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탄사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지 않는 복합어 감탄사의 결합 양상 연구

        김문기 ( Kim¸ Mun-gi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2 No.-

        본 논문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복합어 감탄사 중, 감탄사가 그 구성 요소로 포함되지 않은 자료 53개를 대상으로 삼아 문법론적인 관점에서 그 결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복합어 감탄사를 ‘단어형 복합어 감탄사, 구 구성형 복합어 감탄사, 융합형 복합어 감탄사’로 분류하였다. 이때 그 구성 요소들의 문법적 특성에 따라 다시 구체적으로 하위 분류해 보았다. 단어형 복합어 감탄사에는 그 구성 요소의 문법 범주가 분명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었다. 구 구성형 복합어 감탄사는 ‘구’와 ‘명사, 부사, 불분명 어근, 구’ 등이 결합한 유형이 나타났다. 융합형 복합어 감탄사에는 ‘단어+용언 활용형, 용언 활용형+어미’ 등으로 구성된 것이 있었다. 이러한 복합어 감탄사의 결합 양상을 분석하면서, ‘어근, 불분명 어근, 준(準)어근’ 등과 같은 문법 단위의 필요성을 간략하게 논의했다. 한편, 이러한 복합어 감탄사가 감탄사라는 문법 범주로 설정될 가능성과, 그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의미적 연관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감탄사로의 품사 결정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복합어 감탄사의 구성 요소에 포함된 문법 범주들에 주목했다. 품사 통용의 감탄사들은 주로 ‘명사, 부사, 대명사, 관형사’ 등과 품사 통용이 가능했다. 그런데 복합어 감탄사의 구성 요소로 쓰인 문법 범주 역시 ‘명사, 관형사, 부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이들 문법 범주들은 감탄사로 통용될 확률이 높다고 파악하였다.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of compound exclamations listed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were examined fromthe viewpoint of word formationmethod. In this case, 53 compound exclamations that do not include exclamations as a component were used as data. At this time, I tried to sub-categorize them in detail again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There were those in which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components were clear and not clear in the word-type compound exclamations. Phrase-constituting type compound exclamations were a combination of ‘phrase’ and ‘noun, adverb, ambiguous root, phrase’. And Convergence-type compound exclamations consisted of ‘word+verb conjugation’ and ‘verb conjugation+ending’. In analyzing the combination of these compound exclamations, the necessity of grammatical units such as ‘root, ambiguous root, and quasi-root’ was briefly discussed. On the other hand, the possibility of such compound exclamations being set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s and the semantic connection between its component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order to examine the parts of speech decision patterns of exclamations, attention was paid to the grammatical categories included in the components of compound exclamations. The exclamations used in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were mainly able to be used with ‘nouns, adverbs, pronouns, and adjectives’. However, in the grammatical category used as a component of compound exclamations, ‘nouns, adjectives, and adverbs’ were the main ones.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se grammatical categorie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used as an exclamation convers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전공의 교육 과정 연구

        김문기(Kim, Mun-Gi),김형복(Kim, Hyoung-Bok) 동남어문학회 2012 동남어문논집 Vol.1 No.34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suggesting desirable direction for Koran language education major in undergraduate studies and graduated school. That curriculum is under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is the same. So we examin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current curriculum which is being operated at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n we make several propositions for progressiv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in graduated school. We expect this is of help to cultivating Korean teachers qualifi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ducational competence.

      • KCI등재

        매인풀이씨에 나타나는 상과 양태 의미의 상관성

        김문기(Kim Mun-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한국민족문화 Vol.30 No.-

        This paper discusse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spectual auxiliary verbs. Especially aspectual auxiliary verbs have both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in Korean. So I investigate the correlativity between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in aspectual auxiliary verbs. I explore the aspectual auxiliary verbs '-a/eo peorida/poda/ssata, -go malda' in this paper. These show the aspectual meaning, completion or termination of some event. But aspectual auxiliary verbs appear not only aspectual meaning but modal meaning. I think that is caused speaker's mental attitude. So I need to find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from the viewpoint of semantic correlativity. For this purpose, I use the methodology of Conceptual Blending Theory. Because this is useful to show the schema of semantic transition.

