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암서원의 강학 활동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한국 서원의 교육 내용과 방식은 주자가 제시한 교육 내용 및 방식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학파에 따라 다소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돈암서원의 초기 원장으로 재임한 이들은 모두 김장생의 문인이었던 김집·송준길·송시열 등이다. 돈암서원은 같은 노론계 서원이었던 화양서원·석실서원이 기호 지역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면서 서원의 위상과 강학 활동도 약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돈암서원 설립 초기의 학규는 전하지 않는다. 돈암서원의 운영 방식은 돈암서원 운영 전반에 관하여 17세기 후반 원장으로 재임하던 송준길에게 문의한 윤증의 서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서신을 통해 볼 때, 돈암서원의 학규는 이이의 <은병정사학규>와 유사하였다고 추정된다. 18세기 이후 돈암서원의 역대 원장은 노론의 낙론계 학자들로서 권상하 계열보다 김창협 계열의 원장이 많았다. 돈암서원 원장은 화양서원, 석실서원의 원장이 겸임하거나 전후로 재임했을 가능성이 많다. 돈암서원에서 행한 강학 활동은 서원 설립 초기에는 김장생-송시열의 교학체계에 따라 소학→가례→심경→근사록 등 성리서를 우선하고 다음에 사서·오경을 가르쳤다. 점차 노론계 낙론 서원인 석실서원 출신의 학자들이 원장으로 부임하면서 소학→사서→오경을 먼저 가르치고 다음에 성리서를 가르치는 이이의 교학체계를 시행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이러한 강학 순서는 김창협 계열의 학자들이 설립하고 운영했던 석실서원의 강학 내용과 순서이다. 돈암서원의 입학 자격은 신분은 중시하지 않았으며, 학문과 인품을 중시했다. 서원에서 과거 공부는 허용되지 않았다. 원생들은 서원에서 거재(居齋)하면서 강학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점차 서원의 재정이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자기 집에 거가(居家)하면서 삭망에 행하는 강회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of all Korean scholars are similar to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provided by Zhu Xi(朱熹), but they operated in a somewhat different way according to schools. Those who served as the first directors of Donam Seowon were Kim Gip(金集, 1574~1656), Song Joon-gil(宋浚吉, 1606~1672) and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who were the writers of Kim Jang-saeng(金長生, 1548∼1631). Donam Seowon is supposed to have weakened the status of scholarship and the activities of lectures as HwaYang Seowon and Seoksil Seowon, which principals were all the Noron(老論) scholars, grew to be the center of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Noron. Donam Seowon have not preserved the school regulations. But the way of operating system of Donam Seowon can be guessed through the letter of Song Joon-gil, who was the headmaster of the late 17th century on the whole operation of Donam Seowon. From this letter, it is assumed that the school of Donam Seowon is similar to the ‘Unbyoung-Jungsa regulations’ written by Lee Yi(李珥). The headmasters of Donam Seowon was the Noron scholars. And scholars of the Kim Chang-hyeop(金昌協, 1651~1708) school became headmasters more than the scholars of Kwon Sang-ha(權尙夏, 1641~1721) school. Headmasters of the Donam Seowon had served as the headmasters of HwaYang Seowon and Seoksil Seowon also.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onam Seowon, the lecture activities conducted in Donam Seowon were preceded by the textbooks of Kim Jang-saeng/Song Si-yeol's teaching curriculum and neo-confucian books[i.e Sohak(小學)→Family Ritual(家禮)→Simkyong(心經)→Keunsarok(近思錄). It is assumed that the scholars of Seoksil Seowon, who was a Noron Nak-ron(洛論) scholars, gradually adopted Lee Yi's teaching curriculum[i.e, Sohak(小學)→Sasoe(四書)→Okyoung(五經)]. This lecture contents and procedure was contents and procedure of the Seoksil Seowo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scholars of the Kim Chang-hyeop school. Entrance qualification of Donam Seowon's did not place importance on the social status, but on scholarship and personality. The examination for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was not allowed. Although the principle, students had to participate in the lecture and study(講學), they were living in Seowon, while the financial and operating of the Seowon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he students were changed to participate in the conference(講會) held twice a month while studying at their homes.

