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로 체험의 재구성과 기억의 공유

        김미향 ( Kim Mi Hy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이 연구는 공적 기억인 역사 속에 숨어 있는 개인의 체험과 기억을, 문학을 통해 해석해 냄으로써 한국전쟁 포로 소설의 특징과 존재 방식을 재구해 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전쟁의 목적조차 잃은 채 과열된 갈등으로 폭력과 살육으로 폭주하는 포로들의 모습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증명하였고, Ⅲ장에서는 전쟁의 직접성에서 벗어나 일상이 전경화 된 상태에서 포로 체험의 기억을 타자와 공유하면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포로들의 삶이 개인의 특별한 체험에 불과하다고 치부하거나 또는 `포로`라는 이름으로 이들의 삶을 일률적으로 규정짓지 않고 포로들 각각의 삶을 통해 그 함축된 의미를 고찰해낸다면 이데올로기 대결의 가장 중심에 놓인 핵심적 인물인 포로들이 전쟁으로 고통 받고 희생된 대표적 `비극적 삶의 주체`임을 증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역사를 보는 시각은 더 다양해지고 우리 전쟁문학의 스펙트럼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In the situation tied to the immediacy of war, reorganization of repetitive captive experiences led to tragic ending by making captives` scars fixed. Also, fierce conflicts among captives in the prison camp resulted in cruel slaughter and violence, and Southern Government which had left them in the danger of murder and violence used them politically under the pretense of the release, never considering captives. Captives forgot the purpose of the war and rushed to the violence and slaughter without telling friends from enemies due to excessive conflicts among them, which obviously reveals unrealistic ideology. On the other hand, starting to share the memory of the captive experiences in a state that daily lives are in the foreground, the characters in Kim`s work who are free themselves from the immediacy of war arouse others` sympathy. However, whether the ending is tragic or reconciliatory, it has in common the fact that they are not courageous soldiers or vicious enemies who engaged in the battle field but are normal people and captives of Korean War. They show us that the violence in the prison camp wasn`t individual choice but inevitable result of the war, along with the tragic ending they chose. This makes us check that the captives, key characters placed in the center of ideology confrontation, may be actually representative victims by the ideology, all of whom were most irrelevant to the ideolog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쑥이 갱년기 장애 유도 흰쥐의 혈중 지질 및 결합조직 중 Collagen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미향,Kim, Mi-Hyang 한국생약학회 2006 생약학회지 Vol.3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P) on serum lipids and the collagen content of the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From day 2 until day 37 after the ovariectomy,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trol),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the AP 50 mg/kg bw/day (OVX-AP). The AP ethanol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rated 1 mL per day. The OVX ra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e sham-operated rats at all time points, but supplementation with the AP extracts tended to gain weight less than OVX-control. Although total-cholesterol was increased at OVX-control, supplementation with the AP extracts tended to result in less than OVX-control.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upplemented with the AP extracts (p<0.05). HDL-cholesterol is appeared higher AP extracts group than OVX-control.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uld know the fact that AP extracts were effective on serum lipids content throughout decreasing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increasing HDL-cholesterol in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ation with the AP extracts prevented a decrease in the collagen level in bone and cartilage tissu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estrogenic activities of AP. Therefore, it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 KCI등재

