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전공의 교육 과정 연구

        김문기(Kim, Mun-Gi),김형복(Kim, Hyoung-Bok) 동남어문학회 2012 동남어문논집 Vol.1 No.34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suggesting desirable direction for Koran language education major in undergraduate studies and graduated school. That curriculum is under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is the same. So we examin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current curriculum which is being operated at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n we make several propositions for progressiv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in graduated school. We expect this is of help to cultivating Korean teachers qualifi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ducational competence.

      • 투고논문 : 퇴계구곡(退溪九曲)과 퇴계구곡시(退溪九曲詩)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본고는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지난해 여름의 학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퇴계구곡 원림의 각 지점을 고증하고 그 원림적 특징과 퇴계구곡시 작자의 생애와 학문, 퇴계구곡시의 작품세계를 고찰하였다. 퇴계구곡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하계 이가순의 퇴계구곡시를 통하여 밝혀지게 되었다. 그 후,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조사와 퇴계구곡 관련시를 두루 찾는 과정에서 하암 이종휴의 퇴계구곡시도 창작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2007년 8월에 퇴계구곡 원림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퇴계구곡의 존재를 확인하게 되었고 퇴계구곡의 정확한 지점을 고증할 수 있었다. 퇴계구곡 원림의 제1곡은 사련진, 제2곡은 양진암, 제3곡은 죽동, 제4곡은 장명뢰, 제5곡은 고등암, 제 6곡은 임부동, 제 7곡은 양평, 제8곡은 청음석, 제9곡은 쌍계인데 이들 퇴계구곡은 부분적으로 훼손된 바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잘 보존되어 있었다. 도산구곡이 낙동강의 큰 물줄기에 설정된 것과는 달리 퇴계구곡은 퇴계선생의 유적이 산재하는, 낙동강의 지류인 퇴계, 즉 토계천을 따라 5.5km에 걸쳐 설정되어 있다. 퇴계구곡 원림이 퇴계선생 생존 시에 지정되고 경영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퇴계구곡시는 하계 이가순과 하암 이종휴, 두 사람이 남겼다. 이가순은 전국의 명산과 대찰, 명현의 유적지를 두루 편답하고 수많은 기행시를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무이구곡도가의 차운시와 퇴계구곡시를 비롯한 도산구곡시, 옥산구곡시, 원명구곡시, 소백구곡시 등 5편의 원림 구곡시를 지었다. 이가순의 퇴계구곡시는 전 2구에서는 주로 각 곡의 주위 경관과 풍치를 묘사하고 후 2구에서는 퇴계선생에 대한 회고의 정이나 성정지정을 탁물우의하여 읊고 있어서 그의 이 구곡시는 인물기흥적인 시라 할 수 있다. 이종휴도 무이구곡도가 차운시를 남긴 것을 비롯하여 퇴계곡시와 옥산구곡시, 도산구곡시를 창작하였는데 이종휴의 퇴계구곡시도 서경과 서정을 통해 탁물우의의 수법으로 음영성정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이가순의 퇴계구곡시에 비하여 도학의 묘리를 담은 작품이 많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n academic investigation into Toegyegugok(退溪九曲) conducted last summer in an attempt to ascertain historical evidence for each spot of it and its natural characteristics, and it’s also meant to look into Toegyegugok poems and the lives and learning of the poets. An academic investigation was implemented into Toegyegugok in August 2007 to confirm its existence, and that made it possible to find out the exact location of it. In general, that remained intact, though it was partly damaged to some extent. That was 5.5㎞ long and along Togye River, a branch stream of Nakdong(洛東) River where Toegye’s remains were rampant. It is not sure whether this spot was designated while he was alive. There were two poets who wrote poems about Toegyegugok:Lee Ga-sun(李家淳) and Lee Jong-hyu(李宗休). In Lee Ga-sun’s poem, each valley’s scenary and scenic beauty were portrayed in the first two lines, and he described his affection for Toegye(退溪) and the uprightness of man allegorically by using things in the second two lines. So his poem could be said to depict how he was elated by things. Lee Jong-hyu composed poems about Toegyegugok(退溪九曲), Oksangugk(玉山九曲) and Dosangugok(陶山九曲) as well. In the poem about Toegyegugok, he allegorized human nature. Overall, however, his Toegyegugok poem described more principles of moral philosophy than that of Lee Ga-sun.

