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김미숙(MiSook Kim)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1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지난 40년간 일어난 초고속 경제성장의 경험에 유념하면서 한국 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그 대응양식으로서 노동(관련)정책을 해당 정권별(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에 있다. 60년대 초반 산업화 도입기부터 역대 정권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여성노동력을 저임금-단순-미숙련-산업인력으로 주변화시켜 왔음을 관련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60년대 산업화 초기에는 노동집약적 산업에 저임금 산업인력으로, 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기에는 저임금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적 여성직종에 집중배치되었다. 80년대 들어서는 의류 전자 신발 등의 업종으로부터 집단해고 또는 대량감원의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IMF 경제위기 전후 90년대는 비정규직 노동의 확산과 고용불안정 혹은 실업이 한국 여성노동의 현실에 충격을 주어 여전히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하겠다. 한편 정부 측의 다양한 대응양식으로서 노동(관련) 정책이 제안되고 있으나, 불합리한 노동 현실의 근본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overall profile of Korean female labor force over the period of 1960-2000. A particular emphasis is put on portraying major over-time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 force, following five different political regimes--that of Park, J.H .(1960 and 1970s), of Chon D.H. (early and late 1980s), of Roh T.W. (late 1980-early 1990s), of Kim,Y.S. (early 1990-late 1990s), and of Kim. D. J. (late 1990-early 2000s), respectively. Discussions have centered around: 1) utilization of young single girls from rural areas during the early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1960-1985; 2) the beginning of married women'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issues of the so-called "M-curve" thesis in Korean experiences since 1990s; 3) the emergence and enlargement of non-regular workers; and 4) the launching of labor related legal measures such as the Equal Employment Act of 1988 and its successive revisions, the Maternity Leave Acts, the On-the-Job Childcare Centers, and the prohibition of sexual harassments on the job setting, and so on. All in all, although it is undeniable that the Korean female labor force has experienced much progress over the period of time in terms of "equality and protection" issues, overall industrial reality we are facing with has not been so prosperous in the sense that most women workers have become the victims of industrial polarization, as time goes by.

      • KCI등재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이용한 상황버섯 첨가 전통 발효 증류주의 이화학적 특성

        김미숙(Misook Kim),이윤희(Younhee Lee),김인용(Inyong Kim),엄태길(Taekil Eom),김성환(Sung-Hwan Kim),조남지(Namji Jo),유성률(Sungryul Yu),정윤화(Yoonhwa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2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The spirits were produced by atmospheric distillation of rice mash added with 1~5% P. linteus and fermented by traditional and improved Nuruks. Traditional Nuruk facilitated more alcohol production than improved Nuruk during the initial fermentation time. The alcohol contents of rice mash with P. linteus ranged from 15.8 to 18.9%. Predominant volatile compounds were i-amyl alcohol of fusel oils and ethyl acetate of ester compounds in P. linteus added spirits. The spirits prepared by traditional Nuruk showed higher contents of i-butanol, n-butanol, and i-amyl alcohol than those by improved Nuruk. More ethyl acetate was produced in the spirits prepared by improved Nuruk than those by traditional Nuruk. The contents of methyl alcohol were less than 50 mg/L in P. linteus added spirits.