      • KCI등재

        김장생의 예학정신과 한국가정의 문화전통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17세기 한국의 예학 성과는 영호남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예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며 형성하였던 돈독한 학술 교류가 바탕이 되었다. 그 중심 인물이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예학자 김장생은 예제를 고증하고 정리하여 한국 예학의 학문적 수준을 크게 높였다. 김장생 예학의 특징은 첫째, 열린 예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사우ㆍ문인들과 함께 예설을 논하였고, 이황(李滉, 1501~1570)ㆍ이황의 문인인 정구(鄭逑, 1543~1620)ㆍ장현광(張顯光, 1554∼1637),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의 문인인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등 영남 지역 예학자의 예설을 참작하고, 정구ㆍ장현광ㆍ정경세 그리고 그들의 문인과도 예문답을 적극적으로 주고받았다. 둘째, 김장생은 인정(人情)과 합리성에 의거하여 예 형식이나 선배 학자들의 학설에 구애되지 않고 후한 인정으로 예를 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예를 행함에 인정을 중시하면서도 가정의 경제 형편에 따라 합리적으로 예행을 절제하도록 하여 인정이 과불급하게 됨을 경계했다. 한편 김장생은 예학자로서 부친 김계휘(金繼輝, 1526∼1582)와 자식 김집(金集, 1574∼1656)과의 모범적인 인격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조선 선비의 삶과 가정생활에 모범적인 가정상의 핵심은 부자자효(父慈子孝)의 모습인데, 김장생-김집 부자가 보여준 지고의 정성과 인격 관계는 ‘부자자효’의 일반인의 위계적 관계를 넘어 동반적인 ‘상장지익’(相長之益)의 관계로 표현되었다. 김장생-김집 부자는 평생 진실한 학문 태도와 수신하는 인생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부자동행(父子同行)의 관계는 문인들에게 부자가 서로 도우며 성장하는 ‘지기(知己)’ 관계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김장생의 부자상은 한국의 대표적인 부자상이 될 만하다. 이처럼 김장생의 예학은 인간의 어진 인정과 인격을 공유하는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 것이었고, 그러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가정의례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었다. The results of ritual studies in the 17th century Joseon are based on the friendly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 scholars in Yeongnam and Hoseo, who continuously exchanged ideas on rituals. At the center of the exchange was Kim Jangsaeng(1548-1631). He is known as the foremost figure in the study of rituals for his studies and historical research on rituals, which expanded the horizon of the study of Korean rituals. There were a few aspects of his study that set him apart from the others. The first was his openness to the ideas of others. He discussed rituals with his teachers. colleagues, and pupils, and drew ideas from the studies of other scholars in Yeongnam in this subject such as those of Yi Hwang(1501-1570) and his pupils Jeong Gu(1543-1620) and Jang Hyeongwang (1554-1637) as well as Ryu Seongryong(1542-1607) and his pupil Jeong Kyungse(1563-1633). He also frequently exchanged letters with Jeong Gu, Jang Hyeongwang, and Jeong Kyungse whenever he came up with new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rituals. The second thing that set him apart from the others was his assertion that rituals must be practiced based on compassion and rationality rather than formalities or theories of his seniors. However, he also stressed that there must not be excess or deficiency of compassion in practicing rituals, as they should be carried out in a rational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family. As a scholar of ritual, he set a great example in building a respectful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Kim Gyehwi(1526-1582) and his son Kim Jib(1574-1656). A model family for any Joseon seonbi is one that has a benevolent father and filial son.