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운증후군 산전 선별검사

        김병점,경미,조지영,박민혜,상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1995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 14279명 중 임신 16∼18주에 Triple 선별검사를 받은 35세 이하의 저위험군 산모 661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riple 선별검사의 양성률은 3.4%이었다. 2) Triple 선별검사의 다운증후군에 대한 양성 예측도 는 1.8%이었다. 3) Triple 선별검사 양성 군에서 산모의 나이는 음성군 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되어 있으나 산모의 과거력, 가족 력 등에서는 의의가 없었다. 4) Triple 선별검사 음성군에서 단독인자의 위험도에 의해 실시한 양수천자검사의 결과는 의의가 없었다. 5) Triple 선별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각 표지물질들 의 수치가 모두 낮게 나타날 때는 Trisomy 18을 진단하기 위해 양수천자검사가 필요했다. 선천성 기형의 출산을 예방하는 방안으로 좀더 정확한 선별검사의 정보와 보다 빠른 시기에 가능한 검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비용- 효과적인 면에서의 개발과 더불어 선별검사에 대한 산모의 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6614 women less than 35 years of age who underwent the triple test between 16 and 20 weeks gestation from July, 1995 to Desember, 1996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positive rate of the triple test was 3.4%. 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the triple test was 1.8%. 3. Maternal age of the screening 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creening negative group but, the past history and the family history were not significant. 4. The result of amniocentesis that were performed due to the level of the MSαFP, β-hCG and uE3 was not significant. 5. The amniocentesis should be advised to evaluate the trisomy 18 when it were reduced the level of MS FP, β-hCG and uE3 in the screening negative group.

      • KCI등재

        유합쌍태아 2 예

        이은희,서성숙,김병점,경미,전미경,송진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7

        The occurrence of conjoined twin is very rare and most do not survive. Prenatal diagnosis of conjoined twin is difficult. But early prenatal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hared vital organs are desirable for optimal obstetrical counseling and management. We have recently met two cases of conjoined twins, cephalothoracopagus syncephalus and thoracopagus. So we report these cases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난관 미세복원수술의 동기분석 및 임신률에 관한 고찰

