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試論) -김진귀-김춘택-임징하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본고는 제주유배문학의 연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관심사항은 제주유배라는 형벌아래 문학양상이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를 고민한 것이다. 본 연구는 “만구와 김진귀-북헌 김춘택-서재 임징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북헌은 만구와의 아들이고, 서재는 만구와의 사위였다. 이들은 시기를 달리하면서 제주유배를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盤龍硯이라는 벼루로 그 마음을 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제주유배문학을 연속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盤龍硯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이들의 심적 공감대를 살폈고, 이어서 각 작가의 제주유배시문을 통해 유배문학의 연속성을 점검하였다. 이들의 문학적 연결성은 형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고민해보았다. 김진귀 제주유배문학의 특징은 청음 김상헌의 『남사록』에 맞춰 화운한 작품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청음이 유배인은 아니었지만 같은 노론계열의 인물이었고, 『남사록』이 당시로서는 제주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춘택의 경우는 아버지 김진귀의 유배공간과 제주지식인들을 계속적으로 만나면서, 유배지에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 나갔다. 김춘택의 제주유배문학은 김진귀 제주유배 때의 공간, 인물, 감정 등을 그대로 이어나갔다. 김춘택이 이럴 수 있었던 것은 김진귀의 제주유배 시기에 제주도에 왔던 경험 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임징하는 앞선 두 인물에 비해 짧은 제주유배생활을 하였다. 임징하의 작품에서는 특히 김춘택의 제주유배시기 작품에 대해 화운한 점이 주목된다. 임징하는 김춘택에게서 반룡연을 전해 받은 만큼, 제주유배에서 김춘택의 흔적에 대해서 매우 관심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인물의 문학적 성격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제주유배문학이 내면의 감정으로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문학의 연속성의 문제는 학계에서 심도있게 연구가 진행된 분야가 아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정확한 문학좌표가 설정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A particular attention is made to the inquiry of how the lineage of literature descends under the hardship of exile to Jeju. For the inquiry, this study focuses upon the literature lineage that descends from Manguwa Kim Jin-Gwi to Seojae Im Zhing-Ha through Bukheon Kim Chun-Taek. Bukheon is the son of Manguwa and Seojae is the son-in-law of Manguwa. All of them were exiled to Jeju for different periods and they left their exiled experiences in writings using the identical stone ink of banyongyeon. Therefore, I consider their exiled experiences delivered through bangyongyeon are the places to understand well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This paper first looks into the mentally experienced aspect of the three authors through the process of bangyongyeon to be delivered to them; and further into the continuity in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by examining the poetry and proses that express the experiences of exiles to Jeju made by each of the three authors. For the connectivity in their writings, a 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is examined. Kim Jin-Gwi composed several verses that respond to the words of Namsarok by Cheongeum Kim Sang-Heon. Cheongeum was never exiled to Jeju but he was the person belonging to the political group of Noron like Kim Jin-Gwi. Also, Namsarok consisted of the most accurate information of Jeju at those times. Kim Chun-Taek extended his literary world by making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Jeju intellectuals in his exiled land of Jeju to which his father Kim Jin-Gwi was also sent as an exile.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made by Kim Chun-Taek succeeded his father Kim Jin-Gwi`s expressions for spaces, figures, and emotions. Kim Chun-Taek was able to do this because he visited Jeju during the time his father Manguwa Kim Jin-Gwi spent exile years in Jeju. Im Zhing-Ha spent relatively shorter periods of exile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figures. Of particular, Im Zhing-Ha made extensive numbers of verses in response to the works of Kim Chun-Taek, these being done during Kim`s exile to Jeju. Im Zhing-Ha received bangyongyeon from Kim Chun-Taek so that he is considered to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traces of Bukheon Kim Chun-Taek during his exile to Jeju.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ry characters of the three authors enables us to confirm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is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al emotions. The continuity in literature that this paper examines has not been well shed upon in this research field. Further studies upon this research topic is expected to pave well to establish the proper orientation for the exile literature of Jeju.