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between Kim Jangsaeng and Kim Jib was something beyond that, as they their character and devotion to each other were such that they took theirs to a new level that can be defined as a human relationship of reciprocity, which is quite extraordinary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was the social norm at the time. Throughout their lives, Kim Jangsaeng his son Kim Jib kept an attitude of devotion to their studies and family, and their pursui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goal-setting was viewed as a relationship between two confidants rather than a father and son in the eyes of their peers. Kim Jangsaeng and Kim Jib can be said to have set a role model for all the fathers and sons in Korea as a benevolent father and filial so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성삼문의 복권과 추숭

        김문준 ( Moon Joo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은 조선 선비의 상징이다. 성삼문은 박팽년 등 사육신과 함께 1456년(세조 2년) ‘대역죄인’(大逆罪人)으로 처형 당했으며 오랫동안 그들의 행적과 평가는 < 조선왕조실록 >에 언급되지 않았다. 성삼문을 비롯한 사육신은 세조 당대는 물론 그 후로도 200여년간 공식적으로 역적(逆賊)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를수록 매시대 마다 한국 선비들은 그들을 칭송하고 현창(顯彰)하는 노력을 지속하였다. 결국 그들은 복권(復權)되고 한국의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한국 선비의 전형으로서 추숭되었다. 중종반정 후 사림파가 등장하여 사육신의 절의를 공식적으로 재평가했다. 그 후 선비들 뿐만 아니라 조정(朝廷)에서 공식적으로 이들을 대표적인 충신으로 받들었다. 또한 충절과 의리를 한층 강화한 조선 후기에 비로소 그들의 충절이 국가적인 공인을 받게 되었다. 성삼문·박팽년 등 사육신은 희생당한지 2백여년이 지난 뒤인 숙종(肅宗) 때인 1691년(숙종 17)에 비로소 복권(復權)되어 신원(伸?)되었다. 성삼문·박팽년 등은 영조(英祖) 때인 1758년(영조 34)에 이조 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정조(正祖) 때인 1791년(정조 15)에는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禦定配食錄)에 올랐다. 이러한 복권과 현창 과정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많은 선비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진 일이며, 이러한 과정은 한국의 정신사를 수립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Seong, Sam-Moon(成三問, 1418~1456) has been a symbol among the Sunbies* at the age of Joseon Dynasty. In 1456(Sejo, 2nd year), he was executed with the Sayuksin(死六臣)** including Park, Paeng-Nyeon(樸彭年), and their achievements and evaluations were not mentioned for a long time in The Written History of Joseon Dynasty. In the era of King Sejo, the Sayuksin, including Seong, Sam-Moon, was of course officially regicides for nearly 200years. However, Sunbies in the future generation had continued their historical rejuvenation movements for the Sayuksin. The Sarim Party, which appeared after the Jung-jong coup d`etat, appealed to the government for the worship movement for the Sayuksin. Later, not only Sunbies but also Joseon Dynasty Royal Court recognized them as the representing Loyal Subject and officially reinstated them to their original place. Seong, Sam-Moon and Park, Paeng-Nyeon included in the Sayuksin were reinstated to their original place after 200 years from their death in 1691(Sukjong, 17th year). Seong, Sam-Moon was granted honors as the board for personnel management in 1758(Youngjo, 34th year). In 1791(Joungjo, 15th year) he was registered in Danjong-Loyal Subject-Erjeongbaesicrok(端宗忠臣禦定配食錄). These reinstatement and historical rejuvenation movements were the result in much effort of Sunbies as to the pass of long time, and this process was also the step for establishing Korean history of mentality.

