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석배치 대안의 가시성능 평가 및 예측기술에 관한 연구

        김석태(Kim, Suk-Ta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5

        A study on techniques to evaluate auditorium assignment visible efficiency using three-dimensional simul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considered is to ensure the visibility to the podium upon assigning auditorium of venues, classrooms or seminar rooms. However, since there are so many variables to be considered such as the form of the stage, the area and height of the stage, size of screen, and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auditorium from the podium, the methods to assign auditorium are staying at the level of basic for a long time. Thus, in this study, we proposed simulation methodology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three-dimensional visible efficiency based on Visual Graph Analysis (VGA) theory. After analytical methodology manufactures application, it sets examples of visibility depending on location of screen, visibility depending on degree of height difference and visibility about three-dimensional Mass Zoning like a stage and verifies the efficacy. In addition, based on results, visibility expectation curve is drawn and the method to calculate the stepped height depending on necessary visibility is proposed.

      • KCI등재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인위감시체계의 공간대응성능 평가기술

        김석태(Kim, Suk-T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CCTV를 이용한 감시는 범죄를 억제하고 공적관계를 기록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정량적으로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론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상모델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설치대안에 따른 카메라의 공간적 대응성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과 분석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 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래스터기반의 ISOVIST분석방법론을 3차원적으로 확장하여, 각 시점에 입사되는 시선량을 누적시키 고, 동시에 각 측정지점에 연결되는 카메라의 중복감시량을 누적시켜 교차분석하는 것이다. 충돌감지모델을 이용한 분석어플 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예시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카메라의 배치대안별로 감시성능의 변화를 정량화시킬 수 있었으며, 가 시음영지역을 그래프로 재현하여 직관적인 검토와 보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CCTV-applied monitoring is an effective measure to suppress potential crimes and record objective relationship; however, there is no methodology that can quantitatively compare and assess the afore-mentioned effect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construct the methodology and analysis application that can measure the changes in the space-corresponding performance of CCTVs depending on installation measures by using 3-dimenstional 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For analysis, the raster-based Isovist theory was 3-dimensionally expanded and the amount of incident sight line to each point was accumulate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overlapped monitoring in the CCTV cameras that were connected to each measurement node was accumulated for cross-analysis. By applying the examples and analyzing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n analysis application in use of collision detection model and quantify the changes of monitoring performance depending on positioning alternative of the cameras. Moreover, it enabled intuitive review and supplementation by reproducing visible shadow areas in a graph.