      • KCI등재

        농은(農隱) 김문주(金汶株)의 삶과 문학에 대한 소고

        김새미오 ( Kim Sae-mi-o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본고는 農隱 金汶株(1859~1935)의 삶과 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문주는 구한말 제주문인으로, 무과에 합격하여 40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다. 하지만 시대가 어지러워지면서 관직을 버리고 은둔의 삶을 선택하였다. 그는 陶淵明을 처신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의 교유관계는 화갑시에 차운한 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교유관계의 이면에 浮海 安秉宅과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일본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런 그의 인식은 勉庵 崔益鉉ㆍ忠武公 李舜臣등을 제재로 한 작품에서 보다 분명하게 표현되었다. 하지만 김문주는 많은 나이로 인해 실제 항일투쟁을 옮길 수 없었다. 김문주의 의식과 암담한 현실은 분명히 달랐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행동은 다음세대에서 이루어 졌다. 아들인 金明植ㆍ金瀅植, 손자인 金允煥 등은 여러 방식으로 항일의지를 실천했다. 하지만 일제는 이들을 철저히 탄압했고,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김문주는 이 지점에서 무력한 자아에 대해 비통한 감정을 토로하였다. 이것은 어쩌면 당대 지식인의 무력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풍광의 기술 역시 주목할 만한 사항이었다. 김문주는 기존에 있던 『瀛州十景』을 중심으로 재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었다. 그는 예전의 영주십경을 기준으로 보다 자유롭게 제주풍광을 해석하였다. 그 중에서 「漢拏山」·「龍淵夜帆」 등에 대해서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창작하였다. 김문주의 이런 창작방식은 당시에 제주풍광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works of Nong Eun Kim Mun-Joo (here after Kim). Kim went through several governmental posts after he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 However, as the time became troubled, he gave up his governmental post and decided to lead the life a recluse. Kim referred Doh Yeun-Myoung for making such decisions. His companionship was organized through the figures recited in poems. It was identified that Kim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Boohae Ahn Byung-Taek, which indicates his fighting spirit against Japan’s colonial power. Such spirit was clearly described in the works that discussed Myun Ahm Choi Ik-Hyun, Admiral Yee Sun-Shin However, Kim could not act himself against Japan’s power as he became already older. Kim’s fighting spirit could not come along with those days in dark, hopeless situations. Real actions were made by his offspring. His two sons Myung-Shik and Hyung-Shik and his grandson Yun-Whan practiced in diverse ways the fighting spirit against Japan. However, Japan’s colonial power persecuted them severely and Kim’s sons and grandson could not help but giving the anti-Japan movement. Kim expressed his bitter emotional pains about his powerless self. This might represent symbolically the powerlessness of intellectuals at those days. It is also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his descriptions of Jeju Island’s landscape. Kim recreated Jeju’s landscape by focusing up Youngjushipgyung (The Ten Great Landscapes of Jeju). However, he did not follow simply the previous styes. He interpreted on his own styles with more freedom the landscapes of Jeju. Of particular, he created Halla Mt and Yongyeonyabum (also known as youngyeon pedestrian overpass) by giving special meanings to them. Kim creation styles with full of free spirit can be said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 new perspectives on Jeju’s landscape at those days.