      • KCI등재

        감탄사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지 않는 복합어 감탄사의 결합 양상 연구

        김문기 ( Kim¸ Mun-gi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2 No.-

        본 논문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복합어 감탄사 중, 감탄사가 그 구성 요소로 포함되지 않은 자료 53개를 대상으로 삼아 문법론적인 관점에서 그 결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복합어 감탄사를 ‘단어형 복합어 감탄사, 구 구성형 복합어 감탄사, 융합형 복합어 감탄사’로 분류하였다. 이때 그 구성 요소들의 문법적 특성에 따라 다시 구체적으로 하위 분류해 보았다. 단어형 복합어 감탄사에는 그 구성 요소의 문법 범주가 분명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었다. 구 구성형 복합어 감탄사는 ‘구’와 ‘명사, 부사, 불분명 어근, 구’ 등이 결합한 유형이 나타났다. 융합형 복합어 감탄사에는 ‘단어+용언 활용형, 용언 활용형+어미’ 등으로 구성된 것이 있었다. 이러한 복합어 감탄사의 결합 양상을 분석하면서, ‘어근, 불분명 어근, 준(準)어근’ 등과 같은 문법 단위의 필요성을 간략하게 논의했다. 한편, 이러한 복합어 감탄사가 감탄사라는 문법 범주로 설정될 가능성과, 그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의미적 연관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감탄사로의 품사 결정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복합어 감탄사의 구성 요소에 포함된 문법 범주들에 주목했다. 품사 통용의 감탄사들은 주로 ‘명사, 부사, 대명사, 관형사’ 등과 품사 통용이 가능했다. 그런데 복합어 감탄사의 구성 요소로 쓰인 문법 범주 역시 ‘명사, 관형사, 부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이들 문법 범주들은 감탄사로 통용될 확률이 높다고 파악하였다.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of compound exclamations listed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were examined fromthe viewpoint of word formationmethod. In this case, 53 compound exclamations that do not include exclamations as a component were used as data. At this time, I tried to sub-categorize them in detail again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There were those in which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components were clear and not clear in the word-type compound exclamations. Phrase-constituting type compound exclamations were a combination of ‘phrase’ and ‘noun, adverb, ambiguous root, phrase’. And Convergence-type compound exclamations consisted of ‘word+verb conjugation’ and ‘verb conjugation+ending’. In analyzing the combination of these compound exclamations, the necessity of grammatical units such as ‘root, ambiguous root, and quasi-root’ was briefly discussed. On the other hand, the possibility of such compound exclamations being set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s and the semantic connection between its component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order to examine the parts of speech decision patterns of exclamations, attention was paid to the grammatical categories included in the components of compound exclamations. The exclamations used in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were mainly able to be used with ‘nouns, adverbs, pronouns, and adjectives’. However, in the grammatical category used as a component of compound exclamations, ‘nouns, adjectives, and adverbs’ were the main ones.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se grammatical categorie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used as an exclamation conversion.

      • 투고논문 : 수락대구곡(水落臺九曲)과 수락대어가구곡시(水落臺漁歌九曲詩) 연구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예천지방에 존재하는 殷山九曲과 水落臺九曲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곡의 위치를 고증하고 그 원림적 특정도 추출하였다. 은산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찾을 수 없었으나 수락대구곡에 대한 구곡시는 3편이나 전하고 있었다. 영주 봉현의 池方山에서 발원한 석관천이 내성천으로 흘러들면서 결절된 승지가 바로 수락대이고 이곳을 전후로 하여 설정된 구곡이 바로 수락대구곡이다. 수락대구곡 원림을 가정 먼저 설정한 사람은 四勿齋 宋相天이었으나 본격적으로 설정하고 경영한 사람은 鶴林 權訪이다. 수락대구곡시는 송상천이 젊은 시절 권방의 은거지인 수락대를 방문하고 「水落臺九曲詩」를 지어 권방에게 보내자 권방이 이에 화답하는 「水落臺漁歌九曲詩」를 지었으며 뒤에 권방의 구곡시에 대해 石窩 權褘가 차운하여 「水落臺九曲詩」를 지었던 것이다. 권방이 설정한 수락대구곡은 제1곡이 觀魚臺, 제2곡이 聽澗亭, 제3곡이 江南曲, 제4곡이 南山수, 제5곡이 虹橋, 제6곡이 石門오, 제7곡이 石出臺, 제8곡이 水落臺, 재9곡이 登瀛谷이다. 본고에서는 권방이 수락대구곡을 설정하고 경영한 과정과 수락대구곡의 원림적 특징을 분석하고, 권방이 지은 「水落臺漁歌九曲詩」의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권방은 「水落臺漁歌九曲詩」를 통하여 수락대구곡을 道에 이를 수 있는 淸淨의 空間으로 보았으며 그가 추구한 것은 별유천이 아니라 平常의 道임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Gwon Bang(權訪) established and managed Surakdaegugok(水落臺九曲), and the plantation-based characteristic of Surakdaegugok, and considered poetic world of Surakdaeeogagugok-poetry(水落臺漁歌九曲詩) composed by Gwon Bang. A person, who first established the plantation of Surakdaegugok, was Samuljae(四勿齋) Song Sang-cheon(宋相天). However, A person, who established and managed it in earnest, is Hakrim(鶴林) Gwon Bang. As for Surakdaegugok-poetry, Song Sang-cheon visited Surakdae(水落臺), which is Gwon Bang`s safe haven in his early days, and composed Surakdaegugok-poetry and sent it to Gwon Bang. Then, Gwon Bang composed Surakdaeeogagugok-poetry in response to this. Later, Seok Wa(石窩) Gwon Wee(權褘) composed Surakdaegugok-poetry with rhyme-matching of Gwon Bang`s Gugok-poetry(九曲詩). Surakdaegugok established by Gwon Bang comprises the first turn Gwaneodae(觀漁臺), the 2nd turn Cheongganjeong(淸澗亭), the 3rd turn Gangnamgok(江南曲), the 4th turn Namsansu(南山수), the 5th turn Honggyo(虹橋), the 6th turn Seokmuno(石門오), the 7th turn Seokchuldae(石出臺), the 8th turn Surakdae(水落臺), and the 9th turn Deungyeonggok(登瀛谷). Gwon Bang regarded Surakdaegugok as clean space available for reaching Do(道) through Surakdaeeogagugok-poetry, and revealed that what he pursued is not Byeolyucheon(別有天), but is usual Do(道). Ultimately, Gwon Bang deemed Surakdaegugok as clean space available for reaching Do(道) through Surakdaeeogagugok-poetry, and revealed that what he pursued is not a different world, but is usual Do(道). Accordingly, Surakdaeeogagugok-poetry can be said to be poem in Takmulwoowi(托物寓意).