      • KCI등재

        대전지역 향교ㆍ서원 배향 명현의 선비정신과 유교문화콘텐츠

        김문준 ( Kim Moon-j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대전 유교문화자원을 콘텐츠화하고 활용하자면 유교 가치의 선양과 활용이라는 두 가치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향교ㆍ서원을 활용한 유교문화콘텐츠 개발은 대전지역 향교ㆍ서원의 배향인물과 인문학적 가치를 선양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향교를 문화콘텐츠화 한다면 공자와 맹자의 정신과 이상을 현대적으로 공유하는 장을 만들어 가는 일이다. 한국유학, 특히 충청ㆍ대전 지역의 유학자들은 공자의 인본정신과 맹자의 왕도정신을 학문으로 삼고 실현하려고 했다. 따라서 유교문화 콘텐츠 개발은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행복과 평화라는 인류문화의 가치를 실현하고, 현대인의 생활 증진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창출해야 한다. 대전지역 서원의 배향인물의 인문학적 가치는 우리나라 도학 발전에 업적이 크거나 애국충절로 이름난 인물들이다. 이들 대전 유학자의 생애와 학문은 한국전통 유학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한국유학은 성리학, 예학, 의리학과 체계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이후 도학의 정통주의 강화, 춘추 대의정신의 강화가 진행되었고 대전유학자들은 이러한 일을 주도했다. 서원ㆍ향교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인간의 삶을 향상하는 문화 본연의 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시민의 문화적 요구에 부응하는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향교ㆍ서원 활용 유교문화콘텐츠 개발은 첫째, 디지털화된 정보를 넘어 아날로그 콘텐츠로의 활용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콘텐츠 개발은 산업화와 재화 창출을 넘어 우리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공공성에 기여해야 한다. 셋째 인력풀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원ㆍ향교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현대적 활용성과 공공성을 우선하며, 유교의 핵심 가치를 현대인의 사고와 생활 방식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발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예로서 마음수양, 인간관계개선, 리더십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There is the necessity to consider two elements; enhancements and utilization of Confucian values to develope content(and availability) of Confucian culture resource in Daejeon. The Content of Confucian Culture developed with using Hangyo and Seowon must be designed for the direction to heighten enhancements and utilization of the humanities value of Hangyo and Seowon in Daejeon. Making the Content of Confucian Culture means to make modern programs(to create a field) to share the spirit and ideals of the Confucian and Mencius. The Confucianists in Korea, especially Chungcheong and Daejeon area, regarded the humanistic spirit of Confucian and spirit of the rule of right of Mencius as a field of study, and they were trying to realize an ideal socity of the above. Therefore, the Confucian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must be created to realize the value of human happiness and culture of peace based on human dignity, and must be contributed the needs to improve contemporary life. The noted Confucian Scholars holding sacrificial rite in Sewon in Daejeon are the Humanities big value. In other words, They leav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Philosophy(Dohak), or they were the noble men to patriotic loyalty Confucian`s life and study in Daejeon. Korean confucianism was devoted an overall study about Neo-Confucianism, Ritual(禮)-thought and theory, and Righteousness thought and theory Philosophy. Content development of Confucian Culture with Seowon and Hangyo must have a original value of culture to improve the lives of human beings and should be developed to meet citizens`s cultural needs.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of Confucian Culture. Firstly, the use of an analog content should expand over the digital information and content. Secondly, the cultural content must be contributed to the public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general life over industrialization and the goods created. Thirdly, there is the emphasized necessity of efforts to organize and manage the manpower pool. The cultural content of Seowon and Hangyo should be developed to take advantage of the core value of Confucianism for making contemporary thinking and way of life better and better. such as mind-cultivating,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and leadership etc.