      • KCI등재

        제주유배시사 귤회(橘會)연구

        김새미오 ( Saemio Kim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제주 유배시사 橘會를 학계에 보고하는 글이다. 조선시대 제주도는 극형을 감해서 보내는 유배지였다. 이런 유배지에서 유배인들끼리 시를 주고받으면서 시회를 펼쳤다는 사실 자체가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사실이다. 이런 시회의 표면적인 이유는 첫째, 제주도에 유래 없이 많은 유배인이 집중되었고, 둘째, 이들은 대부분 이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였다. 셋째, 제주감옥에서 풀려난 후 거처한 곳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었고, 넷째, 무엇보다도 같은 지역 같은 시기에 유배왔다는 심리적 동질감이 이들의 모임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주지역사람들의 식자에 대한 동경이 자리하고 있다. 이면적인 요인으로 첫째, 우선 당시 제주에 왔던 관리들이 이들의 모임에 어느 정도 허용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선시대 유배경험의 축적을 들 수 있다. 셋째, 동력선의 등장으로 제주로 오는 길이 매우 편해졌기 때문이었다. 이 시회의 중심인물은 金允植, 李容鎬, 鄭丙朝였다. 이들의 모임은 세 단계를 거쳤다. 첫 번째는 이용호가 그 중심이었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김윤식이 이끌어 갔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를 나누는 시기는 김윤식과 같이 유배왔던 이승오의 죽음이었다. 이용호를 중심으로 했던 시회는 당시 제주목사였던 李秉輝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다. 방성칠의 난으로 이병휘가 파직이 되면서 그 중심이 김윤식으로 옮겨간다. 김윤식은 橘園雅集이란 이름으로 시회를 열었고, 제주에 와 있던 유배객과 제주문인들을 모여들었다. 이는 기존에 있던 이용호 중심의 시사 인원을 모두 포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한다. 이들의 모임은 이재수의 난 때에 유배인들이 연관되었던 사실이 밝혀졌고, 이를 계기로 제주에 왔던 유배인들이 뿔뿔히 흩어지게 되면서, 시회 역시 마지막 장을 고하게 된다. This paper reports to the academy the existence of Gyulhoe(橘會), the literature circle of exiles to Jeju. During the Choson period, Jeju Island was a place to which exiles were sent from the mainland as a compromised means of extreme punishment. It can be considered unique and interesting that the exiles to Jeju gathered together and enjoyed the exchange of poems by forming a circle. we can point out three things that are instrumental on the surface to form a circle of Gyulhoe: first, Jeju attracted a lot more numbers of exiles than ever before in those days; second, those exiled were acquainted to each other in Hanyang(the name referring to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hoson period) before transmittal to Jeju as a punished convict; third, released from prisons in Jeju, they formed a residential place nearby to each other and their psychological conformity driven by their being charged to the same place at the same period enabled them to form a circle. Lastly, admirations among Jeju Islanders for intellectual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circle. For another factors that enable the circling, we can consider three factors. First, government officials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Hanyang allowed more or less the activities of the circle. Second, the well established experience of exiles during the Choson period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hird, the appearance of engined boats made it possible for trips from the mainland to Jeju Island to be easy. Kim Yun-Shik(金允植), Lee Yong-Ho(李容鎬), and Jeong Byoung-Jo(鄭 丙朝) were the major figures who led the circle. Their circle passed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In the first stage, Lee Yong-Ho was the key figure; and later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 Kim Yun-Shik led the circle. The death of Lee Seung-Oh who were exiled and moved to Jeju with Kim Yun-Shik was the defining event by which the second and the third stages were divided. The circle led by the central figure Lee Yong- Ho was strongly supported by Lee Byoung-Hui, the governor of Jeju at that time. As Lee Byoung Hui was exempted from his post taking a responsibility for the Uprising of Bang Seong-Chil, the leadership of the circle was transferred to Kim Yun-Shik. Kim Yun-Shik renewed a circle with the name of Gulwonajip(橘園雅集) under which exiles from the mainland and Jeju native literature practitioners gathered together. It is a meaningful turn in that it covers the members from the circle led by Lee Yong-Ho. The Kim Yun-Shik leading circle saw the end when exiles turned out to be involved in the Uprising of Lee Jae-Soo and this resulted in dissolutions in the networks of exiles in Jeju.