      • KCI등재
      • KCI등재

        사인시스템 가시성능 측정을 위한 다차원 경로가시도 지표 및 분석기술개발 -종합병원 외래부 진료동선을 대상으로-

        김석태 ( Sukta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사인은 복잡한 공간에서 목적지를 찾기 위하여 방향정보를 전달하는 효과적 도구로서, 복잡한 공간일수록 효과를 발휘하는 길찾기 보조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사인은 방향전환이 발생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벽이나 천장, 바닥 등에 부착되지만, 벽 또는 사인 상호간의 차폐에 의해 인지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MDVC분석평가에서 사인가시도를 제안한바 있으나 보행자 영역 전체를 시점으로 설정한 전역적 가시도 분석으로서, 특정 목적지를 가진 보행자들의 경로를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기존의 이론을 개선하여 사인이 지시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시점으로 하는 경로가시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MDVC를 개선하여 MDVC-R을 개발하였다. MDVC-R은 VGA와 Raster기반 Isovist를 3차원으로 확장하고, 시점과 대상점으로 이원화된 스크립트로 정의하여, 3차원 공간모델과 시선의 차폐관계를 파악하여 가시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종합병원 외래부를 예시모델로 적용하여 4개의 출발점에서 3개 목적지까지 발생하는 12개경로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는 9개소 사인의 경로가시도를 산출하였다. 경로가시도는 경로상에서 공간전체를 인지할 수 있는 일반경로가시도와 전방 주시 보행자를 전제로 시야영역을 제한한 시야경로가시도로 구분하여 지표를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여 예시모델을 분석한 결과 개별사인의 경로가시도를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경로와 지표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사인의 위치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집중도, 정보전달의 고른 분포를 파악할 있는 균일도, 특정 경로가 사인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정보량인 지원도 등을 산출하여 가시성능을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목적지 또는 다음 사인까지의 방향지시를 목적으로 하는 유도사인이 목적지까지 발생하는 경로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가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히트맵으로 재현하여 직관적 분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부가적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1)기존의 사인가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인과 경로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보다 유의성 높은 가시도를 산출하였다. 2)사인 위치선정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응용지표를 개발하여, 개별사인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3)일반경로가시도와 시야경로가시도는 분석개념은 같지만 적용 목적이 다른 평가지표로서 목적에 따라 별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A sign is an effective tool for communicating directional information to those in search of a destination in a complex space, and it proves its effectiveness therein as a secondary means to searching for roads. Generally, a sign is mounted where the change of direction occurs, and it is attached to the wall, ceiling, or floor so as not to interrupt pedestrians; however, the cognitive performance of a sign could be deteriorated if it is clocked by a wall or other signs. Sign visibility was the topic proposed in a study, but that was an analysis of global visibility that set the whole pedestrian region as a viewing point and therefore was limited in that it did not reflect the route of pedestrians with specific destin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theory by developing a route visibility approach that places routes on signs that indicate destinations as visual points. (Method)This study developed a MDVC-R. A MDVC-R is a method of calculating visibility by expanding a VGA and a raster-based isovist in three dimensions, defining them as a dualized script with a visual point and a target point,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of the shield between a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and the line of vision. By applying an out-patient department as an exemplary model, we calculated the sign route visibility of 9 places regarding 12 routes that were generated from 4 starting points to 3 destinations. The index of the route visibility was calculated by distinguishing a general route visibility, which can recognize the whole space in the route, and a route visibility by sight , which limits the visual region of pedestrians who gaze from the front. (Results)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emplary model, which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the analysis application, we could extract the route visibility of an individual sign quantitatively. In addition, we could evaluate the visibility performance by calculating concentrativeness, which indicates that the proper location can be found 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ute and index, exposure uniformity, which indicates an even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ign information coverage, which is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by a sign regarding a specific route. (Conclusions)We calculated quantitatively whether introducing a sign that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next sign or destination matches the route visually, and we reproduced it as a heat map that made it possible to analyze it intuitionally. Regarding this, we obtained the following additional results. (1)After complementing the conventional sign visibility, we calculated significantly higher visibility and coul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 and route. (2)By developing an application index to evaluate the propriety of sign location selection, we could identify the problem of each sign objectively. (3)The analysis concept of the general route visibility and the route visibility by sight filed is the same, but the application purpose is different; therefore, we can apply them as a different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the purpose.

      • KCI등재

        지방분권 사상과 한국의 지방자치

        김석태(Kim Surk T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지방자치권은 국가권력에 비해 취약하기 짝이 없다. 민주화의 신념 등으로 확대된 지방자치권은, 토크빌(A. Tocqueville)이 일찍이 우려한 바와 같이, 점차 잠식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흐름에 맞서기 위해서는 지방자치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의 바탕이 되는 지방분권 사상에 대한 연구나 정리는 매우 일천한 수준이다. 이 논문은 지방자치 사상을 제시한 인물로 연방주의 이론의 창시자인 알투시우스(J. Althusius), 분권적 정부에서 통치의 이상향을 찾았던 제퍼슨(T. Jefferson), 19세기 초반 프랑스와 달리 성공한 미국의 민주주의를 지방자치에서 찾았던 토크빌, 그리고 자유론적 입장에서 지방자치를 주장한 스미스(J. T. Smith)의 주장을 살펴본다. 다음 이들의 주장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수용된 것과 거부된 것을 살펴 본 후, 밀(J.S. Mill)의 국가편의주의에 근거한 사고가 더 이상 우리나라에 적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지방분권 사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The power of local self-government is very venerable to the nation-state powers. Local autonomy once established by the events of democratic movements, as Alex Tocqueville once asserted, tends to be eroded by the mighty central authorities. To counteract such trends we need fully to aware the sprit of local self-government advocated by the political philosophers. However, the sprit or thoughts on the local autonomy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by the scholars. This paper traces some of the best known philosophers in local self-government. They are; J. Althusius who is the father of federalism and subsidiarity, T. Jefferson who laid foundation of decentralized government in America as a founding father, A. Tocqueville who found the success of American democracy in local self-governments in New England, and J.T. Smith who advocated the freedom local govern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Local Autonomy, however, this paper find out J.S. Mill’s notion of ‘state expediency’ is dominating than the idea of subsidiarity, self-reliance, and local freedom which are advocated by the above philosophers. Thus this paper propose the need to disseminate the idea of the those philosophers in Korea.

