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의 적용을 통한 진로성숙도 성장 유형의 잠재계층 탐색

        김선미 ( Kim Seonmi ),서공주 ( Suh Kongju ),박찬호 ( Park C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연구에서 진로성숙도의 성장 유형 잠재계층을 탐색함에 있어 성장혼합모형에 문항반응이론을 결합한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을 제안하고 적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의 진로성숙도 변화 유형이 세 가지 점수 산출 방식(원점수, 표준점수,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 따라 잠재성장모형과 잠재계층 분류, 잠재계층 분류의 예측 요인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점수 산출 방식에서 모두 선형모형이 선정되었고 잠재계층의 수도 동일하였다. 다만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이용하였을 때 다른 두 방식의 점수와 달리 잠재계층 분류율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모형 적합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 분류의 예측 요인을 비교ㆍ분석하였을 때, 원점수와 표준점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변수가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어 점수 방식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교사관계는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사용하였을 때만 유의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로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제안하고, 주의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pply a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mixture model, as a combination of an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a growth mixture model, usable when exploring different latent classes of career maturity growth trajectories.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is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2016 through 2019, was sco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 responses on the career maturity scale. This resulted in a linear model for all three scoring types, with the same number of latent classes. However, when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used,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classification rates of latent classes, and the model fit was better, unlike the other two types of scores. In addition, when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ome of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not significant for raw scores and standard scores, indicating a distinct difference by score typ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Machine Learning과 Google Trends Data를 이용한 유가 예측 및 분석

        김선미 ( Seonmi Kim ),조두연 ( Dooyeon Cho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22 延世經濟硏究 Vol.29 No.2

        유가의 등락은 에너지 수입국인 우리나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며, 유가의 변동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가를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거시경제변수 외에도 웹 검색어 기반의 Google Trends Data를 이용하여 유가등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WTI 유가 예측 모형에서 석유 수요 및 공급 관련 설명변수를 활용한 모형의 예측력과 유가 하락기 동안 빈도가 높은 단어의 검색어 추세 변화량을 추가한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였을 때, 검색어 추세를 추가한 모형의 예측력이 개선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WTI 유가 예측에 영향을 주는 석유 공급 및 수요 변수 이외에 Google Trends 검색어 추세를 추가함으로써 예측력을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WTI 유가 예측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기 위해 Adaptive LASSO, Ridge Regression, Random Forest 모형 이외에 최근 가격 예측모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LSTM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정형데이터만 이용한 모형의 예측력에 비하여 Google Trends Data를 함께 이용한 모형의 예측력이 개선된다는 점을 보였다. Forecasting crude oil prices is an important issue, especially for Korea which is the importer of crude oil, since fluctuations in crude oil prices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y.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factors that may cause fluctuations in crude oil prices with macro variables as well as Google Trends Data. By employing data on oil demand and supply mainly used in forecasting models for WTI crude oil prices and trends on keywords highly searched during a period of a decline in oil prices, it analyzes whether it can improve forecasting power. We find that including Google Trends Data, besides data on oil demand and supply, can improve predictive ability over the sample period January 2004 to December 2020. To compare predictability in various models, we employ Adaptive LASSO, Ridge Regression, Random Forest, and LST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STM model outperforms other models when both structured data and Google Trends Data are jointly used.

      • KCI등재

        리커트 척도의 속성에 따른 구조방정식모형 추정방법 비교 : 모의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김선미(Seonmi Kim),박찬호(Chanho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로 수집된 자료의 속성에 따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료의 속성과 처리 방법에 따라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조건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리커트 척도 자료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한 적절한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의실험 연구를 통해 리커트 척도 자료의 속성에 따른 연속형 추정 방법과 범주형 추정 방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고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커트 척도 자료의 속성과 무관하게 범주형 추정 방법의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척도의 응답 반응 범주 수는 적합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요인당 문항 수와 표본 크기는 적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 수가 적어질수록,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자료의 속성에 따른 적합도 차이는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범주형 추정방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자료의 속성에 따른 적합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for Likert scale data. This study compared the model fit according to the data attributes and the estimation methods, and identifi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ifference occurred.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an appropriate estimation metho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when using the Likert scale data. simulation analyses compared the model fit of the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 with the continuous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Likert scale data using the simulated data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fit of the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 showed good overall results regardless of the attributes of the Likert scale data. Second, the number of response categories did not affect the goodness of fit, while both the number of items per factor and the sample size affected the fit. Third, as the number of items decreased and the sample size increased, the differences in goodness of fit decreased. Fourth, the results of the real data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simulation study results by showing that the model fit of the categorical method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estimation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tegorical estimation methods should be preferentially used in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also provide specific criteria for conditions tha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model fit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data.