      • KCI등재

        서재(西齋) 임징하(任徵夏)의 유배체험과 그 형상화

        김새미오 ( Sae Mio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is a research analyzing exile literary of Seo-je, Im, Jing-ha(1687∼1730). Im, Jing-ha was a minis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he died from the investigation from the King, Yeong-jo because he was against the law, Tangpyeongchaek, therefore, he was exiled to Sun-an, Pyeongan Province and he translated into Je-ju island. Most his collection works was written in his exile times except early years. The author discuss this paper in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his collection of works and analyzed his psychological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his exile according to his literature works. First, the life and the reason of his exile was dealt and his literature and his exile literature was researched in honest from Sun-an to Jesu Island. Im, Jing-ha was feeling very anxious to head to Sun-an at first under the sentence of the exile. He expressed himself through application or news, which could be psychological sense of kinship coming from a concomitant feature such as banishment or exile. However, Im, Jing-ha`s exile in Sun-an was a relatively comfortable with the people around him and the ministers in the Sun-an area. His exile that was somewhat relaxed became imminent when he was decided to go into exile, in Jeju Island. At this time, Im, Jing-ha behaved courageous actions to overcome anxiety. However, such his appearance was uncontrollable, so it looks like a laughter with deep sadness. These contradictory appearance could be found in his poetry. His work created in Jeju Island is noticed with the relation from Kim, Chun-taek. Im, Jing-ha began to create a poem about Jeju for the response to the work of Kim, Chun-taek, and he respond the work of Kim, Chun-taek throughout his exile in Jeju isl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connects Kim, Chun-taek`s literature with a sympathy about a exile in Jeju Island. Also Kim, Chun-taek respond to the poems of his father, Kim, Jin-gui, and they are evaluated as a literary performance as a mediator in Jeju Island. The similar form like poems about Jeju Island were created into poems about Tam-la by Hoe-heon, Cho, Gwan-bin or Cho, Jeong-cheol afterward. It is connecting the timeless sympathy of literature while sharing experiences of an exile from exiles in Jeju Island and timeless literary creations and Im, Jng-ha is thought as a mediator to connect them.

      • KCI등재

        만구와(晩求窩) 김진구(金鎭龜)의 제주유배문학 소고

        김새미오 ( Kim Saemio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본고는 晩求窩 金鎭龜의 삶과 제주유배문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노론계 인물이었던 만구와는 당쟁이 격렬했던 숙종 대에 남인들을 가혹하게 숙청했다는 죄목으로 제주도 유배형을 받았다. 이 시기 만구와는 제주도로, 동생인 김진규와 김진서는 각각 거제도와 진도로, 그리고 삼촌인 김만중은 남해도로 유배를 떠났다. 만구와의 문집인 『晩求窩府君遺文』은 충남대 도서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제주도 유배시문인 『島竄日錄』에 집중하여, 시간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정리하였다. 유배형을 받고 표현된 만구와의 첫 감정은 가족·지인들과의 이별과 불안감이었다. 만구와는 가족들에게는 미안함, 지인들에게는 비교적 호기로운 모습도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지속적인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제주도에 온 후 만구와는 철저히 고립되었고, 내면에 깊은 고독감이 자리한다. 이는 제주로 내려오면서 느꼈던 이별과는 그 층위가 다른 것이었다. 이별이란 적어도 상대가 있는 반면, 고독은 홀로 견뎌야만 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그의 고독감은 어머니의 생일, 삼촌 김만중의 죽음과 같은 가족간 대소사가 있을 때 그 파장이 더욱 크게 드러났다. 하지만 만구와가 유배지에서 그대로 좌절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자신의 유배상황을 직시하고,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자각하였다.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제주선비와의 교유와 교육, 제주 민중에 대한 애정어린 시각 등은 모두 외부 사람들과의 교유에서 비롯하였다. 이렇게 외부와 교유할 수 있었던 바탕에 바로 자신에 대한 자각이 자리한다. 이런 의식의 변화는 형벌로 인해 침체되었던 감정이 자신에 대한 자각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만들어가는 힘이 되었다. This paper looks at the life of Manguwa Kim Jin-Kwi and his literature formed during his exile to Jeju Island. Manguwa, a member of Noron political group, was punished and exiled to Jeju Island. The punishment was made due to his involvement in persecuting the members of Namin political group during the period of King Sukjong when the political debates between Noron and Namin were severely made. During that period, Manguwa was exiled to Jeju Island, his brothers Kim Jin-Kyu and Kim Jin-Seo were to Gwoje-Do and Jin-do respectively; and his uncle Kim Man-Joong to Namhae-Do. The anthology of Manguwa, titled Manguwa Bukunyumun (晩求窩府君遺文), is located at the libra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the anthology, this paper focuses upon the collection of poetry literature, Dochanillok (島竄日錄) and examines the change in Manguwa`s consciousness flow along the times. The very first emotional response found in Manguwa after the punishment of exile to Jeju Island relates to separation from his family members, friends, and colleagues in the mainland of Chosun. While Manguwa expressed sorry feelings towards family members, he showed a sentiment of self-courage to friends and colleagues. However, it is insecure feeling that runs deep through in his emotions. Manguwa was totally isolated after exiled to Jeju Island and intensive solitude feelings were grounded in his mentalit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he felt when coming down to Jeju Island. Separation is made possible at least with the interrelationships with counterparts, whereas solitude is made totally alone without counterparts. His solitude was exacerbated with the events of his mother`s birthday, his uncle`s death and some other small and big things happened to his family members. However, it is far from that Manguwa only fell down to desperation in the land of exile, Jeju Island. He looked his exiled situation in the face and perceived himself with a critical insight. Forming friendships with the intellectuals of Jeju Island, educating them, and considering the ordinary people of Jeju Island with loving minds were all made possible with the interactions of other individuals in Jeju Island. What enables Manguwa to form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Jeju Island is his renewed perceptions about himself. The change in his perceptions about himself became an energy to create new self and to overcome the downturn by the punishment of exile to Jeju Island.