      • 사회적기업 경영진의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oon Kim ),장석인 ( Sug-in Chang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경영진의 조직역량(조직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 관계 형성 역량, 거버넌스 역량)이 조직성과(경제적·사회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최종 195부를 IBM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정된 연구가설 1(조직역량과 경제적 성과)과 연구가설 2(조직역량과 사회적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H1-1·H21(조직관리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2·H2-2(마케팅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3·H2-3(관계형성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4·H2-4(거버넌스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는 모두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어 가설1과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성공과 발전 및 지속가능 경영을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의 실행 주체인 경영진의 조직역량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므로 경영진의 조직역량을 전략적으로 향상·강화하기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의 구축과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조직역량 향상의 교육체계와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rgaizational capability(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relationship formation capability, governance capability) of management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social enterprise 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both economic and social). For such goal, empirical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is 1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research hypothesis 2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social performance)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IBM SPSS 24.0 for the final 195 candidates who work in social enterprise. Both hypothesis 1 and 2 were adopted, as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1 and 2, H1-1 · H2-1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H1-2 · H2-2 (marketing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 social performance), H1-3 · H2-3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nd H1-4 · H2-4 (governance capability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management, executive body of social enterprises, was emphasized for the success and strive of social enterprise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strategically develop and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the management, and provide a systematic and long-termed education system and train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우암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김문준 ( Moon Joon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4 No.-

        尤庵 宋時烈(1607-1689)에 관한 연구는 조선 후기사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우암학은 17세기 이후 지금까지 한국사상사 및 정치사 전반을 포괄하는 연구 범위를 가진다. 우암학의 최대 문제는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우암 평가가 매우 다르며, 이에 대해 아직 정리되지 못한 쟁점이 산적하다는 점이다. 우암 연구는 조선 후기사를 망국의 과정으로 볼 것인가? 양란 이후의 국가 재건의 과정으로 볼 것인가? 등의 시각 차이에 따라 연구 내용 및 자료 해석에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우암학 연구에 관한 향후의 과제 이러한 문제 해결 과정이 중요한 주제들이 되어야 하며, 한국사상사 및 정치사의 맥락에서 통시적이며 거시적인 조망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우암학의 과제를 몇 가지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암관련 1차 자료의 지속적인 번역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우암과 관련된 인물이나 학맥과 관련된 연구도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우암학을 조선내의 연구 범위로 국한하지 말고 세계사적인 시각에서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무엇보다 중요한 우암학 연구의 과제는 미래지향적인 우암학 연구이다. 특히 우암의 학문과 사상은 오늘날의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시대적 문제 의식과 연관지어 생각할 가치가 있다. 21세기에 주목해야할 우암학의 핵심은 朱子學 尊崇이나 春秋義理論에 담긴 국가의 도덕과 주체성, 국제평화의 상생 원리이며, 이러한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어 밝히고 정당하고 평화로운 동북아 국제질서를 제안하는 바탕으로 삼아야 한다. The study on the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is the core of the study on the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The study of U-am ranges from the 17th century to today, covering the study of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overall Korean politics. The biggest problem regarding the study of U-am is in line with very different judgment on U-am depending o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U-am researchers. According to U-am researchers, the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has been viewed either as the process of ruin or reconstruction after Japan`s invasion(Imjin Hideyoshi Invasion: 1592-1597) and Chung`s invasion(1627, 1636). So, it is necessary that U-am study needs to be viewed, with a broader perspective, on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Korean politics. Also,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task of U-am study today is as follows: First, continuous effort on translation of U-am related primary source is called for. Second, research on people or study line related to U-am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U-am in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is needed. Fourth, the most important task of all is that the study of U-am should be future-oriented. Especially, U-am`s thought and scholarship is worth being studied in connection with these day`s issues of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The core point in the study of U-am in the 21th century is nation`s ethic and subjectivity and international peace which are included in his respecting to Chu Hsi(朱子) or Confucian way of criticism(春秋義理). We should manifest U-am`s thought more specifically to make it a cornerstone for fair and peaceful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우암 송시열의 지도자 덕목

        김문준 ( Moon Jo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0 No.-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summarized the virtues of leadership as the abilities of cultivation and living Learning of the Way. He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justice``/‘injustice``, or, ‘right``/‘wrong’, ‘the dignified man’(大人)/‘the undignified man’(小人), ‘the rule of right’(王道)/‘the rule of might’(覇道) and culture/uncivilization. A leader was able to remove injustices or wrongs. It was significant to leader`s work, the pursuit of ‘right`` and the removal of ‘wrong``. This resulted i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seventeenth century, due to the invasion of Ching(淸), was a perilous period for the Chosoen Dynasty. U-am recognised this as the catalyst which changed a once civilized community into a dispirited civilization. A collapse of spirit, a collapse of man. He thought leader`s mission was to regain these virtues of humanity and justice. That is, he thought to light the heavenly reason and to align the human mind(明天理 正人心). More concretely he wished to stop the heretical study and repulse uncivilization.(闢異端 扶正學) U-am possessed an uncomprimising will guiding him to stabilize the country by rejecting uncivilization. Above all, he insisted, the King of Chosoen should rule not as an autocrat but with ‘heavenly reason``(天理) while presenting himself as a model of behaviour and action. He also insisted the King should control his selfish desires and strive to recover civilization and destroy uncivilzation. Therefore the best virtue of leader was ‘respecting the rule of right(尊王道) and treating the rule of might(賤覇道) as a dirt’ and ‘respecting King and Father’(尊君父). For these, U-am emphasized ‘clarifing the heavenly reason and aligning the human mind’(明天理 正人心), ‘preventing heresy’(闢異端), ‘protecting right studies’(扶正學) U-am tried to stop the heresy and repulse uncivilization(闢異端 攘夷狄) and present this ideology as ‘the Right way of Human Society(世道)’.

