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느린 학습자의1:1 직접 교수(DI) 효과

        김민원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e-on-one direct instruction(DI) on academic improvement and reaching national baseline academic levels for slow learnersi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eaching andlearning programs. Method: The study employed a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ith a single-subject design for thesubjects, consisting of 8 slow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The DI sessions were conducted witha goal of 48 to 72 sessions. The subjects’ learning outcom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oth asan overall average for all participating children and individually, for the subjects in the subjects ofmathematics, reading, and writing, which are diagnostic subjects for national baseline academic levels. Results: All slow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improvement in foundational academicskills in mathematics, reading, and writing through one-on-one direct instruction (DI). However,there was a significant individual variation in the scores, ranging from 5.33 to 71.43 points. Amongthe 8 participating children, 6 children met the criteria for reaching the national baseline academiclevels in all three subjects, while 1 child did not meet the criteria in any of the three subjects, and1 child met the criteria in two of the three subjects. Conclusion and Discussion: One-on-one direct instruction (DI) for slow learners in elementaryschool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enhance foundational learningabilities and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due to substantial variations in academicabilities and learning speed among slow learners, supplementary learning support tailored to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needs is necessary. Moreover, to enhance the learningoutcomes of slow learners, sustained, detailed, systematic, and long-term support is required.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xploring strategie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for slow learners. Therefore, to ensure the right to education for slow learners and improvethe quality of education, various effort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ystematiceducational curricula and programs, enhancement of teacher training, and policies addressingsocial discrimination are necessary. 목적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느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력 향상과 국가 수준 기초학력 도달을 위한 1:1 직접 교수(DI)의 효과를 살펴보고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느린 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48회기∼72회기를 목표로 1:1 직접 교수(DI) 시행 후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 과목인 셈하기·읽기·쓰기 과목에 대한 단일대상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해 참여 아동 전체 평균과 참여 아동별로 학습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느린 학습자 모두에서 1:1 직접 교수(DI)를 통해 셈하기·읽기·쓰기 과목에 대한 기초학력향상 효과가 나타났으나 아동별로 5.33∼71.43점으로 개인차가 컸다. 둘째, 참여 아동 8명 중 6명이 국가 수준 기초학력 도달기준을 모두 충족하였으나 1명은 세 과목 모두 도달하지 못하였고 1명은 세 과목 중 두 개의 과목에서 도달기준을 부분 충족하였다. 결론 및 논의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느린 학습자를 위한 1:1 직접 교수(DI)가 기초학습 능력을 높이고 학습 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지만 느린 학습자 간에도 학업 능력과 학습 속도의 차이가 뚜렷하므로 개인별특성과 학습 요구를 고려한 보충적인 학습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느린 학습자의 학습 향상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이상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느린 학습자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교사들의 직무연수 개선, 사회적 차별 해소를 위한 정책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 중공 및 중실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 최대내력평가

        김민원 ( Kim¸ Min-won ),준구 ( Kim¸ Jun-gu ),이가영 ( Lee¸ Ga-yeong ),형국 ( Kim¸ Hyeong-gook ),길희 ( Kim¸ Kil-h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이 연구에서는 최근 늘어나는 중공 단면 부재의 비틀림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공(Hollow) 및 중실(Solid)을 변수로 RC 부재에 대한 비틀림 최대 내력(T<sub>n</sub>)과 에너지 소산 능력을 비교하였다. 비틀림 최대 내력은 중실 실험체가 중공 실험체보다 약 4.5% 높게 나타났으며, 에너지 소산 능력은 중실 실험체가 중공 실험체보다 약 3%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공형태의 부재는 비틀림 최대 내력과 에너지 소산 능력에 대한 영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삼백초 수용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균에 대한 항균 및 숙주세포 내 사멸 효과 규명

