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 분석

        김성숙(Kim, Sung suk),서현아(Soe, Hyun ah)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는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아 293명과 그들의 부모 293명을 대상으로 놀이참여와 놀이몰입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일치 집단이 불일치 및 낮은 일치 집단에 비해 자녀 놀이몰입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유아 놀이몰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greement and infants’ play immersion. Accordingly, we measured the level of play participation of 293 parents and 293 infants’ play immersion using related meas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play immersion in infants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play participation. Second,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Third, the congruent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 and mother play particip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incongruent and low concordanc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 increasing infants’ play immersion, the level of parental play participation must consistently be high.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nfants’ play immersion.

      • KCI등재

        유아의 메타인지와 창의성과의 관계

        김성숙(Kim Sung-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메타인지와 창의성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D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6세 유아 60명을 임의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메타인지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F값을 산출하여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아의 메타인지 수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메타인지와 창의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메타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인지 수준이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메타인지와 창의성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메타인지를 촉진하는 교수법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성공적인 교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influence their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six-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 class. Data was collected with a metacognitive knowledge test, a metacognitive skill task and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Pearson r and Sim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It was also revealed that metacognition was predicted to have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us, metacognition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김성숙 ( Sung Su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24개의 성격 강점과 이러한 성격 강점이 행복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26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성격 강점과 행복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24개의 성격 강점 중 감사, 사랑, 낙관성, 개방성, 친절성, 유머감각, 진실성, 그리고 시민 정신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영성, 용감성, 용서, 자기조절, 학구열, 활력, 리더십, 그리고 지혜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성격강점 중 겸손을 제외한 23개의 성격 강점이 행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지능, 감사, 호기심, 사랑, 활력, 낙관성, 감상력, 시민 정신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24 character strengths from Likert scale responses of 2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happiness. Results reveal that 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ored high in gratitude, love, optimism, open-mindedness, kindness, humor, authenticity, and citizenship and they scored low in spiritually, bravery, forgiveness, self-regulation, love of learning, vitality, leadership, and wisdom; 2) character strengths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perceived sense of their happiness in general with the exception of modesty; 3) regression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gratitude, curiosity, love, vitality, optimism,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citizenship and perceived happiness.

      • KCI등재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김성숙 ( Sung Su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5세 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행복의 의미가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3명을 대상으로 그 면담을 실시하였다. 행복에 대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한 면담을 통하여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행복과 유아들이 지니고 있는 행복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생각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첫째, 물질적 풍요, 둘째, 좋은 기분, 셋째,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 그리고 넷째, 일상에서 느끼는 보람을 행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관점에서 행복의 의미를 살펴보도록 함으로써, 진정으로 유아를 위한 교육, 즉 행복한 유아를 위한 교육을 위해 앞으로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When are young children able to think abstractly about happiness, about when they are happy and what makes them happ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what happiness, an abstract term, means to children and how do they articulate what they recognize and call happiness. Forty-three young children from two daycare centers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narrations on how they experienced happiness and thought abstractly about it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ur young children, first, an abundance of material goods means happiness. Second, a good mood means happiness. Third,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means happiness. Finally, engaging in a worthwhile task means happ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earning what happiness means from a child`s point of view could allow them to cognitively and experientially explore their conceptualizations through curriculum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is to say, the point of view of young children could be the basis for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happy young children.