      • KCI등재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김새미오(Sae-Mio Kim) 제주학회 2024 濟州島硏究 Vol.61 No.-

        본 연구는 김종직의 「탁라가」 14수의 문학적 좌표를 고민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탁라가」는 김종직이 성환역에서 제주 사람을 만나, 이때 들은 이야기를 승화한 작품이다. 김종직은 이 시에서 제주의 풍속, 물산, 바다 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였다. 김종직은 무오사화 때에 부관참시를 당했지만, 이후 복권되어 사림의 높은 추앙을 받았다. 이에 김종직이 지은 「탁라가」 역시 많은 후배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언급하였고, 그 문학적 층위도 다양하다. 金尙憲은 안무어사로서의 책무와 왕의 교화를 표현하였고, 李增은 제주에서의 일정을 기록하며 변방 풍속을 채록하는 방향으로 차운하였다. 유배인이었던 金鎭龜는 제주 백성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한편 南九明은 「탁라가」에 차운한 3편의 연작시를 통해 제주의 현실과 이상을 종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탁라가」를 통해 김종직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함께 자신이 보고 들은 제주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탁라가」는 제주의 풍속, 물산 등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많은 후배 학자들이 「탁라가」를 차운했다는 점에서 그 문학적 위치는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i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literary status of 14 verses of Kim Jongchik’s Taklaga. Taklaga is a literary work drawing upon stories of Kim Jongchik collecting from people of Jeju whom he encountered at Seonghwan station. In this poem, he embodied literally folklore, local products, and sea of Jeju. Kim Jongchik was sacrificed by the event of sawha, but was later reinstated by the honor of sarim. Accordingly, Taklaga was continuously mentioned by many junior scholars. Kim Sangheon expressed his responsibilities as a king’s inspector as well as king’s education projects. While Lee Jeung recorded his schedule in Jeju, he also collected the record of folklores and customs of marginal regions of Jeju. Kang Sukkyu revealed the feeling of a deep farewell by sending Jeju pastor Lee Heeryong; and Kim Chingui showed a warm hearted view towards Jeju people. Meanwhile, Nam Gumyeong comprehensively expressed the reality and ideals of Jeju through three series of poems drawing upon Taklaga. All of these poems delicately expressed their feelings for Jeju based upon what they saw and heard along with their respect for Kim Jongchik. Taklaga can be evaluated as the very first work that presents Jeju's customs and products comprehensivel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ry position of Taklaga is unique in that many juniors have made reference to it in composing their own poems.