        동혁,이진주,임정주,대근,곤섭,이후장,민원기,이만휘,장홍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살모넬라증은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의 하나로서 세포내 기생하며 질병을 유발하며 장염과 식중독 등을 유발하여 공중보건학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SCWE) 이용하여 숙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S. typhimurium 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 식억제 기능을 규명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SCWE 1, 10 및 100 μg/ml 농도로 첨가한 배지에서 RAW 264.7 체포와 24 시간 반응 후 평가해본 결과 세포독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S. typhimurium 균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항균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CWE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의 형태적 변화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살모넬라균의 탐식능력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능 력이 비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SCWE 처리 한 대식세포에 살모넬라균 감염을 수행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NO) 산생능력이 비 처리 군에 비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살모넬라균에 의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SCWE의 숙 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CWE를 이용한 세포내 기생세균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almonella spp. are one of major pathogens for zoonosis in worldwide, and can replicate within host cells and generally cause enterocolitis and foodborne poisoning which represents a considerable public health burde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ated to investigate the safty for host cells, antibacterial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water extract (SCWE) on pure culture and infection with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 typhimurium) in murine derived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 different treatment of SCWE concentration (1, 10 or 100 μg/ml) did not show any cytotoxic effect to RAW 264.7 cells for 24 h incubation. In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SCWE against S. typhimurium, bacterial viability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to SCWE-untreated control. In RAW 264.7 cells, SCWE significantly induced morphological change (p<0.05). In infection assay of S. typhimurium in RAW 264.7 cells pretreated with 100 μg/ml of SCWE, which are non-cytotoxic concentration, bacterial uptake ability of macrophage was increased corresponding with morphological change, whereas bacterial survival rates within macrophage was markedly reduced comparing to that of SCWE-untreated control. Furthermore,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SCWE-treated cells was slightly decreased until 24 h post infect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SCWE have the antibacterial activity for S. typhimurium an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S. typhimurium infection through activating murine macrophage independent on NO, suggesting that SCWE were beneficial on the disease caused by intracellularly replicating pathogens as a safe alternatives of conventional chemotherapies.

      • KCI등재

        Kenaf methanol 추출물의 가축 주요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효과

        임정주,동혁,이진주,대근,이후장,민원기,박동진,허무룡,장홍희,이만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2

        본 시험은 무궁화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인 Kenaf (Hibiscus cannabinus L.)를 경상대학교 시험농장 에서 2010년 6월 1일 파종하여 같은 해 11월 18일 수확하여 건조 한 후, 꽃 (HCME-F)과 잎 (HCME-L)에서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포 독성 시험 및 주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규명하였다. 항균효과에 사용된 균주는 가축에서 피부 질환, 유방염 및 소화기질병을 유발하는 그람양성 균인 St. aureus 와 Str. epidermidis,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 과 E. coli 균을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추출물 HCME-F과 HCME-L을 0, 25, 50, 100 및 200 ㎍/ml 농도로 첨가한 배지에서 RAW 264.7 세포와 24시간 반응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항균효과 시험결과 그람양성균인 St. aureus와 Str. epidermidis 균에 대하여 1, 50 및 100 ㎍/ml의 추출물 농도 및 반응시간 경과에 따라 항균 효과가 증가되었으나, 그람음 성균인 S. typhimurium 과 E. coli 에서는 항균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Kenaf의 꽃과 잎 에서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었고, 가축과 사람의 피부 질환 및 유방염의 대표적 그람양성균인 St. aureus와 Str. epidermidis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보여, Kenaf의 꽃과 잎을 이용한 선택적 그람양성균 치료제 및 사료첨가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ibiscus cannabinus L. is a plant in the Malvaceae family, that was seeded at June 1st in 2010 and harvested at November 18th. The present study was designated to investigate the safety for host cells, antibacterial effects of Hibiscus cannabinus L. of flower (HCME-F) or leaf (HMEF-L) methanol extract for typical Gram's positive bacteria (St. aureus and Str. epidermidis) or Gram's negative bacteria (S. typhimurium and E. coli). In treatmen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CME-F or HMEF-L (1, 50 and 100 ㎍/ml), cytotoxic effects were not shown to RAW 264.7 cells until 24 h incubation. In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HCME-F or HMEF-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St. aureus and Str. epidermidis were marked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control group, but antibacterial activity of HCME-F or HMEF-L for S. typhimurium and E. coli were not changed. Taken together, we demonstrated that methanol extract of HCME-F or HMEF-L showed the safety for RAW 264.7 cell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Gram's positive pathogenic bacteria St. aureus and Str. epidermid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methanol extract of Kenaf flower or leaf may be useful alternatives of conventional chemotherapies for dermatitis and mastitis causing Gram's positive pathogens such as Stapylococcus spp. and Streptococcus spp. in domestic animals and humans.