      • KCI등재

        Rasch 측정 모형을 활용한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타당화

        김성숙(Kim Sung Suk),박찬옥(Park Chan Ok),설현수(Seol Hyun S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Rasch 측정 모형을 활용하여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세~만 5세 유아 313명을 대상으로 각 하위 유형별로 25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실시한 후, Rasch 측정 모형에서의 문항적합도, 표준잔차를 이용한 주성분 요인분석, 문항특성곡선, 평정척도 분석, 차별기능문항 분석, 분리 신뢰도, 분리지수, 층화지수를 구함으로써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하위 유형별 문항들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타당도를 저해하여 제거 혹은 재검토가 필요한 문항들이 확인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는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구인인 유아의 리더십 유형을 적절하고 안정적이며 일관성 있게 측정해주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이에 타당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 문항을 제외한 각 유형별 15개씩의 문항으로 구성된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leadership styl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LSRS-YC). For the purpose, LSRS-YC was applied to 313 young children aged four to five. Specially, The validation of LSRS-YC was tes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substantive, structural, generalizible aspect of validity. To examine the validity of LSRS-YC, Rasch Measurement Model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items were appropriate for the leadership style for young children. Also, the reliability of LSRS-YC was tested in the context of Rasch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tems of six subordinate styles possessed of reliability In conclusion, the leadership styl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consisted of 90 items under the six subordinate styles and became a validated test tool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성숙(Kim, Sung-Suk),조유나(Cho, You-Na),최윤이(Choe, Yun-Y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군포시의 자연, 축제, 시장, 공공기관, 도서관 등과 같은 지역 자원을 선정한 후 이를 소재로 지역 이해하기, 지역자원 체험하기, 활용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된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12차시로 구성된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을 12주간 만 4~5세 유아 197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 척도와 유아의 애향심 척도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과 애향심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화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역에 대한 지역공동체 의식과 애향심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의미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localiz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this program in actuality. For the purpose, regional resources of the Gunpo City, the target area for the study, were selected, to compose the localization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otal 12 classes such as understanding of local area, experience of local resource and its utilization by considering the growth and interest of infant. To verify the effect, 197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from Gunpo City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hange in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in a significa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proved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conclusion, the localiz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increased the young children"s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It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program at young child education centers as a meaningful social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김성숙 ( Kim Sung Suk ),서현아 ( Soe Hy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아 353명을 대상으로 유아 놀이성, 문제행동, 및 놀이몰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 놀이성은 놀이몰입에 정적인 예측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 놀이성은 유아 문제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유아 놀이몰입은 문제행동에 부적 예측 관계를 형성하였다. 넷째,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최근 누리과정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몰입이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 확인시켜 주어 유아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immersion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roblem behavior. For data, 353 young children located in city B were examined for playfulness, problem behavior, and play immer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playfulness had a positive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play immersion.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predicted child problem behavior negatively. Third, children's play immersion formed a negative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Fourth, play immer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young child’s playfulness and problem behavior.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considerably meaningful in that they can identify the causes of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the Nuri curriculum has recently been reorganized and operated as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confirming how children's playfulness and play immersion are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유아교육 및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김성숙(Kim Sung-Suk),강현경(Kang Hyun-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7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유아교육과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예비초등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hi-square 검증과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초등교사의 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으나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 수준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역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또한 유아교육관련 수강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아교육의 필요성,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필요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ity education.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276 student who were at university of education. A questionnaire using chi-square and t-test to analyze the data was developed and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of the subject agreed the necessa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ity education but, in fact, many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ity education. The result also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necessa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wareness abou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necessa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ity education.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육아 과정에서 경험하는 행복의 의미

        김성숙 ( Sung Su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육아 과정에서 경험하는 행복의 의미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2세에 해당하는 영아를 양육하는 기혼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아이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행복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첫째, 항상 웃음 짓는 즐거움, 둘째, 일상에서 느끼는 소소한 감사함과 감동, 셋째, 또 다른 나로 성장시키는 성취감, 넷째, ‘가족’이라는 최고의 유대감, 그리고 다섯째, 더 나은 내일을 꿈꾸게 하는 희망을 아이를 키우면서 느끼게 되는 행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 사회가 지니고 있는 출산과 육아에 대해 가질 수 있는 부정적인 생각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직접적이고도 긍정적인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analyzes mothers’ happiness that is derived by raising their infants. To the end, ten mothers who had infants aged 0 to 2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narrations on how they experienced happiness and thought about it abstractly when they spend time with their infants. The results as to what brings happiness to the mothers are as follows, (1) a smile on their face, (2) the impressments and thanks for their daily life, (3) the achievement of raising their infants like themselves, (4) a close family bond and (5) the hope for better future. These results reveal the true happiness that a mother experiences while nurturing their infants. and it can be regarded as a direct and positive solution for changing a negative mind about ‘childbirth and child nurturing’ to a positive and hopeful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