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층 그리드 화일을 위한 일괄 구성 기법

        김상욱(Sang-Wook Kim),송주원(Ju-Won Song),황규영(Kyu-Young W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계층 그리드 화일은 다중 애트리뷰트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다차원 동적 해쉬 화일 구조이다.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매우 방대한 양의 객체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다차원 동적 화일의 효율적인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그리드 화일을 위한 일괄 구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일괄 구성 알고리즘에서는 계층 그리드 화일 구성에 필요한 각 페이지를 디스크로부터 한번 액세스할 때, 이곳에 저장될 모든 객체 혹은 엔트리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의 삽입 알고리즘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계층 그리드 화일을 구성하는 경우 같은 페이지를 디스크로부터 여러번 액세스하게 되는 오버헤드를 제거할 수 있다. 기존에 제안된 다차원 동적 화일을 위한 연산 알고리즘들은 주로 하나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검색, 삽입, 삭제 알고리즘에 국한되어 왔으며, 이러한 일괄 구성에 관해서는 전혀 논의된 바 없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본 알고리즘의 수행시 발생되는 디스크 액세스 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일괄 구성을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재배치 작업을 제외하면, 계층 그리드 화일의 구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페이지 수 만큼의 디스크 쓰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치 작업은 일괄 구성을 위한 필수적인 전처리 단계이므로 각 페이지당 한번의 디스크 액세스만을 요구하는 본 알고리즘은 일괄 구성을 위한 최적의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 계층 그리드 화일을 색인 구조로 갖는 릴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죠인 기법

        김상욱(Sang-Wook Kim),이민제(Min-Jae Lee),송주원(Ju-Won Song),황규영(Kyu-Young W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죠인은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면서도 처리 비용이 큰 연산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동적 화일의 하나인 계층 그리드 화일을 색인 구조로 갖는 릴레이션 간의 죠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죠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죠인 기법은 계층 그리드 화일의 디렉토리내에서 동적으로 관리되는 데이타 공간의 분할 상태 정보를 이용한다. 즉, 이러한 데이타 공간의 분할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죠인을 구간별 서브죠인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페이지별 서브죠인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처리한다. 구간별 서브 죠인을 처리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버퍼와 LRU 버퍼 대치 알고리즘을 가정할 때, 제안된 죠인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각 릴레이션에 속하는 페이지들을 디스크로부터 한번만 액세스함으로써 죠인을 수행할 수 있다.

      • KCI등재

        Investig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Porcine Candidate Gene for Growth and Meat Quality Traits in the Berkshire Breed

        Sang Wook Kim(김상욱),Ji Hye Jung(정지혜),Kyung Tag Do(도경탁),Kwan Suk Kim(김관석),Chang Hee Do(도창희),Jun kyu Park(박준규),Young Kuk Joo(주영국),Tae Suk Kim(김태숙),Bong Hwan Choi(최봉환),Tae Hun Kim(김태헌),Ki Duk Song(송기덕),By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2

        4개의 후보 유전자를 분석해본 결과, 돼지의 주요 염색체 부위 및 유전자들이 주요 경제성 요인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양돈업계에서 DNA 기술을 이용한 염색체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후보 유전자에서 생성된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생성물을 비교 재 서열 함으로써 단일염기변이(SNP) 표지들을 개발했다. 또한 이들 4개의 SNP에 대해 PCR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 성(RFLP) 분석을 전개한 후, 이를 대한민국내 버크셔 종 돼지 개체군의 유전자형을 분석하는데 활용했다. 본 연구는 유용한 단일염기변이를 식별하고 돼지개체군 내 경제적으로 중요한 특성들과 SNP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usefu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determine their association with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pig population. Four candidate gene analyses have identified important chromosomal regions and major genes associcated whit economic traits of the pig. For application of the chromosomal information to the pig industry using DNA technology, SNP markers were developed by comparative re-sequencing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s of 4 candidate genes (CSF2, IL4, MYOD, RIP140). PC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ssays were developed for these 4 SNPs and used to genotype Berkshire pig populations in Korea.

      • SCOPUSKCI등재

        DGEBA / MDA / HQ - PGE 계의 경화 반응 속도론

        송영욱,심미자,김상욱 ( Young Wook Song,Mi Ja Shim,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2