      • KCI등재

        가축 분뇨의 퇴비화 수분 조절제로서 Kenaf의 유용성 평가

        임정주,동혁,이진주,대근,이후장,민원기,박동진,허무룡,장홍희,필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2

        본 시험은 무궁화과에 속하는 초본 식물인 Kenaf를 경상대학교 시험농장에서 2010년 6월 1일 파종하 여 같은 해 11월 18일 수확하여 건조 한 후, 축산분뇨의 수분조절제로서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건조된 Kenaf를 다시 bast, core, leaf으로 분류하여 분쇄를 하였으며, 각각의 분쇄물에 대한 수분 흡수율, 수 분 증발률, pH변화, 용적중, C/N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분흡수율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왕겨 및 톱밥과 비하여 높은 수분 흡수율과 증발률을 보였고, pH는 Kenaf의 시료 별 증류수와 72시간 반응 후 측정해 본 결과 pH 2.8±0.01 - 4.34±0.02 범위로 톱밥 (pH 5.28±0.01) 및 왕겨 (pH 6.3±0.02)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C/N비 분석결과 Kenaf의 core가 649, bast 204, leaf 70 순으로 나타나 대 조군으로 사용된 톱밥 (789.1) 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왕겨 (132) 보다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용적중 시 험에서는 Kenaf는 각 시료의 입경에 따라 A(≥ 4 cm), B(≤ 4 cm, ≥ 0.25 cm) 및 C 군(≤ 0.25 cm) 으로 구분하였고, 시험 결과 bast, core 및 leaf의 경우 입경이 큰 A 군과 B 군은 톱밥 및 왕겨와 비슷 한 용적중을 보였으며, 입경의 크기가 작은 C 군의 경우 다소 높은 용적중을 보였고, 특히 leaf C 군의 경우 톱밥 및 왕겨에 비해 5배 이상의 높은 용적중을 보여 입경이 작을수록 용적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축산분뇨의 퇴비화를 위해 Kenaf를 이용 수분조절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농가의 비용감소,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은 물론 친환경적 처리가 가능 할 것으 로 사료된다. Hibiscus cannabinus L is a plant in the Malvaceae family. Kenaf was seeded at June 1st in 2010 and harvested at November 18th and dried and evaluated worth as a bulking agent for livestock composting. Harvested and dried Kenaf was divided into the bast, core and leaf. All materials were grinded by hammer mill and the moisture absorption, moisture evaporation, pH, volume weight and C/N ratio were measured. Kenaf was higher water absorption and evaporation ability than those of sawdust and chaff. The pH values of Kenaf were pH 2.8±0.01 - 4.34±0.02, which is lower pH value than those of sawdust (pH 5.28±0.01) and chaff (pH 6.3±0.02). The C/N ratio of Kenaf showed 649 of core, 204 of bast and 70 of leaf, which were lower than sawdust (789.1) but higher than chaff (132). In volume weight test, the materials were divided by particle size of Kenaf, named as group A(≥ 4 cm), B(≤ 4 cm, ≥ 0.25 cm) and C(≤ 0.25 cm). The volume of weight of group A and B for core, bast and leaf showed similar, but group C showed higher than those of sawdust and chaff. Especially, the volume weight of group C for leaf was 5 times higher than those of sawdust and chaff.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Kenaf as a bulk agent for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This is considered that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farmers through reducing the cost,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livestock manur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cessing of livestock manure.

