortis while 'b'-initial onset clusters are hardly found. Third, though ' · ' gets nasalized, it appears in various forms like 'ᄒ · 나(hana 1147), ᄉᆡᆼ각(saenggak 1131), 동ᄂᆡ(dongnae 1151), 쳘ᄂ · ᄅ · (>cheolroro, 1191), 만흘ᄉ · 록(>maneulsurok, 1150), 모ᄅ · 오니(moroni 1063).' fourth, through writing 'ㅅ' at the end of syllable, it's guessed that '있' of predicate stem and '­았/었­, ­겠­' of verbal conjugation in the modern Korean were '잇­, ­앗/엇­, ­겟­' in their underlying form at that time. Fifth, it's found that 'ㄹㄴ'-form appeared in various settings. It appeared in predicates like '팔니면(1135), 놀납­(1152),' in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like '쳘ᄂ · (鐵路 1191)' while declension appeared in 'ㄹㄴ'-form by adverbial particle, '로,' combined with 'ㄹ' at the end of noun like 'ᄯᅡᆯ노(1130), ᄉ · 별노(1130), 시골노(1151).' This intermixing of various writings in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got unified and codified as in modern Korean when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Hangeul』(1933) was decreed.

      • KCI등재

        18~19세기 한글간찰의 표기법적 고찰 - 동춘당 송준길가(家)의 미주해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김성옥(Kim Seong-ok)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1 No.-