      • KCI등재

        중견국 공공외교의 문화자원: 스웨덴 사례 연구

        김새미(Saemee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2

        공공외교의 위상과 중요도는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각 부처와 지방정부도 규모면에서 공공외교의 외연을 꾸준히 확장시켜 왔다. 그러나 진행되는 공공외교의 내용과 전달방식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한국 공공외교는 정책, 지식, 문화공공외교로 분류되어 실행방식은 다양하지만 단편적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가치나 상징적 자원이 연상되지 않는다. 또한 참여자들 다수가 공공외교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중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인식도 부족하다. 보다 진화된 공공외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를 넘어서는 정교한 공공외교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문화적 접근법에 있어서도 치밀함 속에 예술성이 녹아 자연스럽게 대중들에게 스며들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스웨덴의 공공외교 사례를 통해 중견국 외교에 적합한 문화적 접근법을 도출했다. 스웨덴의 공공외교를 분석한 결과, 스웨덴의 공공외교는 가치중심・관계중심・문화 접근성으로 축약된다. 스웨덴은 자국에 적합한 정체성 구현을 중시했다. 스웨덴의 가치를 표방하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국제사회 여론을 분석했고, 이를 근거로 정책기조에 맞는 메시지를 선별했다. 전달방식에 있어서도 직접적 정보전달 보다는 문화예술을 매개로 숨은 의도를 파악하는 간접적인 형태를 취했으며, 시민들이 관련 문화자원을 쉽게 접하고 활용하도록 유인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의 공공외교에서도 내용과 형식면에서 외교자원을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상징화시키고, 다양한 문화적 기법을 시도하고 적용해야 한다. Public diplomacy has been gaining recognition and importance over the years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In South Korea,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ly expanding their engagement in public diplomacy. However, the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public diplomacy pursued by these entities remain limited. To engage in public diploma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ub-categorized it into three types (policy, knowledge, and cultural diplomacy), which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 but fragmented methods that do not connect to the fundamental values or symbolic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country. Also, most of the participants in public diplomacy lack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public diplomacy is and the awareness of how South Korea should communicate itself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middle-power state. There requires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to public diplomacy for South Korea to realize a more evolved public diplomacy. For instance, cultural diplomacy should engage the audience with carefully calculated artistic styles that naturally immerse them. This study suggests a suitable cultural approach for middle power diplomacy based on a case study on Swedish public diplomacy. The case study shows that Swedish public diplomacy could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ideas – value-oriented, relationship-oriented, and cultural accessibility. Sweden focused on realizing the Swedish identity through public diplomacy. Consistent efforts were put into analyzing the public opin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ver the long term so that appropriate messages that fit the country’s policy stance could be carefully chosen to represent Swedish values. In terms of the delivery method, rather than trying to put across information directly, the cultural arts were used as a medium so that the hidden intentions are grasped while enabling citizens to access and utilize related cultural resources efficiently. The insights from the Swedish model suggest that South Korea should analyze the content and form of its diplomatic resources from different angles to create symbolizations and attempt and implement more diversified cultural techniques.

      • KCI등재

        기획논문 :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김새미오 ( Saemio Kim ) 근역한문학회 201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2 No.-