      • KCI등재

        한국어 문법 ‘-지 뭐’ 확장 구성 연구

        김문기(Kim Mun-gi)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1

        이 글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현대 문어와 구어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지 뭐’ 확장 구성의 의미 기능에 대해 고찰했다. 먼저 ‘-지 뭐’ 확장구성에는 ‘-지 뭡니까, -지 뭐예요, -지 뭐야, -지 뭘, -지 뭐니, -지 뭔가, -지 뭐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사용 빈도와, 이들과 결합한 구성 요소들의 종류와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의미 기능은 다음과 같이 주로 화자와 관련된 양태적 의미들이었다. ① -지 뭡니까 : 사건에 대한 화자의 놀람, 어이없음, 당황스러움, 실망 등, 상대방의 동의나 호응 등 유도, 화자의 감정 강조, 사건에 대해 ‘그래서는 안 된다’와 같은 화자의 판단이나 생각 표현의 의도, 사건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판단에 청자의 동조 또는 반응에 대한 요구나 기대. ② -지 뭐예요 : 특정 상황에 대한 화자의 놀람, 아쉬움, 체념, 실망 등의 감정 강조. ③ -지 뭐야 : 사건에 대한 화자의 놀람, 강조, 어이없음, 당황스러움, 실망, 사건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판단에 청자의 동조 또는 반응에 대한 요구나 기대. ④ -지 뭘 : 사건에 대한 화자의 겸연쩍음, 대수롭지 않음, 당연함,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박, 특정 상황에 대한 화자의 권유, 보편적 상황에 기반한 판단. ⑤ -지 뭐니 : 사건에 대해 화자가 예상하지 못했던 뜻밖의 결과에 대한 놀람, 사건에 대해화자가 느낀 감정의 강조, 그러한 사건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화자의 태도. ⑥ -지 뭔가 : 화자가 특정 사건에 대한 느낌의 강조나, 예상 밖의 결과에 대한 놀람(평서문), 화자가 몰랐거나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대한 깨달음, 겸연쩍음, 놀람(의문문). ⑦ -지 뭐요 : 화자의 대상에 대한 판단을 확인 ․ 강조, 화자가 사건에 대해 예상 밖의 결과로 인한 놀람이나 사건에 대한 강조. 더불어 ‘-지 뭐’ 확장 구성의 주어 실현의 제약 양상과 높임 표현 실현의 제약 양상을 통해 그 문법적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meaning function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based on concrete examples.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extracts from the modern written and spoken corpus, which corresponds to a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through a word search. As a result, I chose ‘-ji mwopnikka, -ji mwoyeyo, -ji mwoya, -ji mwol, -ji mwoni, -ji mwonga, -ji mwoyo’. Second, through the corpus data, we confirmed the aspect of the preceding coupling element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Third, the meaning function represented by the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was a modal meaning related to the speaker’s feeling and attitude ; surprise, disappointment, embarrassment, ridiculousness, naturalness, motivation of the opponent’s agree or response, emphasize the speaker’s feelings, request or expectation of celadon sympathy or response to the speaker’s attitude and judgment on the case, congratulations, a matter of no importance, refutation of the other’s opinion, speaker’s recommendation for a specific situation, judgment based on universal situation. Fourth,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are examined in simple terms in terms of realization of subject and realization of honorific express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was used in the sentence to carry out a specific meaning function. In this regard, research tasks to be accomplished in the future are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teach and learn the extended structure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