      •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악인의 형상과 그 욕망 ―<눈 뽑힌 형제> 유형을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oo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사람들이 사는 세상이든 문학이든 가장 기본적이고 궁극적인 탐구 대상은 바로 `인간` 나아가 `인간의 삶`이다. 실제로 사람들이 사는 세상이든 문학 속의 허구적 삶이든 그 탐구 대상을 바라보는 데에는 여러 코드가 나타나는바, 그 중 하나가 선-악(善-惡) 코드이다. 선하게 살면 세상의 질서가 바로잡히고 문제없는 세상이 될 것이지만, 그러한 삶은 사람을 무미건조하게 만들 것이다. 그래서 모든 양상에는 정반대의 모습이 존재하여 이를 보완해 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 문학 작품에서, 특히 서사문학에서 문제시되는 것은 막연한 악 그 자체가 아니라, `악을 행동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악을 행동하는 캐릭터`, 즉 `악인(惡人)이 서사를 좌우하는 것`이다. 캐릭터는 가상의 인물이지만 형상화된 개성적인 인물인 만큼, 그 역할을 하는 캐릭터가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지식의 차원에서 해부하여 정리한 인간이 아닌 저만의 성격을 가지고 살아 움직이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야한다. 캐릭터는 상상을 매개로 창조된 가상의 존재이지만, 실제의 인간을 넘어서는 힘을 발휘하기도 하여 사람을 웃기고 울리며 인생에 변화를 가져다주기 때문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구성이 아닌 캐릭터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이를 위해 선정한 설화에서 악인으로 상정된 동생은 선인으로 대변되는 형의 눈을 직접 뽑는 것도 아닌 스스로 뽑게 하고, 자신도 부자가 되기 위해 자신의 눈까지 뽑아내는 희대(稀代)의 악인다운 캐릭터의 모습을 보여주어 주어진 역할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악인인 동생의 이러한 행위는 선천적으로 잔인한 인성을 타고난 데다 후천적으로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열등감 콤플렉스와 우월감 콤플렉스에 빠진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복합적 상황의 결과로 나타난 동생의 악행은 잘 살고 싶은 욕망에서 비롯되었는바, 악은 지나친 욕망과 만나 발 생한다. 그렇다고 욕망 그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다. 인간에게 욕망은 삶을 지탱해주는 원동력이 되고 활력소가 되는 기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악인인 동생의 욕망 역시 처음부터 탐욕으로서의 욕망은 아니었다. 첫 욕망은 형과 더불어 이주하여 가난을 벗어나려는 원동력이고 활력소인 욕망이었으나, 그 다음의 욕망부터는 희대라는 낙인을 찍을 수 있을 정도로 악인이 되어 악행을 저질렀고, 이 논문에서 알아본 텍스트 상에서는 스스로 눈을 파내고 자멸한다. 그의 욕망은 목적의식이 있었다. 하지만 이 설화에서는 악인의 행적을 통해 아무리 목적이 있는 행위였다 하더라도 그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없고, 해서는 안 된다는 이른바 `도덕화 된 악`의 정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악은 제재되고 수정되어야 할 기제로서의 현실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t is `human being` or `his life`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and ultimate subject of study no matter where it is the world they live or in literature. Several codes exist regarding the subject in the real world they live or in a fictional life of literature, and one of them is good-evil code. When people live a `good` life, order will set up duly and the world does not have problems. However, such life will be dry and dull. That is why I think everything in the universe has the other side that makes up for one side: the opposite to each other. In literary works, especially for narrative literature, what matters is not `evil` itself, but `doing evil`. Therefore, it is `a villain` - a character doing evil- that hogs the whole show of a literary work. A character is an imaginary figure, but has a formed personality. Therefore, when the character does not fulfil its given roles properly, the work cannot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Eventually, a character in a folk tale has to show its image as a human being leading an own life, not as one dissected and rearranged in the dimension of knowledge. Although a character is a hypothetic existence created from imagination, he or she often exerts greater power than a real man, making readers laugh and cry, and brings change into their life. For this reason, it is not composition or plot, but the roles of a character to lead a story. In the folk tale select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young brother who plays a villain does not poke out his older brother (signifying `good`)`s eyes himself, but makes him do so with his own hands. And the younger brother pokes out his own eyes, too, to become rich, which is the very notorious act of a villain. In short, he plays a villain very appropriately. Such vicious conduct of the villain brother seem to result from the acquired poor environment, inferiority complex, superiority complex he falls in as well as his brutal born nature. The younger brother`s evil deed, which is the outcome of such complicated circumstances originates from the desire of being well-off. Therefore, we can say that `evil` comes out when it encounters excessive desire. However, desire is not bad itself because it can be a driving force and tonic for life to human beings. The villain brother`s desire is not avarice from the beginning. It is the driving force and tonic for moving out to escape from poverty with his brother. But the next desire changes him to doing wrongdoing and makes him a villain that deserves being branded as evil. As found in this study, he pokes out his eyes and destruct himself. His desire is of a sense of purpose. However, this folk tale shows a set pattern of `moralized evil` through the evil acts of the villain brother that the end doesn`t justify the means no matter how the end is of purpose. It indicates that evil is a realistic mechanism to be suppressed and rectified.