        연천 홍석주가 활동했던 때는 고증학이 끊임없이 밀려오던 시기였다. 본고는 이 시기 연천이 어떻게 외부사상을 인식하고, 어떻게 이에 반응했고, 또 그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였다. 연천은 연행사절이 들여오는 책을 통해 고증학을 접했고, 고증학에 대해 시종일관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였다. 그는 고증학의 ``학문경향``, ``실용성``, ``학문태도``에 대해 집중적이면서도 논리적으로 비판했다. 연천의 고증학 비판은 성리학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연천은 고증학을 비판하면서도 늘 성리학의 학문경향과 실용성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연천은 고증학의 발생이 양명학에서 시작되었다고 판단했고, 이에 양명학의 폐단을 수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중국의 ``동림학파``, ``동성파``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연천의 이런 모습은 당시 여러 학자들에게서도 나타나기에 조선후기의 대체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천에게 고증학 비판은 이미 성리학을 바른 학문으로 설정한 다음의 문제였기에 그 자체로 한계를 갖는다. 또한 연천은 고증학에 대해 일부 수용하는 측면이 있음에도, 성리학을 옹호하기 위해 무시하는 측면 역시 그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e time period in which Yeon Cheon Hong Seok-Joo was exercising his scholarly activity has seen the heavy inflow of Kho Jeung Science. This paper analysed how Yeon Cheon perceived the thoughts coming from overseas; and how he responded to it; and what implications Yeon Cheon`s academic style represented and the limits of it involved in it. Yeon Cheon learned Kho Jeung Science through reading books, and the discipline of Jeong Cho was a base for it. Yeon Cheon maintained his critical perspective on Kho Jeung Science(考證學). He criticized science style, practicability, and attitude involved in doing science that consist of Kho Jeung Science. The critique of Kho Jeung Science by Yeon Cheon was for securing Seongri Science. In this reason Yeon Cheon criticized Kho Jeung Science while marking the science style and practicability of Seong Ri Science. Yeon Cheon thought that the beginning of Kho Jeung came from Yang Myoung Science(陽明學); and therefore corrected the problems found in Yang Myoung Science. This is consistent with Dong Rim School(東林學派) and Dong Seong School(桐城派) of China. This kind of orientation was also found in other scholars; therefore it can be said a common tren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However, the fact that the critique of Kho Jeong by Yeong Cheon was made in an assumption of Seong Ri being better discipline suggests a limitation itself. Also Yeon Cheon accepted Kho Jeung Science partly but at the same time he ignored it in order to advocate Seong-Ri Science. It can be also said his limitation in his academic styl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노사학맥 부해 안병택 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 ― 『근재북학일기(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 Kim Sae-mi-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7 No.-

        본고는 『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부해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근재북학일기』는 근대 제주지식인 근재 김균배가 1년 6개월에 걸쳐 부해서당에서 배웠던 것을 차근차근 기록한 학습일기이다. 부해서당의 주요 학습내용은 크게 노사학맥에 대한 인식과 시국에 따른 정신교육강화로 정리할 수 있었다. 부해 안병택은 자신이 배웠던 노사 기정진 선생의 모습을 학생들에게 전하면서, 노사학맥의 생각과 가치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하였다. 이는 부해서당이 단순한 내용을 전달하고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 아닌, 사상과 가치를 후세에 전하는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병택은 당시 일제강점기라는 시국과 맞물려 학습자들에게 치열한 학습자세를 주문하였다. 이런 내용은 역사적 비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부해서당의 학습방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선배와 후배가 같이 수업하면서 토론하는 방식, 둘째, 실제생활에서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방식, 셋째, 학습일기를 작성하고 일기를 통해 학습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학습방식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음을 물론 학습자 간에 강한 유대감을 지닐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해서당에는 전라도 지역은 물론 제주도 등지에서도 많은 지식인들이 찾아왔다. 이는 노사학맥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문인들이 융합된 공간이었음을 뜻한다. 사람간의 교유뿐만이 아니라 학맥 간의 교유 역시 주목할 사항이었다. 부해서당은 화서학맥과 간재학맥의 사상이 오가는 허브의 역할을 하였다. 이들 학맥은 방식은 달랐지만 항일이라는 공통된 내면인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학맥 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앞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부해서당의 위치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 styles of Seodang(a private school between the periods of Koryo and Chosun) established and taught by Boohae and its meanings drawing upon the text, Kunjae`s Journal of Learning the North(China). The text is the journal that records details of what Kunjae, the intellectual native to Jeju Island, learned from the Boohae`s school for one and a half years. The main contents of learning from the Boohae`s School concerns perceiving the scholarly linkage of Nosa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mental state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period of the Japanese Rule. Boohae Ahn Byung-taek passed down the impressions of Nosa Khi Jeong-jin from whom Boohae himself learned. This indicates that the Boohae School is the place where not only leanings were made but also scholarly thoughts and values were passed down to through generations. Also, Ahn Byung-taek asked the students to hold their mental state strong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situation caused by the Japanese Rule,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historical metaphors for it. The learning methods of the Boo-hae`s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nior and junior students in the school teach each other and discuss together. Secondly, what are learned in the school is aimed to be applied to everyday life. Thirdly, by drafting a diary of learning and by sharing the diary leaning contents and styles were able to be shared among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rough these ways of learning not only the learning effects could be maximized but also the bonded feelings among the students could be maintained. The Boohae school was widely visited by intellectuals not only from Jeonra Province but also from many parts of Jeju Island. This indicates that the school functioned as a place where the local intellectuals of Jeju Island collected together. What draws our attention is that the school provides a venue where not only the exchanges of intellectuals but also that of different generations of the scholarly network of Nosa were made possible.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played a pivotal role as a hub in which the knowledge of the scholarly networks of Hwaseo and Khanjae was exchanged. The two networks were different in its main scholarly ideas but they shared in common the fighting spirit against the Japanese Rule. A further extensive study is necessary as to the exchanges between different scholarly networks through which the standpoints of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 KCI등재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난민에 대한 환대 가능성 : 이탈리아 사례(Teatro dell Argine의 Acting Together #WithRefugees)를 중심으로