      • 부풀어지는 마우스 : 기압센서를 이용한 입력과 햅틱 피드백을 갖는 부피가 변하는 마우스

        김석태(Seoktae Kim),이보람(Boram Lee),현정(Hyunjung Kim),남택진(Tek-Jin Nam),이우훈(Woohun Lee)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부풀어지는 마우스"는 부피가 변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기이다. 이 마우스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마우스의 부피만큼 부풀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납작하게 줄어들어 노트북 컴퓨터의 PC 카드 슬롯에 보관될 수 있다. 이 기기는 일반 마우스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 풍선 안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새로운 인터랙션을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이 기기는 기존에 압력 센싱 인터랙션이 갖고 있는 한계점인 양방향 제어와 효율적인 피드백의 부재를 해결하고 있다. 나아가 제어 수단뿐만 아니라 표현의 수단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풀어지는 마우스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하고 압력제어를 통해 줌인과 같은 응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감성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의 활용 가능성도 기대 할 수 있다. Inflatable Mouse is a volume-adjustable user interface. It can be inflated up to the volume of a familiar mouse, but be deflated and stored flat in a PC card slot of a laptop computer when not in use. Inflatable Mouse functions just like a typical mouse; moreover, it provides new interaction techniques by sensing the air pressure in the balloon of the mouse. It also addresses some issues associated with pressure-sensing interactions such as the lack of bi-directional control and the lack of effective feedback. Moreover, it can be used as both a control tool and a display tool. In this paper, the design of an Inflatable Mouse prototype is described and potential application scenarios such as zooming in/out and fast scrolling using pressure control are explained. We also discuss the potential use 이 inflatable Mouse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tool.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의 이념형 모색:Rousseau와 Tiebout 모형을 중심으로

        김석태(Kim SurkT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지방자치의 모범적인 지역은 상당히 많지만 이를 바탕으로 하는 지방자치 이념형 존재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 논문은 현실을 바탕으로 하기보다 정치 공동체에 대한 이론 모형을 기반으로 지방자치의 이념형을 모색해 보려고 한 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것은 루소의 일반의사가 지배하는 정치 공동체 모형과 티부의 지방공공재 배분이 효율화 되는 지방정부 모형이다. 이들 두 모형이 보여 주는 것은 주민들 간의 완벽한 동의로 공공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 어지는 과정이다. 이 두 모형의 공통적 요소는 작은 규모, 동질적 주민, 복잡하지 않은 사안, 직접민주정과 작은 정부, 지방간 협력과 경쟁, 시민정신, 그리고 정치공동체 간의 선택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요소를 지방자치의 이념 형의 특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t is not easy to find out an ideal type of local self-government in the literatures even though we can easily find out well-run local governments such as Gemeinde in Swiss or township in New England. The fact implies that it is not easy to construct an ideal type of local autonomy based on real world practices. This paper intends to build an ideal type of local self-government based on two models of political community. The first one is Rousseau’s General Will model which is derived from Social Contract and Emile. The second one is Tiebout’s model of local public goods allocation. Both model have the following common ingredients: small area, homogeneous residents, direct democracy, small government,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competitions. This paper suggests the above seven trait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type of local self-government.

      • KCI등재

        총합적 경관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3차원 공간차폐 시뮬레이션 및 미디어화 분석기술

        김석태(Kim, Suk-T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1

        경관을 제어할 수 있는 공공의 제도만으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이며 유연성 있는 규제가 힘들며, 정량적 지표의 산출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공공사회의 협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시정보시스템에 연동시킬 수 있 는 전산모델화가 가능한 차폐도 분석 시뮬레이션 방법론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3차원 그래픽엔진을 이용한 분석시뮬레이션 기술 및 미디어화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도시정보시스템의 데이터 와 접목하여 최적안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도시정보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는 분석모델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t is difficult for systematic and flexible control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only public policies that control the landscape. Also, in the event that there is no preceding quantitative index calculation, it is impossible for the public society to come to an agree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hielding analysis simulation methodology that makes data processing modeling that can be interlinked with the urban information system is a very meaningful study. Thus, this study presents urban space shielding simulation technolog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ies using 3D graphic engines and deduces the optimal design by integrating the data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 order to suggest the potential as an analysis model that can be used in future urban information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