      • KCI등재

        “좋은 학교” 사례 연구: 중산층 지역에 있는 혁신중학교교장의 학교운영과 학부모의 반응

        김미숙(Kim, Mi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이 연구는 중산층 거주지역에 있는 한 혁신중학교(보람중) 교장이 어떻게 학교를 운영하며 그에 대한 중산층 학부모들의 반응이 어떠한가를 조사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입시중심교육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혁신학교에 대하여 자녀의 입시경쟁 력을 중시하는 중산층학부모들의 반응을 탐구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좋은 학교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위하여 보다 현실적합성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수집 자료는 해석적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보람중은 교장의 일관성 있는 학 교운영철학과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성, 수업 전문성을 위한 적극 지원, 그리고 학교 질서와 안전 유지, 학생존중과 교사들의 열의,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란 특성을 보였다. 이는 학자들이 제시한 좋은 학교의 특성과 공교육의 정상화와도 가깝다. 연구자는 중산층 지역에서 공교육의 정상화가 실현되는 좋은 학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부모들을 학교운영과정에서 공감적 협력자로 만들 필요가 있으며,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 이르기까지 학교운영철학이 일관성 있게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중산층 학부모들의 경쟁적인 학력관의 변화 또는 적어도 자제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학교운영에 만족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려면 무엇보다 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열의와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an innovative junior high school in a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 with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parents. The principal values “a happy school” in which students can feel intellectual pleasure in the classroom by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and cooperative group activities. To do so, he makes an effort to enhance teaching expertise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s which provides a supportive and spontaneous environment. However, the principal faces severe opposition from middle class parents who value competitive schooling and better educational credential. As the principal does not give up his philosophy, some oppositional parents leave the school. After experiencing such difficulties and conflict, the principal makes effort to be more empathic with not only teachers but also parents while pursuing his fundamental educational philosophy. By virtue of such ways, many parents increasingly show support for the schooling. In order to overcome test-oriented schooling which has been a chronic social issue in Korean society, at this school the principal practices a type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style. Thus, for the sake of moving beyond competitive test-oriented schooling and practicing good schooling, it is important for the principals to guide the middle class parents to become more empathic and cooperative towards the school mission. This calls for principals and administrators to actively support the enhancement of teaching expertise based on the spontaneity and passion of teachers.

      • KCI등재

        유해공장으로 인한 농촌마을의 피해와 변화: 전북 익산 장점마을 주민의 구술을 중심으로

        김미숙(Kim, Misook)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해공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농촌 지역 환경오염 과정에서, 환경 변화와 주민 건강영향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민 구술을 통하여 파악하여,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장점마을이며,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비료 공장이 설립되어 운영되는 과정에서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고에서는 공장 가동 전과 후의 자연 및 생활환경의 변화조사를 통해 오염전후 외형적인 주민피해와 생활변화를 파악하였고, 환경문제로 인한 건강 및 질병 영향, 경제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을 통해 주민 피해와의 관계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장이 가동되면서 배출된 악취와 매연, 폐수가 주요 오염 영향원으로 작동되었으며, 이에 자연환경과 주민 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악취와 매연은 주간 외부 활동뿐만 아니라 야간 실내 휴식에서도 호흡 불편함과 많은 정신적 제약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마을 공동체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공장 폐수는 직접적으로 마을 수원지를 오염시켜 농작물을 죽이거나 상품성을 하락시키는 등 경제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지자체에 수시로 민원을 제기하였고 개인 혹은 집단으로 저항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장, 주민 간의 갈등이 커지거나 새롭게 야기되었다. 특히 장기간의 오염영향으로 주민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는데, 암 환자 및 암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환경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건강 훼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여론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주민(피해자)들의 ‘과거의 기억’을 중심으로 사건을 재구성하여 그 사회적 고통의 정도와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환경 악화에 따른 건강피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구술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역학조사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환경문제 양상을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dents‘ dictation(oral statement), along with basic environmental changes and health impacts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rural areas caused by hazardous factories. The main research area is a small village(jang-jeom) located in Iksan-si, north province of Jeolla,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were reported to outbreak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fertilizer plant utilizing wastes from 2001 to 2017. In the oral process, external damage to residents and changes in life before and after pollution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 of changes in nature and living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factory operation.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residents" damage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s of disease impact, economic impact, and socio-cultural impact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when the factory started to operate, improperly discharged odors, smoke, and wastewater acted as major sources of pollution, which deteriorat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particular, odors and fumes caused breathing discomfort and many mental constraints not only during daytime outdoor activities but also during nighttime indoor breaks, which greatly affected the contraction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Factory wastewater directly polluted the village water source, killing crops or reducing marketability, and had an economic impact.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residents frequently filed complai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siste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but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factories, and residents reinforced or arose newly in the absence of a fundamental solution. Long-term pollution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health of residents, and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deaths continues to increase, social interest and public opinion about the irreversible damage to health due to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ave spontaneously formed. This study describes the degree and process of social suffering by reorganizing the incident by dicta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of the residents (victim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r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health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i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 KCI등재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사고력 함양 수업과 비판적 페다고지의 관계