        김새미(Saemee KIM) 통합유럽연구회 2019 통합유럽연구 Vol.10 No.1

        유럽의 난민과 이주민 문제는 사회적 갈등을 유발했다. 유럽사회에서 중시했던 다원성과 규범적 가치들은 ‘난민’에게는 관대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난민’을 집단화시키고 이들을 동질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는 난민의 기본적 인권보호의 문제 이외에도 난민을 매개로 야기되는 다양한 편견과 사회적 분열 양산의 요인이 된다. 낯선 존재인 사회적 소수에 대해 열린 태도로 수용하고 함께 살아갈 때, 더 많은 가능성과 성장을 잠재하며 공생을 실천하는 환대사회일 수 있다.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인 가치의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 본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 난민을 어떠한 바라봐야 하는지를 문화예술 체험이라는 경험을 통해 환기해 보고자 한다. 레비나스(Levinas)가 ‘얼굴(face)’ 개념을 통해 이방인과 타자를 대면(face to face)함으로써 이들을 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듯이, 매개를 거치지 않고 그들의 시선을 껴안을 때 공생 실천 가능성이 높다. 유엔난민기구(UNHCR)가 지원한 이탈리아 문화예술단체 떼아뜨로 델라르기네(Teatro dell Argine)의 ‘난민과 함께 연극하기(Acting Together #WithRefugees)’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난민의 사회적 통합은 단순히 그들에게 사회의 규칙과 규율을 일방적으로 알려주고 그들의 생존 조건을 보호해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내는 동시에 편견 없이 그들을 바라볼 수 있는 과정임이 도출되었다. 즉,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대면과정은 쌍방향 소통을 증진하고, 사회적 유대감을 형상하며, 공존 및 협력의 가치가 형성하는 역할로 자리할 수 있다. Problems relating to refugees and immigrants have aroused social conflict in Europe. Multiplicity and normative values emphasized in European society were not applied to refugees and they were collectivized and homogenized as a group. Once we accept without prejudice minority groups like refugees, society becomes convivial and hospitable. This paper examines how we should view refugees through cultural experience when democratic values are threatened. Levinas stated that through notions of ‘face’, in other words confrontation aids us to embrace refugees. Only without mediation, when we view the world from their perspective, can social compatibility be reached. As can be observed from the case of the program of ‘Acting Together #WithRefugees’ by the Italian Culture&Arts group Teatro dell’ Argine, social integration of refugees will not be reached simply from teaching them about social rules and protecting their basic survival conditions but by listening to what they may have to say without bias. In effect, Culture&Arts mediating confrontation on both sides will increase bilateral communication, social bonding and will consolidate coexistence and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