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bD와 TGfU에 기반을 둔 소프트발리볼 단원 개발 방안

        김상목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목적과 방향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체육수업 실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체 육과 교과역량과 신체 활동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실현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단원을 개발하 기 위한 원리와 그와 관련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에 두고 UbD의 3단계 절차에 유기적으로 TGfU를 통합하는 과정을 소프트발리볼 단원 개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단원의 방향과 목표 및 핵심 내용의 결정을 위하여 UbD 1단계 바라는 결과 템플릿을 완성하였다. 학생이 전이 수준의 이 해를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TGfU 전술적 개념을 활용하였다. UbD의 2단계에서는 수행 평가 개념과 GPAI를 적용하여 평가 계획과 평가 도구를 생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나선형 구조로 체계적인 학습 활 동 계획을 수립하며, 대표성을 가진 게임 개발 및 효율적인 기능 연습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 과정을 통해 성취기준-평가-활동이 일관성 있는 소프트발리볼 단원을 개발하였다. 초등교사가 적절하게 이론을 융 합하여 단원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열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 풍토가 중요하 다. 또한 초등 체육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 교육기관에서는 UbD와 TGfU에 기반을 둔 단원 개발 능력 함양의 기회를 예비교사에게 실제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UbD의 적용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is not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knowledge for develop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unit that can pursue physical education competencies and physical activity value.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TGfU into the three stage of UbD organically is present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the soft volleyball unit.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goals and core contents of the unit, the first stage template of UbD was completed.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transition level,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and the TGfU tactical concept was utilized. In the second stage of UbD, evaluation plan and evaluation tool were created by apply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GPAI. In the third stage, a systematic lesson plan with a spiral structure was established, and suggestions for a ways of making games and efficient skill training were provided. Throughout the course, a consistent soft volleyball unit with achievement standards - evaluation - activities was developed.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develop a unit based on UbD and TGfU, and academics and elementary teachers negotiate actively in new academic fields.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follow - up studi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UbD was suggested.

      • KCI등재

        Interval-valued Fuzzy Quasi-ideals in a Semigroups

        김상목,허걸,정민석,채갑병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 Vol.12 No.3

        We initiate the study of interval-valued fuzzy quasi-ideal of a semigroup. In Section 2, we list some basic definitions in the later sections. In Section 3, we investigate interval-valued fuzzy subsemigroups and in Section 4, we define intervalvalued fuzzy quasi-ideals and establish some of their basic properties. In Section 5, we obtain characterizations of regular and intraregular semigroups using the machinery developed in the preceding sections.

      • KCI등재

        경기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영역형 경쟁의 지식 구조

        김상목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use of knowledge structures to select physical education content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invasion competition(a basketball). Methods: Data relating to game performance competency and the knowledge structures model were critically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GfU. Results: Game performance competency is an integrated concept that can be formed by learned contents through a proper knowledge structure. The knowledge structure of invasion competition has been analyzed based on sub-disciplinary studies of physical education related in cogni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and affective domain. Conclusion: The use of the knowledge structures proved to be a great tool in terms of converg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pedagogy, and in terms of improving teaching efficiency to teachers who need to teach various subjects. A variety of studies needs be conducted to actively utilize the knowledge structures in teacher training and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체육과 교육내용을 적절하게 선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써 지식 구조를 소개하고자 수행되었다. 지식 구조는 교과의 핵심 원리에 대한 명제적 지식과 학습 경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체육을 체육답게 가르치는 훌륭한 해결책이다. 지식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인지도가 높은 신체활동인 영역형 경쟁(농구)을 선정하여 지식 구조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경기 수행 능력과 지식 구조 모형에 관련된 자료를 TGfU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경기 수행 능력은 인지적, 심동, 정의적 측면이 모두 통합된 개념으로 적절한 지식 구조를 통한 교육내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영역형 경쟁의 지식 구조는 인지적, 심동, 정의적 측면으로 관련된 체육학 하위 학문을 근거로 분석되었다. 지식 구조의 활용은 체육 학문과 교과를 융합하는 측면과 다양한 종목을 가르쳐야 하는 교사에게 교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측면에서 훌륭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지식 구조를 교사 교육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O-arm® Imaging System Coupled with Navigation Guided Posterior Atlantoaxial Screw Fixation in the Patient with Ponticulus Posticus, an Anatomical Variation of Atlas