        김미숙(Kim, Misook)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모든 청소년이 그러하지만, 특히 하위층 청소년들은 열악한 삶의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신과 삶의 조건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들의 사고력 함양 교육은 여전히 취약하다. 이 연구는 하위층 학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고력과 비판적 페다고지 이론을 토대로 연구자가 관찰한 두 교사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특정 개념이나 현상의 의미를 분석하고 자신들만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고, 학생들의 수준과 속도에 맞춰서 교사들이 기초개념을 설명하고 수업방법을 조율하였으며,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친구들과 더불어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편안한 수업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였고, 학력이 낮아도 사고할 수 있다는 견고한 믿음을 보였다. 하지만 탈구조주의자들이 강조했던, 다양한 위치성에서 오는 모순과 갈등에 대한 논의와 성찰은 미흡했다.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living conditions are central to their future mobility and life consequences. Yet current education only weakly promotes their critical thinking. The present research tries to provide some guide line for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in class including lower class youth. To do so, I take three steps. First, I examine Freire s critical pedagogy and post structural feminist pedagogy. Second, I discuss class of two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i.e., as observed in my field research). By doing so, the current paper shed light on implications for critical pedagogy in Korea: the instructor’s solid belief in lower class students’capability for learning how to think critically, adjustments regarding the students’learning pace, encouragements for spontaneous exploration of concepts and self-expression, and creating a safe environment wherein students can express their own ideas and emotions comfortably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소수민족의 새로운 민족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일본 홋카이도 아칸아이누고탄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ook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소수민족의 인권과 문화 보호에 관한 국제적인 움직임과 여론은 그들의 삶과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소수민족을 `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타문화를 가진 소수집단`으로 바라보고 있는 시선들이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족문화는 긴 시간 동안 주변의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하나의 민족문화로 천천히 자리를 잡아간다. 하지만 현재에는 경제적인 측면이 개입되면서 해당 민족문화(전통문화)를 이미지로 한 상품(관광상품)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민족문화의 변화 중 소수민족의 자립을 목적으로 만들어 지고 있는 새로운 민족문화의 생성과 유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체성의 변화와 문제점(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아칸아이누고탄에서는 새롭게 형성된 민족문화가 생계를 위한 경제적인 기반과 자기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누와 무관한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지원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아이누 민족의 전통보다도 아이누의 이미지로 관광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정체불명의 상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물론 이것은 소수민족의 홍보나 이해를 돕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이누 민족의 전통문화의 의미와 형태는 점점 변질되고 있다. 즉 당사자인 아이누인들에게 잘못된 전통문화의 전수(계승)로 인한 민족 정체성의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International movements and public opinions about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culture in minorities influence their lives and identities. In view of approaching to cultural diversity, it is realistically increasing that people think minority is `a minor community with disparate cultures that are present in the area`. This document looks into the process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new ethnic cultur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self-support, connected with the change in national identity of Akan Ainu Kotan(AAK) in Hokkaido. Unfortunately, people unassociated with the Ainu have played a pivotal role to having creating unidentified products referenced to the only the imagery of Ainu other than its culture just for attraction of the tourists but needless to say, other perspectives view this positive as it is supporting to creat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minorities and help understand of its culture to the outsiders. But the meaning and form of the cultural shift of Ainu is becoming gradually changed by it. In result, this case shows that a new national culture created through commercializing with a source of ethic culture is related to weakening the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Peer Assessment in Group Oral Presentations

        김미숙(Misook Kim)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0 영어교과교육 Vol.19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peer assessment in group oral presentations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and their final course grade and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and each student’s year in college. A total of 27 students, who enrolled in an English languag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required to give a group oral presentation and also were asked to assess the group presentations given by their peers using a rubric. Then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 t-test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who had their pre-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medium of English were more favorable to peer assessment activity, indicating students should get awarded a different score based on their performance in a group presentation. However, the students who had all their previous education by the medium of Korean preferred that all members in a group should get awarded the same mark, and they found peer assessment challenging.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heir final grades showed a weak relationship in general.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heir year in college was also weakly correlated. Despite the different views of the two groups, they preferred peer assessment to teacher assessment only in group oral presentations.