        본고는 18세기∼19세기의 동춘당 송준길가의 한글간찰들 중 미주해분 150여 편을 판독 및 분석하여, 이들 한글간찰에서의 표기법적 특징 및 표기상의 규칙성을 살핌을 목적 으로 하였다. 먼저 본 한글간찰에서의 표기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철·중철·분철표기와 관련하여 곡용은 체언말 ‘ㅅ’과 체언말 자음군에 한해서만 연철표기이고, 나머지는 분철표기이다. 활용은 장애음과 공명음 모두에 연철표기와 분철 표기가 비슷한 빈도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후기 근대국어에서의 곡용은 분철표기가 정착 단계에 이른 반면, 활용은 분철표기가 확산되어가는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철 표기의 경우, 완전중철표기는 체언말 ‘ㅅ’에 한해서만 나타나고, 부분중철표기는 격음에 한해서 ‘ㅅ$격음’형과 ‘평음$ㅎ’형으로 나타난다. 둘째, 본 한글간찰에서의 어두 된소리는 ㅅ계 합용병서(ㅺ, ㅼ, ㅽ, ㅾ, ㅆ)가 쓰인 가운데, ‘ㅅ’의 어두 된소리에 한해서만 ㅂ계 합용병서인 ‘ㅄ’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그 당시 각자병서의 쓰임이 일반적이지 않았고, 또 ‘ㅅ’의 어두 된소리 ‘ㅆ’이 합용병서의 조합이긴 하지만 이것이 각자병서 형(形)을 보임에 따라, ㅂ계 합용병서인 ‘ㅄ’이 쓰였던 것으로 보았다. 셋째, 음절말 ‘ㄷ’과 ‘ㅅ’ 표기와 관련 하여 본 한글간찰에서는 음절말 ‘ㄷ’ 표기는 나타나지 않고, 음절말 ‘ㅅ’만이 기저형 음절말 ‘ㅅ’의 ‘ㅅ’ 표기. ‚음절말 ‘ㄷ’이 ‘ㅅ’과의 중화로 인한 ‘ㅅ’표기. ƒ평파열음화로 인한 ‘ㅅ’ 표기. „음절말 자음군과 관련된 ‘ㅅ’ 표기 등에서 나타난다. 넷째, 주제격 ‘/ 은 // 는’과 목적격 ‘/ 을 // 를 ’의 표기 양상이 매우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이를테면 체언말이 폐음절이면 ‘은, 을’로 나타나고, 체언말이 개음절이면 ‘,  ’ 로 나타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한글간찰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기상의 규칙적 체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곡용은 체언말 ‘ㅅ’을 제외하면 대부분 분철표기로서의 규칙성을 보인다. 둘째, 어두 된소리는 대부분 ㅅ계 자음군으로 표기되었다. 셋째, ‘ㄷ’과 ‘ㅅ’의 중화에서 실제 음성형은 [ㄷㄱ]임에도 불구하고 음절말에서의 ‘ㄷ’ 표기는 나타나지 않고, ‘ㅅ’만이 나타나는 표기상의 규칙성을 보인다. 넷째, 주제격 ‘/ 은 // 는 ’과 목적격 ‘/ 을 // 를’의 경우, 체언말이 폐음절이면 ‘은, 을’이, 체언말이 개음절이면 ‘,  ’ 이 표기되는 등 의 규칙성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ularity of no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rthography in Hangeul Ganchal by analyzing and analyzing about 150 volumes of the Hangeul Ganchal Endnote Reference of Dongchoondang Song Junkil s family in the 18th to 19th century. First, in relation to notation of liaison spelling, double spelling, and separating spelling, declension is notation of liaison spelling only in noun­final ‘ㅅ’ and noun­final consonant group, and the rest is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The inflation appears to have a similar frequency of notation of liaison spelling, and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in both obstruent and sonorant sounds. As a result, the declension in the later modern Korean language was found to be the stage of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while the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was in the stage of settlement. The notation of double spelling is shown only for noun­final ‘ㅅ’ in case of full notation of double spelling and partial notation of double spelling appears as ‘aspiration$ㅅ’ type and ‘plain consonant$ㅎ’ type only for aspiration. Second, the initial word fortis of this Hangeul Ganchal has ㅅ type different consonants in parallel (ㅺ, ㅼ, ㅽ, ㅾ, ㅆ), but only the initial word fortis of ‘ㅅ’ appears ‘ㅄ’ of ㅂ type different consonants in parallel. This is because the use of double consonants in parallel at that time was not common, also, although ‘ㅆ’, initial word fortis of ‘ㅅ’, is a combination of different consonants in parallel, ‘ㅄ’ of ㅂ type different consonants in parallel were used as this showed double consonants in parallel. Third, regarding the syllable­final ‘ㄷ’ and ‘ㅅ’ notation, syllable­final ‘ㄷ’ notation did not appear in this Hangeul Ganchal, and only syllable­final ‘ㅅ’ appeared in  ‘ㅅ’ notation of underlying forms syllable­final ‘ㅅ’ ‚ ‘ㅅ’ notation due to neutralization with ‘ㅅ’ of syllable­final ‘ㄷ’ ƒ ‘ㅅ’ notation caused by plain plosive „ ‘ㅅ’ notation related to syllable­final consonant group, etc. Fourth, the notation of the subject case ‘/ 은 // 는 ’ and the objective case ‘/ 을 // 를 ’ appears very regularly. For example, if noun­final is closed syllable, ‘은, 을’ appear and if noun­final is open syllable, ‘,  ’ ap pear mostly.

      • KCI등재

        무산소역치 측정을 위한 심박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성옥(Seong 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무산소역치를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 측정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바탕으로 무용수의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를 측정함으로써 무용수의 운동능력을 평가하고 무용 연습 기준의 설정 등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무용교육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피험자는 무용전공 여대생 8명이며, 트레드밀을 이용한 다단계 운동부하 검사 시 심박수, 산소 섭취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환기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심박수 및 환기변인을 통하여 심박수역치와 환기역치를 결정한 후, 두 역치 간에 4가지 측정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심박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둘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산소섭취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셋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넷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환기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점증적 다단계 운동부하방법을 통하여 결정된 심박수역치는 무산소역치를 추정하는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goodness-of-fit of AT measurement with heart rate as a plan to measure AT easily, which has already been used variously, in technical and economical aspects. By measuring anaerobic threshold using dancer's heart rate with these verification, it may supply foundation of more scientific and reasonable dancing education such as estimation dancer's exercise ability and establishment of dancing practice standard. 8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dance were involved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heart rate, oxygen consumption,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ventilation were measured in graded exercise stress test with a treadmill. After determining heart rate threshold and ventilatory threshol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heart rate and respiratory gas, whether the two thresholds have differences in their four measured factors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heart rate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heart rate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ventila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o use heart rate threshold determined by graded exercise test is regarded as a proper method to measure the anaerobic threshold.

