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플라톤의 유비는 사이비 설명인가?

        김명순,Myoung-so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2 No.-

        라이헨바하는 플라톤의 철학을 사이비 설명이라고 비판한다. 이 글 에서는 라이헨바하의 비판이 타당하지 않음을 논증한다. 라이헨바하의 비판은 플라톤의 유비가 무엇이든 설명하려는 대상을 인간 또는 인간의 활동에 유사한 것으로 치부하여 설명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그의 유비가 결국 상상의 산물이라는 것에 근거한다. 이런 라이헨바하의 비판은 유비 일반이 학문의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필자는 플라톤이 그의 철학을 전개하는데 있어 유비를 진지하게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라이헨바하가 비판 하듯이 인간과 관련 없는 설명대상을 인간 또는 인간의 활동에 유사한 것으로 엮어 설명하는 방식이 아님을 보임으로써 라이헨바하 비판을 반박한다. 또한 유비가 우리에게 설명의 목적인 이해를 가져다주는 기능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으며, 비연역논증의 한 유형을 구성함으로써 주장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 examine Plato's analogies in his works, Politeia and Timaios, and show that his analogies are not pseudo explanations. Reichenbach argues that plato's philosophy covered with analogies gives pseudo explanations because his analogies are based on anthropomorphism. But I argue that Plato's analogies in the works are not based on anthropomophism and help to produce understanding which is an essential function of explanation. And I show analogy works in both argument and explanation and has a special function like Boyd's theory-constitute metaphor.

      • KCI우수등재

        영아반 그림책 읽기 활동,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정지은(Jee Eun Jeung),김명순(Myoung Soon Kim)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oddlers` vocabulary ability with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52 teachers and 104 toddlers at age 2. Lee and Kim (2004)`s categories of the Teachers` Verbal Behaviors, the categories of the Nonverbal Behavioral Analysis(Kim. 2005), and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Kim, et al.1995)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subcategories of reading activities in classrooms,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behaviors, and toddler`s vocabulary ability.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the ``interacting time both before and after book reading`` became longer.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connecting with previous experience``, ``asking questions for confirmation``, ``acknowledging,`` and ``expanding`` of verbal behavior, as well as the nonverbal behavior, such as ``requesting behavior``, ``emotional contact,`` and ``empathetic behavior.`` In conclusion, teachers` reading behaviors and activities were related to toddlers` vocabulary ability.

      • KCI우수등재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Myoung Soon Kim),김혜진(Hye Jin Kim)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the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the concepts of print matter.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children aged 3 to 5 enrolled in 93 classroom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 Early Language & Literacy Classroom Observation Pre-K (Smith, Brady, & Anastasopoulos, 2008), the Picture Vocabulary Test (Kim, Jang, Yim, & Bae, 1995) and the Concepts About Print (Kim & Kim, 2004)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ocabulary abilities and print-concepts of children aged 3-5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when a rich classroom environment was provided for th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to provide them with an enriched ``language environment`` within the classroom, the quality of ``books and book reading``, and the active utilization of ``print and early writing`` all being important elements of this.

      • KCI등재

        유아의 문해발달을 지원하는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명순(Myoung Soon Kim),이민주(Min Joo Lee),유정은(Jung Yeun Y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문해발달을 지원하는 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항 변별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자녀를 둔 356명의 부모이다. 자료 분석은 문항 내용 분석과 구인타당도를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 및 부모 문해상호작용 평정척도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문항변별도는 문항별 상, 하 집단 간 문항반응의 Chi-square(χ2)와 Cramer V 값을 산출한 결과 문항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와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척도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의 23개 문항은 3개의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쓰기 지원’, ‘책읽기 지원’, ‘환경인쇄물 지원’으로 나타났다. ‘쓰기 지원’은 유아의 쓰기 발달을 지원하는 부모 문해행동을 의미하며, 유아에게 쓰기 기회를 제공하는지, 쓰기에 대한 자녀의 성취를 인식하는지, 쓰기 관련 상호작용을 하는지, 부모가 쓰기에 대한 모델링을 보이는지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읽기 지원’은 책읽기에 대한 기회제공을 하는지, 자녀의 책읽기에 대한 부모 인식, 자녀와 함께 책읽기 상호작용을 하는지, 책읽기에 대한 모델링을 보이는지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환경인쇄물 지원’은 환경인쇄물과 관련하여 부모가 문해 경험을 제공하는지, 환경인쇄물 읽기에 대한 자녀의 성취에 대한 부모 인식, 자녀와 함께 읽기 상호작용을 하는지, 부모가 환경인쇄물 읽기에 있어 모델링을 보이는지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의 문해발달을 지원하는 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의 내적합치도 계수 Cronbach``s α 값을 산출한 결과 .78에서 .8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부모의 문해행동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develops a scale for evaluating Parent’s Literacy Behavior Rating Scale (PLBRS) for 3-5-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Participants include 356 Korean mothers of children of 3-5-year-olds. The item discrimina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highest and lowest groups using Chi-square (χ2) and Cramer V. The scale’s 23 items a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item discrimination. The concurrent validity is also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between PLBRS and HLE/PLIRS.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ucture of the PLBRS consists of three factors: “writing support,” “book-reading support,” and “environmental print support.” The Cronbach’s α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ange is from .78 to .86 for three subscales. It is concluded that PLBRS is valid and reliable for examining the parents`` literacy behavior with3-5-year-old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