      • KCI등재

        율곡학파 경세론의 도학적 경세정신

        김문준 ( Kim¸ Moon Jo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율곡 이이는 조선 최고의 경세가라고 할 수 있으며, 율곡학파 경세론의 특징은 도학적 경세론이다. 그런데 율곡은 중국 최고의 변법 경장가 왕안석 신법에 대해 평하기를, ‘인의(仁義)를 뒤로 하고 공리(功利)를 앞세웠다’, ‘중화를 저버리고 이적으로 나아갔다’고 혹평했다. 신법 정책이 안민(安民)에 앞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우선하며, 백성들이 인심(仁心)을 양성하는 정책이 아니라 백성들이 이심(利心)을 추구하게 만드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율곡은 지속적인 변법(變法) 경장(更張)을 주장하면서 민본(民本)ㆍ안민(安民)ㆍ이민(利民)ㆍ위민(爲民) 정신에 입각하여 국정을 개혁하고 사회 부조리를 개혁하고자 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의 특징은, 첫째, 왕도(王道)를 시행하여 '대동(大同)' 세상을 실현한다는 것이 최종목표이고 그 방법은 안민(安民)과 교민(敎民)을 추진하여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주자의 경세론을 모범으로 삼아서 임금과 정치 담당자들에게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학을 바탕으로 한 덕치와 안민의 실제 성과를 도출하는 경세 태도를 요구했다. 셋째, 우국애민(憂國愛民)에 기초한 우환(憂患)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우환의식은 시의(時宜)에 따른 시폐(時弊) 경장론으로 나타났다. 율곡의 경세정신은 후학들에게 전수되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은 조헌과 김장생, 송시열과 송준길, 윤선거와 이유태와 유계 등 학파를 이어 도학적 경세론을 계승해 갔다. 율곡학파는 만언소 전통을 이어가면서, 임금에게 시정에 대한 장문의 건의를 올려 ‘절약하고 백성을 사랑하여 부역을 줄이고 세금을 적게 걷기’, 인정(仁政)과 덕치에 기반한 안민 정책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았고 부국강병 정책을 정치의 말단의 일로 삼았다. Yulgok Lee Yi(李珥, 1536-1584) was Joseon's best Kyungjangist. The feature of the Yulgok school theory can be summarized as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Lee Yi commented on the new laws of Wang Anshi(王安石, 1021~1086), China's top Kyungjangist. Lee Yi harshly criticized Wang Anshi for "Leaving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behind utilitarianism(Effectiveness and consequentialism)" and "Leaving moral civilization to move on barbarism." His new law policy put priority on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富國强兵) before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Yulgok criticized, Wang Anshi's policy did not make the people cultivate humanity, just maked the people pursue selfishness. Lee Yi insisted on a continuous perversion, to reform state affairs based on the spirit of the people, tried to reform social absurdities. The characteristic of Lee Yi's theory of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is that; First, the ultimate goal is to implement the benevolent policy to realize a "daedong" world. The method can be achieved by promoting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teaching the people’. Second, it called on king and political officials to take a attitude that elicits the actual achievements of virtuous politics leadership(德治) a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Third, he had a sense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憂國愛民)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Y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emerged as the theory of reform according to negative effects of the times(時弊). The Yulgok’ spirit of reform had been passed down to the juniors. They are Jo Hoen(趙憲; 1544-1592), Kim Jang saeng(金長生, 1548-1631),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Song Joon Kil(宋浚吉, 1606-1672), Yoon Seon-geo(尹宣擧, 1610-1669), Lee Yu-tae(李惟泰, 1607~1684), Yu gye(俞棨, 1607-1664). Yulk school continued the tradition of Maneonso(萬言疏, an address of ten thousand letters to the king), claimed saving government expenses and loving the people, reducing forced labor service and imposing less taxes. They left the Policy for a rich country and strong army behi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동양철학과 심리학 융합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문준 ( Moon Joon Kim ),하창순 ( Chang Soon H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이 조사 연구는 1980년대부터 약 30년간의 한국의 동양심리학 연구 성과를 유불도 사상으로 나누어 연도별로 살펴보고 그 동향을 파악하여 유불도의 동양철학과 현대심리학이 연계한 연구 경향을 조사했다. 