        김상목,류경식,이홍재,박춘근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10 Neurospine Vol.7 No.4

        Ponticulus posticus is an abnormal bony bridge of posterior arch of atlas. The resulting foramen contains the vertebral artery and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lateral mass screw insertion into the first cervical vertebra. The authors report an atlantoaxial subluxation case showing a ponticulus posticus, which was surgically treated with posterior atlantoaxial screw fixation under the guidance of O-arm® imaging system coupled with navigation.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의 초등학생을 위한 네트형 경쟁 단원 개발

        김상목,영식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oncrete way of physical education lessons for elementary students in postmodern era. A net competition badminton unit for elementary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postmodernism as the restoration and respect of individuality. Methods: Action research for development of unit was carried out with 164 participants(elementary students) through an mutual negotiation process.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cycles of planning, implementation & observation, and reflection with participants in three group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collection of learning outcomes, interviews, and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carried out. Results: To teach elementary students in postmodern era,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about individuality pursuit and weaknesses of individualism of postmodernism. To make the student become the subject of the lesson, the unit and lesson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individual and level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ories such as UbD, TGfU, and TGT based on constructivism by postmodernism were applied. Researcher and participants improved the unit efficiently through mutual negotiation process.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unit in their subjective status, and the researcher needed to create a mood to abandon greed and respect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value of ‘competition’, ‘companionship’, ‘reflection’, ‘growth’, ‘pleasure’ and ‘persistence’, and the essence of experience was derived as 'student centered'. Conclusion: The education required for students in postmodern era is to respect the student's status as a main agent in learning and to actively negotiate with students and students, students and teachers.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살고 있는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체육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개인성의 회복과 존중이라는 핵심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네트형 경쟁 배드민턴 단원을 개발하였다. 164명의 연구 참여자(초등학생)와 함께 적극적인 상호교섭의 과정을 통해 단원을 개발하는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행연구는 계획, 실행과 관찰, 반성의 순환 과정을 3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3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실행과정에 참여하였다. 참여관찰, 학습 결과물수집,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초등학생들을 위해서는 개인성 추구라는 특성을 이해하고 개인주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학습이 필요하였다.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수준별․개별화 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단원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성주의 지식관을 기반으로 한 UbD, TGfU, TGT 등의 이론이 적용되었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적극적인 상호교섭의 과정을 통해 단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주체적 지위에서 단원 개선에 참여하고 연구자는 욕심을 버리고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쟁, 동행, 반성, 성장, 즐거움, 지속의 가치를 경험하였고, 경험들의 본질은 학생 중심으로 도출되었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은 학습에서 학생의 주체적 지위가 존중되고 학생과학생, 학생과 교사의 적극적 상호교섭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수업으로써 오리엔티어링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김상목,영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학생의 전인적 성장 측면에 교육적 효과가 높은 오리엔티어링을 체육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리엔티어링 수업 프로그램의 방향을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고려하여 신체활동의 본질을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결정하고, 교사가 학교와 학교 주변의 자연환경에서정규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맞추어 오리엔티어링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오리엔티어링 수업 프로그램은 10차시 분량으로 개발되었고 충북 청주소재의 S초등학교 3학년 6개 학급 159명(남학생 84명, 여학생 75명)에게 적용되었다.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은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ADDIE 모형의 절차에 적합하게 분석, 설계, 개발 되었고, 충실하게 실행되었으며 평가 결과 신체활동 수준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참관 교사의 수업 평가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 프로그램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orienteering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the aspect of raising a whole person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physical activity by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as for providing the practical knowledg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e orienteering program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so that teachers use the program in regular classes considering school environments. The program was made up of 10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159(male: 84, female: 75) third grade stud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program was well developed based on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ADDIE model. The program was appropriately analyzed and designed and faithfully implemented. So, the program showed good result of physical activity level. An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is program. The program also got better results in teacher evaluation of observer. As a result, this program can be appropriate for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