        김명순 ( Kim Myoung Soon ),김지연 ( Kim Ji Yeon ),최지예 ( Choi Ji Yea ),윤선영 ( Yoon Sun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12개소의 실외놀이터와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 척도와 실외놀이 교사 인식 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계층적 군집분석 및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은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의 군집별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실외놀이를 장려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환경과 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teachers, who worked at 12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Kim, Choi, & Kim, 2018) and Outdoor play perception scale(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Post-hoc test, hierarchical clustering, and K-means clustering via SPSS 21.0 program.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and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were found in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 of the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 perception were proposed to encourage outdoor play of children.

      • KCI등재

        기획주제: 교과 교육과 독서 지도의 방향 : 활동 중심 독서의 의미와 방향

        김명순 ( Myoung Soon Kim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전통적 관점에서는 읽기를 기초 기능으로 인식해 왔지만, 이러한 틀로 볼 때 읽기의 실천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읽기의 전(全) 과정을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읽기의 과정적 측면, 독자의 능동적 측면, 의미 구성의 측면을 살피고 읽기를 활동이라는 개념틀로 재인식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활동 중심 읽기 교육이란, 읽기 활동을 활동으로 구현해내는 것을 의미하며, 읽기 과정을 활동의 과정으로 구현하고, 독자를 언어 활동 주체로서 교육하며, 실천적인 의미 구성을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활동 중심 읽기 교육은 읽기 교육의 지식, 기능, 전략을 포괄하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읽기의 지식, 기능, 전략은 학습자가 직접 수행해 봄으로써만 습득되는데, 활동은 이와 같은 수행을 확보해 주기 때문에, 이들의 발달을 가능하게 한다. 또, 읽기 활동은 교육과정 차원에서 ‘실제’ 영역의 교육 내용을 활성화시키는 접근이 될 수 있다. The reading ability is developed through reading activities which guide to reading practices. The activity-based reading education has strengths in the next four aspects. First, it can incorporate reading knowledge, skills, and strategies. Second, it can overcome the discreteness of skill-based reading by having learners carry out integrated reading. Third, it can overcome the de-context of skill-based reading. Fourth, it can provide learners with experiencing processes. The desirable orientation of the activity-based reading education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reading in reality. Traditionally, reading has been recognized as a basic skill. Yet, this understanding of reading fails to incorporate the whole process of reading processes. In contrast, this study suggests that reading should be recognized in the perspective of its process, the active role of readers, and meaning construction. The reading education thus should be able to realize activity-based reading process, to develop readers as active agents of language behavior, and to strive to construct meaning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만 4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쓰기 발달 간의 관계

        김명순 ( Myoung Soon Kim ),이민주 ( Min Joo Lee ),유정은 ( Jung Yeun Yo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쓰기 발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3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와 부모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김길숙?박찬화(2013)가 번안한 Boudreau(2005)의 부모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을 측정하였고 유아를 대상으로 쓰기 발달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만 4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쓰기 발달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출현적 문해 능력 총점이 높고 쓰기 발달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아는 출현적 문해 능력의 하위 범주 중 ‘환경인쇄물에 대한 반응’, ‘철자지식’, ‘출현적 쓰기’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쓰기 발달의 하위 범주인 ‘자유쓰기’, ‘이름쓰기’, ‘친숙한 글자 쓰기’ 모두에서 남아보다 빠른 발달을 보였다. 둘째, 만 4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쓰기 발달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친숙한 글자 쓰기’를 제외한 쓰기 발달의 모든 하위 범주와 출현적 문해 능력 하위 범주 중 ‘환경인쇄물에 대한 반응’, ‘음운 인식’, ‘철자 지식’, ‘출현적 쓰기’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 4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쓰기 발달에 유의한 설명력을 가졌으며, 특히 ‘환경인쇄물에 대한 반응’이 유아의 쓰기 발달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writing development of 4 years old children and the effects of the emergent literacy ability on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4-year-old children 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writing development task for children was individually conducted by researchers and their par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Boureau, 2005).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girls achieved higher scores than boys in the emergent literacy ability and the writing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print’, ‘alphabetic knowledge’, and ‘emergent writing’ of the writing developmen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mergent literacy ability and the writing development of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cores of writing development and some scores in sub-categories of the emergent literacy such as ‘response to environmental print’, ‘phonological awareness’, ‘alphabetic knowledge’, and ‘emergent writing’. Third, sub-category of ‘response to environmental pri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riting development of 4-year-old children.

      • KCI우수등재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김명순(Myoung Soon Kim),변혜원(Hye Weon Byun),김길숙(Gil Sook Kim)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life habit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000 parents of childre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ol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study mad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for SES variables, item-analysis,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and Cronbach`s a for reliability. Most items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tem response rates, and item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uncovered six factors, and 46 item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69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ix factors were (1)safety and rules (2)neatness (3)manners (4)self-help (5)eating habits (6)cleanliness. Cronbach`s a value for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ranged from .76 to .9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