        전정희,이미영,전성숙,김병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6

        1989년 10월부터 1993년 12월 31일까지 4년 3개월간 일신기독병원 불임 진료실에서 시행한 난관미세수술 333례중 불임난관미세복원수술을 받은 278명의 동기 분석 및 임신률을 고찰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5세(23-42세)였으며 복원수술 당시 생존아의 수는 0.59명(0-3명), 불임기간은 평균 6.02년(1년이하-15년)이었다. 2. 복원수술을 원하는 이유로서는 재혼이 45.3%(126명)로 가장 많고, 다음이 하나 더 낳기 위해서가 19.1%, 남아를 원해서 18.3%, 자녀 사망이 15.5%로 나타났다. 3. 과거에 시술받은 불임수술의 종류는 복강경 불임수술이 278례중 255례 91.7%(전기소작 57.5%, ring 방법 34.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제왕 절개 수술시 난관결찰이 17명으로 6.1%, 미니랩, 산후 난관결찰, 다른 수술시 난관결찰이 각각 2,1,3례씩 있었다. 4. 시행된 문합술의 난관부위별 분포는 협부-팽대부 문합이 136례로 48.9%, 협부-협부 문합이 104례 37.4%, 자궁각-협부 21례 7.6%였으며, 팽대부-팽대부 9명 3.2%, 자궁각-협부 8명 2.9%순이었다. 5. 과거 시술된 불임수술의 종류별 복원수술후 난관길이는 복강경 ring 방법과 제왕절개시 난관결찰, 산후 난관결찰 등에서 평균 8-7.6 cm로 길었으며, 복강경 전기소작에서는 평균 6.1 cm로 짧았다. 6. 1992년 12월 31일까지 수술한 202명중 술후 12개월에서 51개월 까지 본원에서 추적조사된 186명중 164명에서 임신이 확인되었거나 도는 분만되어 88.2%의 임신성공율을 나타내었다. 7. 선행된 불임수술의 종류별 임신률은 복강경 ring방법에서 66명중 64명으로 96.9%(p$lt;0.001), 복강경 cautery에서 104명중 87명으로 83.7%, 제왕절개시 좌우 난관결찰은 12명중 11명으로 91.7%로 나타났다. 8. 난관 복원 술식에 따른 임신률은 협부-협부 문합술, 80명중 75명으로 93.7%, 협부-팽대부 문합술, 82명중 71명으로 86.6^, 자궁각-팽대부 문합술, 자궁각-협부, 팽대부-팽대부 문합술에서 각각 75%로 나타났다. 9. 미세 난관복원 수술 시행시기와 임신률은 월경 주기중 증식기에(proliferative phase)에 88례줄ㅇ 75명에서 85.2%, 분비기(secretory phase)에 98례중 89례에서 90.8%의 임신률을 보였다. 10. 난관복원후 임신사이 기간별 누적임신률, 전체임신의 분포, 기간별 임신기회 등을 보면 임신된 164명 중 126명에서(76.8%), 6개월이내(평균 4.9개월) 임신되었고, 23개월에 100%였다. 전체 임신의 분포도는 76.8%, 16.5%, 4.9%, 1.8%였으며 pregnancy chance는 67.7%, 45.0%, 24.2%, 12.0%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11. 임신군(164명)과 비임신군(22명)에서의 특성은 임신군 31.2세, 비임신군 34.3세로 3세 젊었고(p$lt;0.001) 불임수술기간도 5.7년과 6.4년으로 짧았고 난관길이도 7.0 cm와 5.8 cm로 임신군에서 길었다(p$lt;0.001). 12. 임신결과는 만삭분만이 117명으로 71.4%, 자연유산이 14%, 인공유산이 4.9%, 사산, 사망이 각각 1례, 조산 2례, 자궁외임신 3례, 임신중인 임부(Ongoing pregnancy)가 9명이다. Between October, 1989 and Dec., 1993.278 consecutive patients had a reversal of tubal sterilization done by microsurgical technique at the infertility clinic of Il Sin Christian Hospital.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reversal were as follows; mean age 31.2 years(23-42), mean number of living children 0.6(0-3) and average interval between sterilization and reversal 6 years (1-15 yrs). The most common reasen for tubal reversal was remarriage (45.3%) then the desire for a larger family (19.1%), the desire for a male child (18.3%), and the loss of children (15.5%) particularly male child. 91.7% of previous sterilizations had been done by laparoscopic method (electric cautery 57.5% and Yoons ring 34.2%) and 6.1% bilateral tubal ligationn done by cesarean section. There were only 2 cases of minilap and 1 case of postpartum tubal ligation. The main microsurgical operative procedures were isthmic-ampullary anastomosis (48.9%) and isthmic-isthmic anastomosis(37.4%). Of the 202 patients who had microsurgical tubal reanastomosis between Oct. 1989 and Dec. 1992, 186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51 months. Of these, 164 patients became pregnant. Over all pregnancy rate 88.2%. The pregnancy rate compared to the method of sterilization was 9.69%(P$lt;0.001) in laparoscopic ring and 83.7% in cautery. The pregnancy rate compared to the operative procedure was 93.7% in isthmic-isthmic and 96.6% isthmic-ampullary anastomosis. The pregnancy rate compared to operation time in relation to menstrual phase was 85.2% in the proliferatory and 90.8% in the secretory ph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who became pregnant (N=164)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become pregnant (N=22). The pregnant group were 3 yrs younger, their tubes were 1.2 cm longer and had 1 year more shorter duration of sterilization. The outcomes of the 164 pregnancies were fullterm delivery in 117(71.4%), premature delivery 2(1.2%), spontaneous abortion 23(14%), indeced abortion 8(4.9%), ongoing pregnancy 9(5.5%) and 3 ectopic pregnancies (1.8%). In these 3 ectopic cases, one had a subsequent intrauterine pregnancy after salpingectomy. All 3 cases had short postoperative tubal length and technically difficult in cornuoampullary reanastomosis because of pathologic tubes. Chi-square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with P$lt;0.001 considered significant.

      • KCI등재

        임신 18 주의 자궁파열 1 예

        양수진(Su Chin Yang),조은나(Eun Na Cho),박소양(So Yang Park),미희(Mi Hee Kim),김병점(Pyung Jum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2

        Spontaneous uterine rupture during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is a rare obstetric emergency.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acute abdominal pain and signs of hemorrhagic shock, a number of differential diagnoses must be considered.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is necessary to decreased the high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rupture of uterus. We present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in the 18th week of pregnanc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