      • KCI등재
      • KCI등재

        의료급여 환자 대상 의약품 중복투약 관리프로그램이 약국약제비와 원외처방조제서비스 이용에 용에 미치는 영향

        김성옥 ( Seong Ok Kim ),박실비아 ( Sylvia Park ),이주향 ( Ju Hyang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4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0 No.1

        The prevention program of medication duplication for the Medicaid patients has been implemented since March 2010 to prevent duplication of same ingredient administration in outpatient prescription.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short term effect of the program in terms of saving in medical expenditure and shortening of medical use using segmented regression analysis.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March 2009 to August 2011 to was used to explore the prevention program of medication duplication for the Medicaid patients with segmen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influenced on the use of outpatient prescription services (measured as prescription days) and pharmaceutical expenditures (measured as pharmacy costs). Although this study has significant limitation that the comparison period has duplicated with the Drug Utilization Review program initiation (October 2010), but DUR didn`t manage any limitation to the outpatient prescription services. Thus we assume the decreasing effect of outpatient prescription services and pharmaceutical expenditures mainly due to the prevention program of medication duplication. However, the patients identified as medication duplication users are mostly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comprehensive measure to prevent medication duplication to promote rational use for the Medicaid patients. Since medications for chronic diseases were screened with the prevention program of duplication, policy makers need to develop comprehensive drug review and management service to improve rational drug use.

      • KCI등재

        이수정 역(譯) 『신약마가젼복음셔언□』(1885)의 표기 특징 및 국어학적 의의

        김성옥 ( Kim Seong-ok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이 연구는 이수정과 그의 역(譯) 『신약마가젼복음셔언□』(1885)에서의 격조사 및 음운현상의 표기 특징 등을 살피는 데 있다. 조선의 유학자 이수정은 1880년대에 일본에서 기독교 활등을 역동적으로 한 인물이다. 그의 역(譯)에 대한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격조사이다. 체언말 ‘ㅅ’과 ‘ㄹ’, 명사형 어미 ‘ㅁ’ 등의 환경에서는 당시의 표기형 및 표기자의 표기 관습 등이 보이긴 하나 체언과의 연쇄에서 대체로 분철표기라든가, 목적격과 주제격조사가 한글편지나 학부 편찬 개화기 교과서의 ‘□, □’과는 달리 ‘를’과 ‘는’으로 일관되는 등의 현대국어의 표기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폈다. 음운현상의 경우도 평파열음화에서는 표기사적 변화에 따른 음소주의 표기법이 보인다. 하지만 어두제약현상에서 어두 ‘ㄹ’은 ‘ㄴ’과 ‘ㄹ’ 탈락형이, ‘i·y’ 앞의 어두 ‘ㄴ’은 유지형보다 ‘ㄴ’ 탈락형이 우세하다. 구개음화는 몇몇 용례 외에는 구개음화의 실현형이, 원순모음화는 형태소 내부에서는 실현형으로, 그렇지 않은 형태소 경계에서는 미실현형으로 출현하는 등 현대국어의 표기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펴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Lee Sujeo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s in terms of case marker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in his translation of “Shinyak Magajeon Bokeumshyeo Eonhae” (1885). Lee Sujeong, a Confucian in the Joseon Dynasty, is a person had Christian activity dynamically in Japan in the 1880s . The main points for discussion in his translation is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h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s in modern Korean, such as mostly showing syllable transcriptions in a connection with nouns and to be consistent in using “를” and “는” differently with the appearance of “□” and “□” in Korean or the textbooks of the enlightened period for the objective case and subject case, respectively. However, it shows transcription custom of transcribed person in a specific environment such as noun final “ㅅ” and “ㄹ” and nominal ending “ㅁ” in the case of case markers, which is the limitation of personal transl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transcriptions in modern Korean such as “ㄴ” and “ㄹ” elimination is superior at the beginning of word “ㄹ” and “ㄴ” elimination is superior than maintain at the beginning of word “ㄴ” in 3front of “i·y” in the beginning of word constraint phenomenon. Palatalization is shown excluding several usages, realization inside morphemes and un-realization at the boundary of morphemes not inside in vowel rounding though phonemic transcriptions according to transcriptive change of flat closed negative is shown in phonological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