        반응성 첨가제로 HQ와 PGE를 합성시킨 HQ-PGE를 사용하여, DGEBA/MDA계의 경화반응이 일어날 때의 속도론을 DSC와 FT-IR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Kissinger equation과 Arrhenius equation을 이용하여 활성화 에너지와 pre-exponential factor 값을 구하였다. 계의 활성화 에너지는 HQ-PGE가 첨가되었을 때 감소하였다. 합성 HQ-PGE가 5 phr 첨가되었을 때, DGEBA/MDA계의 활성화 에너지는 FT-IR로 측정하였을 때 7.8 ㎉/㏖, DSC로 측정하였을 때에 11.3 ㎉/㏖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HQ-PGE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 각각 30%, 9% 감소된 값이었다. 이 결과들을 통해서 반응성 첨가제로 사용된 HQ-PGE는 본 계에서 촉매의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Cure kinetics of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 with hydroquinone-phenyl glycidyl ether(HQ-PGE) as a reactive additive, which was preliminarily synthesized, was investigated by DSC and FT-IR analyses. Kissinger equation and Arrhenius` equation were used to calculate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When HQ-PGE was added to DGEBA/MDA system, it reduced activation energy of system. When the 5 phr of HQ-PGE was added to DGEBA/MDA system, activation energy was 7.8 ㎉/㏖ by FT-IR analysis and 11.3 ㎉/㏖ by DSC, in comparison with the system without HQ-PGE, activation energy decreased about 30% and 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HQ-PGE, introducing agent of this system, acted as a catalyst.

      • 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구석점 변환 기법의 클러스터링 성질

        송주원,이영구,김상욱,황규영(Ju Won Song),Young Koo Lee,Sang Wook Kim,Kyu Young W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8

        Spatial access methods(SAM) are often used as clustering indexes in spatial database systems. Therefore, a SAM should have the clustering property in both the index and the data fil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comer transformation, which is a category of SAMs, naturally has the clustering property such that objects having minimum bounding rectangles of similar sizes and positions tend to be placed in the same page. Next, we show that corner transformation can be used as clustering indexes for storage systems with fixed object positions, and then introduce the MBR-MLGF as an example to implement such indexes. Extensive experiments comparing with the R*-tree show that corner transformation preserves the clustering property and therfore, it can be used as a very useful method for spatial query processing. 공간 액세스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클러스터링 색인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공간 액세스 방법은 색인과 데이타 화일에 대하여 동시에 클러스터링 성질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액세스 방법의 한 부류인 구석점 변환 기법이 최소 포함 사각형의 위치와 크기가 유사한 객체들에 대한 엔트리들을 같은 페이지에 위치시켜서 클러스터링 성질을 자연스럽게 유지함을 논한다. 또한 이 성질을 이용하면 구석점 변환 기법이 객체 위치고정 저장시스템에서 클러스터링 색인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그 한 구현 방법으로 MBR-MLGF를 제시한다. 또한 R*-tree와의 비교 실험으로 구석점 변환 기법이 클러스터링 성질을 가짐을 보이고, 공간 질의 처리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수 있음을 논한다.

      • SCOPUSKCI등재

        신증후성 출혈열 환자에서 동반된 심근염 1 예

        장근염(Geun Young Jang),오석규(Seok Kyu Oh),김상욱(Sang Wook Kim),계영하(Young Ha Kye),이성근(Seong Keun Lee),김지웅(Ji Woong Kim),안선호(Seon Ho Ahn),송주훙(Ju Hung Song)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1

        Korean hemorrhage fever(KHF) is an acute febrile disease with high fever, hypotension, gastrointestinal symptom, hemorrhagic symptom and renal failure. An adult patient with KHF presented with normal EKG on admission and no hypotensive period, subsequently developed dypnea on 10 th hospital days. Pulmonary edema pattern of the chest x-ray, T inversion of EKG and diffuse ventricular dyskinesia of echocardiography apperaed on 10th hospital days, and then disappered on 2 month.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KHF associtaed with myocarditis. This case suggests that the Myocarditis can be associated with KHF.

