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화 동역학의 원리 및 최신 연구 동향

        김상훈(Sanghoon Kim),김덕호(Duck-Ho Kim),김준서(June-Seo Kim),문경웅(Kyoung-Woong Moon),이기석(Ki-Suk Lee),최석봉(Sug-Bong Choe),김갑진(Kab-Jin Kim) 한국자기학회 2018 韓國磁氣學會誌 Vol.28 No.2

        We review here the recent progress on the study of the magnetization dynamics as well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elated phenomena. The static properties of the magnetic domain walls and skyrmions as well as their dynamic properties under application of magnetic field and/or spin current are discussed together with the Dzyaloshinskii-Moriya interaction. Finally, the basic principle and recent progress in the antiferromagnetic spintronics are introduced.

      • KCI등재

        유언대용신탁의 현황과 과제 : 유류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상훈(Sanghoon Kim) 한국가족법학회 2021 가족법연구 Vol.35 No.1

        Compared to the will, the trust system as the means of inheritance in Korea has not been used much due to the lack of history or publicity. However, the real reason for preventing the use of the living trust is that it cannot solve the problem regarding forced share system, nor does it have any tax benefits. Eventually, the biggest obstacles revitalizing the trust system as a new method of the property succession is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forced share and tax. However, Korean District Court decision was recently issued to the living trust that the entrusted property may not be subject to a claim of return for forced share. The court decision shocked not only the legal profession but also the socio-economic cummunity. In advance, this study explains the current status of the living trust, and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trust and the issues of the forced share. With regard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living trust, this study introduces the first litigation case and the advisory case relat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and the recent court decision of whether trust assets can be included in the basic property for the calculation of forced share of heirs. In order for the trust to function properly as a new means of inheritance, it must address limitations and opacity inherent in forced share system and tax. It is hoped that the government will establish socio-economic foundation for carrying out the natural function of the trust which is a method of property succession.

      • 웹 캐싱을 위한 P2P 협력적인 캐시 교체 정책

        김상훈(SangHoon Kim),류영석(YoungSuk Ryu),양성봉(SungBong Ya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P2P 웹 캐싱 기술은 자신의 로컬 캐시에서 원하는 웹 객체를 찾지 못한 경우, 중앙 서버나 프락시 서버로부터 웹 객체를 받기 전에 P2P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이웃으로부터 웹 객체를 받음으로써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을 탈피하여 중앙 서버의 고장에 영향을 적게 받고, 중앙 서버로의 과도한 부하를 막아준다. 기존의 많은 P2P 웹 캐싱 시스템은 피어의 로컬 캐시 교체 정책으로 LRU기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P2P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단순한 정책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2P 환경을 고려한 디렉토리 기반의 웹 캐싱 시스템을 통해서 P2P 협력적인 캐시 교체 정책을 제시하고 실제 웹 로그 트레이스로 시뮬레이션을 하여, 제안하는 교체 정책이 효과가 있음을 기술한다.

      • KCI등재

        지자체 홈페이지의 칭찬하는 글에 나타난 전략 분석

        김상훈(Kim Sangh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이 연구에서는 지자체 홈페이지의 칭찬하는 글에서 어떠한 전략들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기본전략과 강화전략두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칭찬의 대상은 공무원과 운전종사자에 한정되었으며 이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감정노동 직업군으로 분류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여기에서 분류한 칭찬 전략이 감정노동종사자의 정서적 안정과 만족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표현들이며 서비스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분석 결과 74.5%의 텍스트에서 직접적인 칭찬 대신 감사와 감동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 두 가지 긍정정서의 원인은 대부분 친절함에 있으며 칭찬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의도나 목적을 가지고 칭찬한다는 기존의 주장과는 달리 분석한 칭찬하는 글은 친절함으로 인해 감사와 감동을 표현하는 글이므로 의도나 목적이 존재하지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것을 칭찬의 기본전략으로 보았다. 또한 만족감 표현하기, 반성하기, 감정이입하기, 사실에 개입하기, 칭찬범위 확대하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감사와 감동을 표현하는글에서 이러한 장치의 사용은 상대방에 대한 칭찬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비대면 상황에서 글쓴이의 마음을 더욱강하게 표현하여 주는 강화전략으로 보았다. In this study, what strategies are being used in praise articles on the local government’s website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asic strategies and reinforcement strategies. The subjects of praise were limited to public officials and drivers, and they had in common that they were classified as emotional labor occupations targe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is suggests that the praise strategies classified here are expressions that can help emotion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emotional workers, and that education for service users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4.5% of the text expressed gratitude and emotion instead of direct praise. Most of these two positive emotions are due to kindness, and unlike the existing argument that most of the complimenters praise with intention or purpose, the analyzed compliment c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no intention or purpose because it expresses gratitude and emotion due to kindness. This was viewed as the basic strategy of praise. In addition, various devices such as expressing satisfaction, reflecting, empathizing, intervening in facts, and expanding the scope of praise were used, and in articles expressing gratitude and emotion, the use of these devices was seen as a reinforcement strategy to enhance praise for the writer in non-face-to-face situations.