      • KCI등재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이 영아-부모 및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Kim, seonmi),김영실(Kim, young-sil),최진숙(Choi, ji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과 영아-부모관계 및 영아-교사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련성 여부와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18~30개월의 영아와 부모 131명과 교사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8~30개월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은 관례적 언어 이전의 의사소통의 수준이 가장 높고, 이해언어, 표현언어의 순서로 나타났다. 18~30개월 영아와 부모 및 교사의 관계에서는 영아-부모관계가 영아-교사관계에 비하여 갈등과 친밀 모두 더 높았다. 둘째, 18~30개월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은 영아-부모관계 및 영아-교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아-부모관계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 하위변인은 언어적 의사소통하기의 표현으로 나타났고, 친밀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은 언어적 의사소통하기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관계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에 대한 상대적인 설명력에서는 언어적 의사소통하기의 표현, 언어적 의사소통하기의 이해, 관례적 언어이전의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고, 친밀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은 언어적 의사소통하기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결론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은 영아-부모관계 및 영아-교사관계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며 대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 of child’s social-communic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parent and child-teacher, and its relevant. Methods The study subjects are 131 mothers whose 18 to 30 months old children who are taken care of at daycare centers and 54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centers.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20 Windows. Results The result are as below, First, the research shows that communication level before conventional language is the highest in relation to the ability of 18 to 30 month old child’s social-communication.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appears in order. Conflict and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18 to 30 month old children and parents are higher th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 Second, the research reveals that communication ability of 18 to 30 month old children are related to child-parent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ird, the study debunks that the sub-variable of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that influences on conflict of child-parent relationship is linguistic communicating expression and the sub-variable that leads intimacy is also linguistic communicating expression. The study shows linguistic communicating expression, understanding of linguistic communicating, and conventional understanding before language appears in order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influences child-parent conflict. Conclusions In summation, the study delineates that the ability of child’s social-communication influences on relationships between child-parent and child-teacher and human relationships as well.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자기효능감,학교생활 만족도 간 관계

        김선미(Seonmi Kim),박찬호(Chanho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진로성숙도, 자기효능 감을 설정하고 이들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2016년 대구교육 실태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로, 대구광역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751명을 연구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및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녀 집단 모두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학습활동,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행사 만족도도 높았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행사 만족도가 높았다. 성별 차이를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친구관계 및 학교행사에 대한 만족도는 낮으며, 교사 관계와 자기효능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 집단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학습활 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여학생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교사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보 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 숙도와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일반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성별 경로 차이 와 평균 차이도 확인함으로써 남녀학생 간 차별적 처치 방안을 확보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maturity,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paths between the gender groups by using a multigroup analysis and a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 analysis showed that the male students had lower satisfaction with friendship and school events than the female students. The means of the male students on 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activity was significant in the male group, while that of the self-efficacy on the learning activiti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female group. Also,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d on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was, the higher the learning activity,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of school event were. In addi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event satisfaction wer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male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elf-efficacy than the female students. Differential treatment by gender was suggested for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김대중 정부 이후 정부별 특수교육정책의 변천 과정 탐색

        김선미(Kim Seonmi),곽승철(Kwak Seung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이 연구는 제1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한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까지 우리나라 특수교육정책을 정부별로 살펴보고 특수교육정책 연구의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정부별로 국정과제,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관련 법령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각 정부 특수교육정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하였으며, 국내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에 나타난 특수교육정책의 내용 및 평가에 대해 고찰하는 등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정부별로 특수교육정책의 변천 과정을 살펴봤을 때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특수교육정책은 정부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정책을 수립하면서 시작되었으며, 교육복지정책이 지향하고 있는 가치와 방향성이 특수교육정책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각 정부는 공통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특수교육기관의 확충과 특수교사 증원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였다. 셋째, 전통적으로 분리교육 형태로 운영되어 온 특수학교와 물리적 통합 수준에 그쳤던 특수학급에 대하여 정부의 정책이 점차 통합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넷째, 정부별로 장애 정도와 장애 유형별 지원에는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특수교육정책은 정권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이 크지 않으나, 시대적 상황이나 교육계, 학부모, 여론 등 이해집단의 요구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론 정부별 특수교육정책 고찰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특수교육정책이라고 해서 특수교육이라는 범주 안에서만 한정하지 말고 일반 교육정책 안에서 장애학생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정책 단계의 흐름에 따라 정책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후 특수교육정책에 반영하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실효성 있는 특수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포털과 사회 관계망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와 필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그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policy in Korea from the Kim Dae-jung government which promoted the first plan for special education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policy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on the major government projects, the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laws, a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domestic prior studies and research reports. Results When examin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 by government, several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First,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started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the vulnerabl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values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had an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Second, the main policies of each government were to expand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Third, the government s policy was progressively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inclusive education for special school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operated in the form of separate education and special classes which were limited to the level of physical integration.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support by type of disability by government. Fifth,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government, but the demands of interest groups such as the times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parents, and public opinion have a great influ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review by government, the following are the recommendations of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prepare a legal and institutional plan that can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within the general education policy, rather than limiting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to only the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Second, research that analyzes how policies are formed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policy stage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a system that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m and reflects them in special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n order to establish and execut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analyze the needs and needs of various consumers in real time using various portal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에 담긴 역사이해방식