      • KCI등재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의 성과와 에너지 복지를 위한 과제 : 전북형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2015∼2019)을 중심으로

        김미숙(Misook Kim),김세훈(Sehoon Kim),손경미(Gyeongmi Son),박성례(Seongrye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2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4 No.2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총 5년 동안 시행되었던 ‘전북형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성과 및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그 사업의 한계를 이해하고 향후 에너지 복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5년 동안 시행되었던 전북형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에 참여한 전라북도 내 12개 시군의 18개 마을이며, 기존 에너지 대체 사용량 자료조사, 주민대표-행정-설치업자 심층면담 조사, 설치자 전화 설문조사 등 총 세 가지 조사 내용을 기초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대체적으로 사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상당수가 가정용 에너지 사용을 넘어 마을 수익형 에너지 사업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의견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에너지 사용 및 관리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를 보였고, 에너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수준의 증진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이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초고령화도가 높은 농촌에서 자립적 에너지 복지가능성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새롭게 적용한 지자체-컨설팅 기관-주민의 구조에서는 기존의 시설 지원 중심의 사업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갈등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분석 내용들을 기반으로 에너지 복지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성과 위주의 지원을 넘어 에너지 복지 개념의 정립, 명확한 에너지 생산자료 확보시스템 마련, 에너지 사용 절약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제 도입, 주민 화답형(에너지 자립 레벨업 방식) 프로그램 필요, 사후관리 및 관련 정보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for Energy welfare in the future, focusing on the ‘Jeonbuk-type energy self-reliant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analyz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s of this support project on villages, implemented for 5 years from 2015 to 2019,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is program with the operational limits and difficulties unavoidably and find the complement for future. The survey subjects were 18 villages in 12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buk-do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in base on three surveys: survey on existing energy replacement data, in-depth interviews with residents’ representatives-administrators-installers, and telephone surveys of facility operators (village residents). The resi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ject, and there were many opinions to expand alternatives use for household power to the village profitable business, and to demand information on another energy support governmental project. In rural areas with high aging population,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energy welfare was also confirmed. Also, the increasing effect of the level of interest and more spontaneous managemental attitude of Solar energy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of energy was also shown. Of course, there are obvious limitations on the operating system,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ergy welfare, to prepare a clear energy production data system, and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to induce energy saving.

      • KCI등재

        스마트 기반의 의류 청정시스템 가구 디자인 개발

        김미숙 ( Misook Kim ),송규호 ( Kyuho S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From old times, regardless of where in the East or the South, clothes have been stored in cabinets such as wardrobes or built-in cabinets. However, today's furnishing is becoming a necessary element not only for storage, but also for antibacterial and cleaning functions in response to viruses and fine dust. The convergence of furniture and smart technology is expected to create new opportunities in the furniture industry, respond to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and present a new paradigm.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design of a smart antibacterial system for clothing storage furniture in response to the worsen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Proper distribution technology. And a closet which can be used by small furniture manufacturers.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s smart furniture market trends, market analysis, user surveys, and demographic changes to review and selects appropriate smart technologies. The process of furniture design development includes user trend surveys, applicable smart technology reviews and test analysis, and design planning. Moreover, clothing purifying system and the actual furniture prototype is produced to specify commercialization of furniture development. (Result) Based on the insights obtained through the interior trend research. First, the concept is to play various colors in the wardrobe furniture. The inside of the closet is divided to make it easier for the small purifier to take good care of each piece of the clothes. The wardrobe furniture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ior volume, suitable for the clothes cleaning system module to operate, and for the installation quide and electricity wire to fit inside. The clothing purify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rdrobe and consists of humidity, temperature, fine dust, illuminance sensor, and humidifier, pen module and more. It operates semi-automatically by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can manage all these conditions inside the closet. Three types of filters are built inside the device to remove fine dust, various impurities, and odors on wardrobes.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cessibility to smart furniture. With convenient technology and friendly price, it can give customers a better experience in life. When technology enters the stage of large-scale commercialization, the technical attention decreases, but the price decreases. Taking advantage of this fact, if many small domestic furniture manufacturers continue to present more convenient and affordable smart furnishing to users,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new smart furniture market. In the future, we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furniture development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public spaces and offic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mart furniture development with applicabl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