      • KCI등재

        사료 내 오배자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이진주,동혁,임정주,대근,박현,이후장,민원기,장홍희,삼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본 연구는 천연 한방 소재인 오배자를 사료첨가제로 이용하여 육계의 증체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총 80수의 2일령 육계를 20수 씩 각 4그룹으로 나눈 후 각 각 0% (control), 0.10%, 0.25% 및 0.50%의 농도로 사료에 첨가하여 30 일간 급여 하였고, 투여 시작 후 매 5일 마다 증체량, 사료섭취 량 및 사료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배자 투여 그룹 모두에서 control 그룹보다 높은 증체량을 보 였고, 특히 0.25% 및 0.50% 투여그룹인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나 (P<0.05),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분석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오배자 0.10% 및 0.50% 투여그룹의 닭 다리살과 가슴살에 대한 조단백질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 결과를 통하여 닭 다리살의 경 우 투여그룹 모두에서 비 투여군과 비교하여 조단백질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닭 가슴살의 경우 비 투여군과 비교하여 조단백질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지방산 조성 에 있어서 항암 및 항산화 작용으로 알려진 a-linoleic acid (C18:3n-3) 및 conjugated linoleic acid 가 비 투여군에 비해 높게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천연 한방 소재인 오배자를 육계용 사료첨가제로 급여하였을 때, 육계의 증체 및 육질 개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배자가 육계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사료 첨가제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design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riental herbal natural extract, Galla Rhois (GR),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80 two-day-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esignated to four groups, GR 0% diet (control), GR 0.10%, 0.25%, and 0.50%-treated diet, composed 20 chicks and fed a standard diet supplemented with GR and monitored the growth performance every 5 days during 30 days. Body weight gain (BWG) in all treated groups was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during overall period, showing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GR 0.25% and 0.50% independent on concentration, though all group represented a similar level of feed intake (FI)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In analysis of the crude prote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eg and breast meats in control, GR 0.10% and GR 0.5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rude prote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eg meats among 3 groups. Whereas the crude prote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breast meat in GR 0.5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a-linoleic acid (C18:3n-3)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which are known as anticancer and antioxidative fatty acids, a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alla Rhois appears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meat quality on broiler chickens, focusing on potential use as a dietary supplement.

      • KCI등재

        임신돈의 사육시설이 분만모돈의 분만성적에 미치는 영향

        최충헌,Winson M. Gutierrez,이승주,인호,민원기,석,장홍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6

        본 연구는 종부한 다음에 개별 스톨에서 사육하고 3주 후 임신진단을 하여 임신을 한 경산돈을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에서 각각 계절별 30두씩 12주 동안 사육한 후 분만 1주일 전에 분만사의 분만틀 시설로 옮겨 4주 동안 사육하고 산자수, 생시체중, 이유두수, 이유체중 및 체평점 등을 평가함으로써, 임신돈사의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이 분만모돈의 분만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동일 계절에서 시설 간의 분만모돈의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봄, 가을 및 겨울에 비하여 여름에 더위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자수와 이 유두수가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신기간 동안 임신돈을 사육하는 개별 스톨 시설과 Shoulder length barrier 시설이 분만모돈의 분만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sows reared under two different housing systems : single stall - farrowing crate (SSFC) and shoulder length barrier - farrowing crate (SLBFC). Two groups of pregnant sows (30 sows ⨯ 2 treatments ⨯ 4 seasons = 240 sows) were housed in individual stalls (SSFC) and shoulder length barrier (SLBFC) for twelve weeks respectively. All pregnant sows were then transferred to individual farrowing crates a week before parturition and were reared for four weeks. Average litter size, average birth weight, average litter weight,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compared using SPSS.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on the farrowing performance of sows reared under SSFC and SLBFC. However, in this study, the welfare level of SLBFC is higher than that of SSFC. Therefore, we recommend that gestating sows must be housed in shoulder length barrier (SLBFC).

      • Design of a back-to-back converter to simulate transient state of renewable sources

        남원(Namwon Kim),상용(Sang-Yong Kim),이효근(Hyo-Guen Lee),황철상(Chulsang Hwang),경훈(Gyeong-Hun Kim),서효룡(Hyo-Ryong Seo),민원(Minwon Park),유인근(In-Keun Yu)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of grid-simulator for experiment of transient stability of grid-connected renewable energy system. A transient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system has been researched by a simulation, because direct connec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 and real utility is dangerous and it is hard to produce the transient grid condition. If a grid-simulator is used in the transient stability experiment, the transient grid condition might be generated easily with reference data and there is no impact on the grid. The grid-simulator composed of a back-to-back converter was designed and simulated with PSCAD/EMTDC to verify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