        김선미 ( Kim Seon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강진철은 1960년대 한국사 시대구분 논의를 주도한 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의 시대구분에 대한 논의는 1966년 『震檀學報』 29·30합집에 발표한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대한 一試論」과 1967년 12월과 1968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한국경제사학회에서 주최한 `한국사의 시대구분론`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高麗田柴科體制下의 農民의 性格」의 두 편의 글에서 잘 드러난다. 4·19혁명 이후 한국사학계에는 민족사학의 발전 속에서 일제하 식민사학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사의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한국사를 주체적이고 발전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런 한국사학계의 분위기 속에서 강진철은 사적 유물론을 기반으로 한 시대구분을 제시하며 세계사적인 역사발전의 기본 법칙이 한국사에도 원칙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국 사회의 발전과정을 설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특징은 국가권력의 일반 농민에 대한 收取樣式에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수취양식이 국가권력 대 농민이라는 생산관계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수취양식의 역사적 성격과 내용에 따라 고대와 중세를 구분하였다. 그가 시대구분의 기준을 수취양식에 둔 것은 한국 사회가 세계사적인 보편 법칙 따라 발전하였다는 점을 전제하였으나 한국사에서 노예제의 실체를 실증하기 어렵다는 1960년대 이전의 시대구분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일반 농민이 주된 생산주체이고 일반 농민이 부담한 租稅·貢賦·力役이 일반적인 수취양식이었던 구조 안에서, 그는 한국사회의 계기적 발전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수취양식의 성격과 이에 따른 농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국가가 농민을 파악하는 수취의 중점을 人丁에 둔 삼국부터 고려시대를 고대노예제적 사회구성체로, 토지에 기준을 둔 조선시대를 중세봉건제적 사회구성체로 규정하였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대노예제와 중세봉건제의 개념을 확대시켜 고대와 중세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였다. 일반 농민을 생산주체로 파악하고 농민에 대하여 관념적·의제적이지만 국가권력의 지주적인 성격을 인정하여, 국가권력 대 일반 농민의 수취를 매개로 구현되는 생산관계를 하부구조로 파악하였다. 강진철 시대구분의 또 다른 특징은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요인을 무신정권기 이후의 農莊의 형성·발달과 私的土地所有의 확대에서 찾았다는 점이다. 농장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토지에 대한 지배 의욕이 수취관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하고 인간의 노동력을 수탈하는 기조는 쇠퇴하였다. 또한 공동체가 해체되고 토지의 집단적 소유가 지양되면서 토지의 개별적인 사유의 형태가 진전·확립되었다. 농민경제의 성장과 토지소유관계의 발전에 따라 토지소유자는 지주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대노예제적인 성격의 농민이 중세농노적인 성격의 농민으로 변화되었다. 이처럼 강진철은 고려후기를 한국 역사 발전의 전환기로 보고 있다. 농장의 형성으로 인한 사적 토지소유의 확대와 생산주체인 농민의 노예적 존재에서 농노적 존재로의 성격 변화가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을 하는 발전적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하였다. 강진철의 시대구분론은 1960년대에 한국 사회의 주체적인 발전을 실증하려는 당시 한국사학계의 시대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다. 이제 이러한 요구에서 벗어나 21세기에 한국사를 연구하는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축적된 기존의 견해를 수렴하여 한국 전근대 사회에서 `고대`와 `중세`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내재적 발전론의 관점을 넘어서 한국 전근대 사회의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Jin-chul Kang was one of the scholars who led discussions in 1960s on dividing time periods in the Korean history. His views are well documented in `an argument on dividing eras of the Korean history` published in the combined volume 29 and 30 of `Jindanhakbo(震檀學報)` in 1966, and `the nature of farmer`s status under Jeonsigwa land system(田柴科) in Goryeo dynasty`, which he presented in December 1967 and March 1968 at a symposium organized by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History. He was critical of `the theory of stagnation` that regarded Korean society as a static one that lacked inner momentum for development. From a perspective of the world history, he embraced the law of historical evolution, and noting that the law could apply to the Korean history, proposed how to divide time periods of the Korean histor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What is notable about his chronological division of history is that he used the government`s method of collecting offerings from farmers as criteria. Accordingly, he argued that an ancient society is a society where the government collection focused on human labor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rough the reign by military officials in Goryeo dynasty), and a medieval society as a society where the focus shifted from labor to land (Joseon dynasty).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view is that he saw that the growth of farms and a subsequent expansion of private land ownership in the late Goryeo dynasty triggered a transition from the ancient to the medieval society. Following this change, land owners became more like landlords, and farmers more like serfs. Jin-chul Kang`s arguments during the 1960s on dividing eras in the Korean history came amid efforts to overcom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to view the Korean history in a more constructive light. Going forward,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go beyond identifying innate growth momentum of the Korean history, and enlighte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