        한약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및 조골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김미향(Mihyang Kim),김보경(Bokyung Kim),김재덕(Jae-Deog Kim),강아람(A-Ram Kang),이창은(Chang-Eun Lee),서정민(Jungmin Seo),이동근(Dong-Geun Lee),조정권(Jung-Kwon Jo),김육용(Yuck Yong Kim),유기환(Ki Hwan Yu),이상현(Sang-Hy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3종의 한약재(감초(Glycyrrhizae radix), 황기(Astragali radix) 및 산약(Dioscorea rhizome))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및 조골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측정을 위하여 인체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를 luciferase 유전자를 리포터로 사용하는 에스트로겐 반응성 리포터 시스템을 가지는 세포로 형질전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약재 추출물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11배~5.73배 높은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중 감초 추출물이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보였다. 감초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50 μg/ml 및 500 μg/ml 일 때 각각 10<SUP>-8</SUP> M 및 10<SUP>-7</SUP> M 17β-estradiol과 거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조골세포주인 MC3T3-E1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감초 추출물의 농도가 1~1,000 μg/ml 범위일 때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황기 추출물은 조골세포에 있어서 유의적인 세포 증식률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감초 및 산약추출물은 각각 148% 및 133%의 최대 증식률을 보였다. 또한, 감초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100 μg/ml 일 때 최대 122%의 ALP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lizarin red S 염색법을 이용한 석회화 형성능 측정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석회화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초 추출물이 골 형성 및 골다공증 예방 효과가 우수한 식품 소재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3 types of medicinal herbs (Glycyrrhizae radix, Astragali radix and Dioscorea rhizoma) extracts on estrogen-like activiti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steoblast.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as transfected using an estrogen responsive luciferase reporter plasmid for measure the estrogen-like activity. Estrogen-like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 the range of 1.11~5.73 fold to that of negative control. The extract of G. radix showed the strongest estrogen-like activities. The estrogen-like activities of 50 and 500 μg/ml extracts of G. radix were similar to that of 10<SUP>-8</SUP> and 10<SUP>-7</SUP> M standard solution (17β-estradiol), respectively. G. radix extract showed no cytotoxicity against osteoblast MC3T3-E1 cells at 1~1,000 μg/ml. The extract of A. radix showed no significant proliferation of osteoblast. However, the extract of G. radix and D. rhizome showed maximum 148% and 133% proliferation effects. The extract of G. radix also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the maximum was 122% at 100 μg/ml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e nodule formation by the method of the Alizarin red S staining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 radix is able to perform the bone formation and prevent osteoporosis.

      • KCI등재

        악성 심낭삼출액을 보인 자궁경부암

        김미향 ( Mi Hyang Kim ),이태화 ( Tae Hwa Lee ),이천준 ( Chun June Lee ),김흥열 ( Heong Yeol Kim ),김원규 ( Won Gyu Kim ),김성한 ( S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4

        The occurrence of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is rare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Only six cases of antemortem diagnosis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a patient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who received emergent pericardiocentesis. In a few reported cases, women with pericardial involvement are candidates for radiation or chemotherapy. Early detection and prompt management of pericardial effusion is correlated with better quality of life and a decreased morbid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곰피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액 유동성 및 혈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Young Kyoung Kim(김영경),Min Hee Jeon(전민희),Yong Soo Park(박용수),Hyun Jung Hwang(황현정),Sang-Hyeon Lee(이상현),Sung Gu Kim(김성구),Yuck Young Kim(김육용),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2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estrogen의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로써 흰쥐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갈조류인 곰피 추출물의 영향을 혈중지질 농도, 혈소판 응집력 및 혈액 유동성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갱년기유도로 인하여 증가된 혈청 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곰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저하되었으며, 특히 곰피 추출물 200 ㎎/㎏ bw/day 투여는 중성지방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AI) 및 심혈관위험지수(CRF) 또한 곰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저하되었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곰피 추출물을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다. 혈액의 유동성에 곰피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난소 절제에 의해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유동성이 저하되었으나, 곰피 추출물 투여로 인해 유동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난소 절제에 의해 혈소판 응집능이 증가하였으나, 곰피 추출물 투여로 인해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갱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혈중 지질 변화에 대하여 곰피 추출물이 지질 및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곰피 추출물 200 ㎎/㎏ bw/day 투여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어 곰피가 심혈관 관련성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Estrogen deficiency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in variety of neurovegetative, psychic and somatic symptoms, and may contribute to severe diseases within the aged female population. Ecklonia stolonifera (ES) is an edible brown algae traditionally used in fishery towns in Far East As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 extracts on blood flow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ovariectomized rats. Weight-matched female Sprague-Dawley strain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Three groups were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The fourth group was sham operated.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ES extract at 50 ㎎/㎏ bw/day (OVX-ES50)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ES extract at 200 ㎎/㎏ bw/day (OVX-ES200).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decreased in the sham group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Six weeks feeding of ES extract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lowering of serum triglyceride and a lowering tendency of total cholesterol level. The level of Hdl-cholesterol in serum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ES extracts at 50 ㎎/㎏ and 200 ㎎/㎏ bw/day (p<0.05). Blood passage time of the ES extracts-supplemen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OVX-CON group. The ability of platelet aggregation of groups treated with ES extracts was less than that of the OVX-C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ES extract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on the metabolic syndrome of menopausal women.