      • KCI등재

        한국어 ‘-으면’과 ‘-었으면’의 교수 · 학습을 위한 제언

        김문기(Kim, Mun-Gi)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I will propose a teaching-learning viewpoint about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eosseumye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hat is I search the logic in Korean sentence connection which these endings are used, and I suggest how to applicate these in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these purpose I investigate the semantic function of ‘-eumyeon’ and ‘-eosseumyeon’ in Korean dictionary and materials of Korean grammar educational. Based on the this, I examine which ‘-eumyeon’ and ‘-eosseumyeon’ show just morphological differences or are similar grammar items. And through this I suggest how to set grammar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of help to teaching-learning Korean connective endings ‘-eumyeon’ and ‘-eosseumyeon’. 이 글에서는 한국어에서 연결 어미, 특히 ‘-으면’과 ‘-었으면’이 사용된 문장 구조에 나타난 연결의 논리와 표현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바탕으로 이것을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과 여러 한국어 문법 교육과 관련된 자료에서 ‘-으면’과 ‘-었으면’의 의미 기능을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으면’과 ‘-었으면’을 단순히 형태론적인 차이를 보이는 문법 항목으로 처리할지, 서로 다른 유사 문법 항목으로 처리할 것인지 살펴본다. 그 결과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면’과 ‘-었으면’의 교수․학습에 의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더-’와 ‘-데’, ‘-대’의 의미 기능적 관련성

        김문기(Kim Mun Gi)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이 글에서는 회상의 선어말 어미 ‘-더-’와, 종결 어미인 ‘-데’와 ‘-대’가 의미적으로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더-’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데’의 의미 기능이,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옮겨 와서 표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더-’의 의미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때 ‘-데’는 그 역사적인 발달 과정을 볼 때, 상대 높임의 ‘--’가 회상의 ‘-더-’가 축약된 형태라는 점에서 높임의 등분도 논의했다. 또한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과, 놀람이나 못마땅함 등의 의미로 쓰이는 ‘-대’도, 그 의미 기능상 ‘-더-’의 화자의 과거 경험, 화자의 판단 등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데’와 관련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I try to reveal semantic-morphological correlations among ‘-deo-’, ‘-de’ and ‘-dae’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I looked into semantic function synthetically about ‘-deo-’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Second, I examined ‘-de’ has the meaning which someone expresses in the present situation something experienced directly in the past as it is. In addition, ‘-de’ has mobility status in Korean hearer honorific system with diachronic perspective, that is historically ‘-de’ has ‘-deo-(retrospection)’ and ‘-i(honorific)’, so I examined the divide of honorific speech of ‘-de’ too. So that I argue that there is a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de’ and ‘-deo-’. Third, in the way which ‘-dae’ means that of ‘-deo’ and surprisal or dissatisfaction, I tried to identify the correspondences from the semanticmorphologic functional side among ‘-dae’, ‘-deo-’ and ‘-d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문법“-으면”과“-었으면”의교수,학습내용 연구

        김문기 ( Mun Gi Kim ),김형복 ( Hyoung Bok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1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연결 어미 가운데 ‘-으면’과 ‘-었으면’을 유사 문법으로 보고, 이와 관련된 문법 교육 항목을 선정하여 그 교수·학습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 자료에 나타난 ‘-으면’과 ‘-었으면’을 분석해 본 결과, ‘-으면’과 ‘-었으면’을 유사 문법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으면’과 ‘-었으면’의 의미 기능도 세분 화하지 않아서 상황에 따른 다른 의미의 ‘조건’에 대해 다루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으면’과 ‘-었으면’을 독립된 문법 교육 항목으로 선정하고, 이들과 관련된 표현 항목을 정리하여 교육 항목을 설정했다. 그리고 이들의 의미 기능을 고려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여 한국어 문법의 교수·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We aimed to propose teaching-learning contents about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eosseumyeon’. First, we analyzed ‘-eumyeon’ and ‘-eosseumyeon’ in seven kinds of Korean text books. Through this, we found out ‘-eosseumyeon’ had not been chosen as a instructional grammar item, because ‘-eosseumyeon’ didn``t be apprehended as similar grammar with ‘-eumyeon’. Second, the meaning of ‘-eumyeon’ didn``t be departmentalized, therethrough ‘-eumyeon’ didn``t be dealt with various meaning according to each real situations. So we argued ‘-eosseumyeon’ needs to be selected as a separate grammar item, and we selected expressions which related to ‘-eumyeon’ and ‘-eosseumyeon’. And we tried to offer help to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by preparing a teaching-learning contents through departmentalizing the meaning of ‘-eumyeon’ and ‘-eosseumy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