첫째, 불교 분야 연구는 가장 활발한 동양심리학 연구 분야이다. 2000년 이전의 연구는 불교 이론을 심리학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단계였다면,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심리학과 불교철학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명상의 효과와 적용 양상에 관한 실험과 경험 연구의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10년 이후의 연구는 더욱 실제적인 적용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 심리학 가운데 ‘명상치료’ 심리학 영역은 현재 한국 심리학의 주요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둘째, 유교 분야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을 심리학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유교철학 관련 연구는 불교철학 관련 연구에 비해 관심이 적고 연구자가 부족하며, 이에 따라 연구 편수가 대단히 적으며 연구 내용도 활용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다. 셋째, 도교 및 기타 연구이다. 도가 사상을 연계한 심리학 연구는 전혀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위와 같은 동양심리학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하나는 한국인의 심리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한국인이 자신의 심리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일상적인 심리 치유에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동양철학의 내용으로 서양 상담심리학의 한계를 극복 보완하고, 동양정신이라는 내용을 서양과학이라는 그릇에 담는 노력이 지속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동양심리학의 연구 방향은 동양철학의 가치 체계를 현실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기 위해 더욱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만들어 나가도록 해야 하며, 그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실정에 맞게 구성된 프로그램이나 상담 기법을 더욱 많이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has surveyed the studying results in the Eastern psychology of Korea nearly for 30 years starting from the 1980. The first is Buddhist study. It is the most active field of the Eastern psychology. If the studies before 2000 can be treated as a step to connect Buddhist theory with psychology, the studies that light the relation of psychology and Buddhist philosophy have started since 2000. Especially, the effect of meditation, the experiment of applying aspects, and the result of experience study have achieved. The studies ofter 2010 pursue the way to apply strongly. Within Buddhist psychology, ``Meditation Therapy`` is the crucial field of Korean psychology. The second is the study of Confucian study. These studies proceeded in the means of probing the tracts of koreans psychologically. The studies related to Confucian philosophy are on basic state compared to studies related to Buddhism. The last is Taoism study. The psychological study related with Taoism is not facilitated yet. The results of studying the Eastern psychology in the past years have gained two crucial outcomes. One of them helped Koreans to understand psychology. The other contributed to the health and cure in mind of Koreans. Thus, it is necessary that the Eastern philosophy must surpass the limits of the Western counseling psychology while continuing efforts of sustaining the Eastern spirit in the container called the Western science. Consequently, to practice these facts, the studies of the Eastern psychology should be directed to make its systematic theory and to develop many programs and counseling method which are adapted to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