      • SCOPUSKCI등재

        오존처리 청정재료와 L. acidophilus를 이용한 배추김치의 숙성

        김미정(Mee-Jung Kim),오영애(Young-Ae Oh),김미향(Mee-Hyang Kim),김미경(Mee-Kyung Kim),김순동(Soon-D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2

        장내젖산균인 L. acidophilus를 이용한 배추김치를 제조할 목적으로 이균의 배추김치제조에의 이용성 조사, 부재료가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김치담금재료에 부착한 김치숙성과 관련이 없는 각종 미생물을 오존수 또는 개스상의 오존을 처리하여 제거시킨 후 숙성에 따른 비타민류의 변화, 조직 및 즙액내의 당류의 변화, 균수의 변화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는 배추즙액에서의 생육도로 보아 김치제조에의 이용성이 양호하였다. 또 부재료인 고추는 김치에서의 사용범위인 1~2%첨가로 생육을 다소 촉진하였으며, 생장과 마늘의 경우는 상당히 저해하여 부재료의 사용으로 숙도조절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김치부재료에 6㎎/L/sec의 오존 및 오존수를 1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재료에 부착한 총균의 잔존율은 6~20%범위였으며, 김치당금비율에 준하여 재료를 혼할 경우의 제균율은 80~90%수준 이었다. 재료를 오존을 처리한 후 L. acidophilus를 첨가하여 김치를 숙성시킨 결과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이용가능한 당류가 없어질 경우 세포벽다당류를 분해하여 이용하였으며, 숙성과정중 비타민 B₁과 C의 함량이 일반김치에서 보다 높았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study the use of L. acidophilus, which exists in humun intestine for the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The changes in vitamins, the number of microflora and sensory quality were observed during fermentation after the microflora which was not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was eliminated by treatment with ozone water or ozone gas. The growth rate of L. acidophilus in the cabbage juice was higher than that in MRS broth. The growth of L. acidophilus was slightly promoted by adding 1~2% hot pepper powder while that was inhibited by ginger and garlic.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regulation of fermentation was possible by addition of spices. The result of treating spice with ozone gas and ozone water 6㎎/L/sec for 1 hour was that the survival ratio of total microflora was 6~20%. When L. acidophilus was added to materials after ozone treatment, the fermentation rate was improved and the polysaccharides in the cell wall were used when the usable free sugar was all consumed. The contents of vitamin B₁ and C in the ozone treated kimchi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 SCOPUSKCI등재

        저온 플라즈마 처리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김현주(Hyun-Joo Kim),이병원(Byong Won Lee),백기호(Ki Ho Baek),조철훈(Cheorun Jo),김재경(Jae-Kyung Kim),이진영(Jin Young Lee),이유영(Yu-Young Lee),김민영(Min Young Kim),김미향(Mi Hyang Kim),이병규(Byoungkyu Lee)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5

        쌀국수의 유통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플라즈마는 컨테이너형 유전격벽 플라즈마로 방전 가스는 공기를 활용하여 0, 5, 10 및 20분 처리하였고 미생물 감균효과, 색도, 경도 및 지질산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쌀국수에 B. cereus 및 E. coli O157:H7을 접종한 후 20분간 플라즈마 처리 시 E. coli O157:H7은 2.75 log CFU/g 감소하였고,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색도 측정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명도(L<SUP>*</SUP>), 적색도(a<SUP>*</SUP>) 및 황색도(b<SUP>*</SUP>) 모두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지질산화가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공기로 방전된 저온 플라즈마 기술은 쌀국수의 품질안전성을 개선될 것이라고 판단되나 관능적 품질 특성 개선을 위한 적합 플라즈마 모델 선정, 포장방법 개선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old plasma has been applied to improve quality of food product; however, studies on its effects on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rice noodles are rarely conducted.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treated by cold plasma were determined. Cold plasma was generated in a square-shaped plastic container (250 W, 15 kHz, ambient air), an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eatments were applied to rice noodle samples for 0, 10, or 20 min. Rice noodles inoculated with either Bacillus cereus or Escherichia coli O157:H7 were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for 20 min, and the approximate bacterial count reduction were 4.10 and 2.75 log CFU/g, respectively. The Hunter color values of the sample were increased after cold plasma treatment. Peroxide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wer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cold plasma treatment time. Futhermore, lipid oxidation was enhanced.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valuate changes in chemical qualities, such as lipid oxidation of rice noodles, induced by cold plasma, the results suggest that cold plasma can improve the microbial and physical qualities of rice nood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