      • KCI등재

        얼굴 등록자 인증을 위한 클래스 구별 특징 벡터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김상훈(Sanghoon Kim),설태인(Tae in Seol),정선태(Sun-Tae Chung),조성원(Seongwon Cho)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6 No.1

        얼굴 등록자 인증은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인증하고자 하는 사람이 등록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2클래스 분류 문제이다.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이하 SVM)은 2 클래스 분류 문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얼굴 등록자 인증의 분류에 사용되었던 기존의 SVM들은 각 클래스 (등록자 클래스, 미등록자 클래스) 구성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훈련되고 인증된다. 이렇게 훈련 세트 구성원들의 이미지 특징 벡터들로 훈련된 SVM은 인증시의 얼굴 이미지가 SVM 훈련 세트의 얼굴 이미지들의 조명, 자세, 표정들과 다른 인증 환경의 경우나 등록자의 가입 및 탈퇴 등으로 등록 클래스나 미등록 클래스의 구성과 크기에 변동이 생기는 인증 환경의 경우에, 강인한 성능을 보이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강인한 얼굴 등록자 인증을 위하여, 효과적인 클래스 구별 특징 벡터 기반 SVM을 제안한다. 훈련과 인증에 사용되는 특징 벡터는 2개의 클래스를 잘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하도록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훈련된 제안된 SVM은 등록자 클래스 구성의 변화 및 얼굴 이미지에 있어서의 조명, 얼굴 자세, 얼굴 표정의 변화에 덜 영향을 받는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SVM에 기반을 둔 얼굴 등록자 인증 방법이 기존 SVM에 기반을 둔 방법보다 성능이 더 나으며, 등록자 클래스 구성의 변화에도 강인함을 보였다.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is to decide whether an incoming person is an enrolled member or not using face recognition, and basically belongs to two-class classification where support vector machine (SV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he previous SVMs used for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have been trained and tested using image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member face images of each class (enrolled class and unenrolled class). The SVM so trained using image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members in the training set may not achieve robust performance in the testing environments where configuration and size of each class can change dynamically due to member's joining or withdrawal as well as where testing face images have different illumination, pose, or facial expression from those in the training se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based SVM for robust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The adopted features for training and testing the proposed SVM are chosen so as to reflect the capability of discriminating well between the enrolled class and the unenrolled class. Thus, the proposed SVM trained by the adopted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s is less affected by the change in membership and variations in illumination, pose, and facial expression of face images. Through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proposed SVM perform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VM-based authentication methods and is relatively robust to the change in the enrolled class configuration.

      • KCI등재

        글말에서의 모호한 표현 사용에 관한 연구

        김상훈(Sanghoo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이 연구는 글말 중에서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나쁘지 않다'의 의미가 ‘나쁘다’를 부정함으로써 얻는 통사적 의미인 '좋다'의 범주에 드는지 그렇지 않으면 화용적 의미로 '나쁘다'의 범주에 드는지를 나누는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의미 범주 분석 결과 500개의 분석 대상 중 ‘좋다’의 의미가 27%, ‘나쁘다’의의미가 4%를 차지하였다. 나머지 69%는 ‘좋다-나쁘다’ 의미 척도 상 어느 한 쪽의 의미가 두드러진것으로 분류하기 어려워 ‘나쁘지 않다’는 모호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의 분석 자료가 개인 블로그의 텍스트임을 고려할 때, 굳이 모호한 표현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는 상황에서 ‘나쁘지 않다’가 불명확하나 의미 전달을 선택하면서까지 사용되는 이유를 블로그의 장르 특성, 미디어 특성, 윤리적 특성 그리고 사회 문화적 특성 이상의 네 가지 특성으로 보았다. 그중에서 블로그의 미디어 특성의 하나인 공공성은 나머지 세 가지 특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나쁘지 않다'가 적극적으로 사용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블로그가 공적 공간 특성도 지니며, 이 특성은 필자가 정보의 소비자로부터 지적, 비난 또는 반대 의견 등의 부정적 평가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호한 표현을 방어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 배경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analyzi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나쁘지 않다' and its meaning, but whether it is in the category of 'good' in the syntactic meaning or 'bad' in the pragmatic meaning when used in writing. It classified whether it belongs to the category and explored the cause of the use of 'not bad' even though it is possible to convey a clear meaning with direct expression. The reasons for maintaining the use of ambiguous expressions in blogs, which are private spaces where free expression is guaranteed without the use of ambiguous expressions, are divided into four aspects: blog genre characteristics, media characteristics, eth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 looked for factors outside of language. In particular, publicity in media characteristics affects all the other three aspects, and it shows that these public characteristics of blog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maintaining the expression 'not bad'. This indicates that a blog is a private space and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public space.

      • 대형 로켓엔진시스템의 제어모드 별 유량 예측 모델링

        김상훈(Sanghoon Kim),윤웅섭(Woongsup Yoo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대형로켓엔진의 시동, 정지, 추력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엔진모사 실험 장치에 모듈화 하여 목표 유량, 유량 비에 대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엔진 모사 실험 장치는 펌프, 오리피스, 제어밸브, 파이프, 인젝터 및 재생 냉각채널로 구성하였고 제어 알고리즘은 제어 모드 별 실험을 통해 얻은 목표유량 밸브 개도와 PI제어를 통해 목표 유량 및 유량 비에 안정적으로 수렴하도록 설계하였다. 엔진모사 실험 장치 구성품 별 동특성 모델을 Simulink로 통합하고 제어 알고리즘을 모듈화 하여 시스템 동특성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량 및 유량 비에 대한 제어모드 별 프로그램 예측 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해 엔진모사 실험 장치에 대한 시스템 동특성 예측 프로그램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