      • KCI등재후보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관찰되는 QT 분산의 변화

        이왕수(Wang Soo Lee),김상욱(Sang Wook Kim),안지현(Ji Hyun Ahn),이상엽(Sang Yub Lee),송영빈(Young Bien Song),김상민(Sang Min Kim),조성원(Sung Weon Jo),이광제(Kwang Je Lee),곽미향(Mi Hyang Kwak),김태호(Tae Ho Kim),김치정(Chee Jeong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QT 분산은 불균등한 심실 재분극을 나타내는 지표로 증가된 QT 분산은 허혈성 심질환과 돌연사 등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관동맥 확장술이 심실 재분극의 불균등성이 양호하게 회복시켜서 성공적인 관동맥 확장술 후에는 QT 분산이 유의하게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운동부하 검사는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검사로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관동맥 확장술 후 운동부하 검사에서 QT 분산의 변화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스텐트시술 후 추적검사로 운동부하검사시 관찰되는 QT 분산의 변화와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허혈성 심질환으로 입원하여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유의한 관상동맥 협착을 보였던 환자들 중,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고 약물치료를 시행하였던 46명과 스텐트시술을 시행한 후 6개월에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였던 41명을 대상으로 두 군에서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을 스텐트시술 전 심전도에서 측정하였고, 6개월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운동부하 전, 최대 운동부하시, 회복기 2분에 digitizer를 이용하여 측정 후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내원시 치료 전 심전도에서 측정한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은 스텐트 시술군 에서 시술 전에 각각 51.2±15.6, 58.4±14.1 msec였고, 약물치료군에서는 내원시 50.9±13.8, 56.7±16.3 msec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림 1). 6개월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최대 운동부하시 QT 분산 및 교정 QT 분산은 스텐트시술군에서 각각 28.2±11.9, 39.3±16.2 msec였고, 약물치료만 받은 군에서 40.4±20.5, 57.8±30.0 msec로 스텐트시술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운동부하 검사 시작 전과 회복기 2분에도 스텐트시술군에서 약물치료군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0.05, 표 3, 그림 1). 하지만 병변 위치와 병변 혈관 수에 따른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스텐트시술 후 6개월에 추적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한 결과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스텐트시술이 심근허혈의 완화와 심실재분극상태의 향상에 효과적이고 운동부하검사시 교정 QT 분산의 측정이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QT 분산의 의미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QT dispersion (QTd) represents inhomogeneous ventricular repolarization. Increased QT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udden cardiac death. Successful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y (PTCA) produces a favorable recovery of inhomogenous repolarization and reduces QTd. Although treadmill exercise test is commonly used for follow-up test after PTCA, limited data are available about QTd during treadmill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in QTd and determine its clinical role in follow-up treadmill exercise test after coronary stenting. Methods: 41 patients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underwent successful coronary stenting, while 46 patients were medically treated. Treadmill exercis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QTd between two groups as a follow-up test at 6 months after coronary stenting and medical therapy. Treadmill exercise test was recorded in pre-test, peak exercise, and recovery 2 minutes phase. QTd and corrected QT dispersion (QTcd) were measured in these ECGs using a digitizer. Results: Coronary stenting significantly reduced QTd and QTcd at 6 months after coronary stenting. QTd and QTc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onary stenting and medical therapy group at initial EKG before treatment. After coronary stenting, QTd and QTcd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ose of medical therapy group. And the changes in QTd and QTcd were more marked at peak exercise (28.2±11.9 and 39.3±16.2 msec in coronary stenting group vs 40.4±20.5 and 57.8±30.0 msec in medical therapy group). Lesion location and diseased vessel number were not associated with changes in QTd and QTcd. Conclusion: Coronary stenting reduced QTd and QTcd significantly in follow-up treadmill exercise test. Coronary stenting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o relieve myocardial ischemia and to improve inhomogenous ventricular repolarization than medical therapy. The measurement of QTcd during treadmill exercise test may be a useful index to evaluate myocardial ischemia after coronary stenting. Clinical relevance of these finding will require further study. (Korean J Med 63:186-194, 2002)

      • 구석점 변환 기법을 이용한 공간 조인 알고리즘

        송주원(Ju-Won Song),김상욱(Sang-Wook Kim),황규영(Kyu-Young Whang)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3 No.7

        공간조인은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특징 공간 관계를 가지는 객체쌍들을 찾기 위한 연산이다. 공간조인은 처리 비용이 아주 큰 연산이므로, 제공되는 공간 액세스 방법의 특성을 충분히 이용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석점 변환 기법을 이용한 공간조인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분석과 실험을 통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한다. 우리들이 아는 바로는 변환 기법을 이용한 공간조인 알고리즘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구석점 변환 기법에서는 한 화일의 인접한 두 영역에 대한 상대방 화일의 두 조인 대상 영역은 많은 공통 부분을 가진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 조인 처리에 필요한 디스크 액세스 횟수를 줄인다.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Brinkhoff 등이 제안한 R* -tree를 이용한 알고리즘보다 일반적으로 나은 성능을 가진다. 이는 구석점 변환 기법이 공간 액세스 방법의 우수한 한 부류이며 공간 질의가 원공간보다 변환 공간에서 더 잘 처리될 수 있다는 좋은 징표라 할 수 있다. 이는 변환 기법이 클리스터링 성질을 유지 못한다는 일반적인 믿음은 뒤엎는 결과이다. 우리는 이 결과가 공간 질의에 대한 변환 공간 기반 처리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고 믿는다. Spatial join finds pairs of spatial objects having a specific spatial relationship in spatial database system Since spatial join is a fairly expensive operation, we need an efficient algorithm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spatial access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join algorithm using corner transformation and show its excellence through analysis and experiments. To the extent of authors' knowledge, the spatial join algorithm using corner transformation is new. In corner transformation, two regions in one file joined with two adjacent regions in the other file share a large common area.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this property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disk accesses for spatial joi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has a general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 tree based algorithm proposed by Brinkhoff et al. This is a strong indication that corner transformation is a promising category of spatial access methods and that spatia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etter in the transform space than in the original space. This reverses the common belief that transformation will adversely effect the clustering We believe that our results will provide a new insight towards transformation based processing of spatial op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