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위터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기간 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 고찰

        김동훈,강정,주영준,Kim, Donghun,Jiang, Ting,Zhu, Yongju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4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학의 부분 또는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에 대해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인 트위터에서 이를 어떻게 생각하고 논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트위터에서 비대면 수업 관련 트윗을 수집한 후 감성분석 및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여론보다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부정적인 여론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월별 감성점수분포를 통해 학기 중이 방학기간보다 감성점수 분포의 폭이 넓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학기 중일 때가 방학 때보다 비대면 수업에 대해 더 다양한 감정과 의견을 교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긍정트윗과 부정트윗을 구분하여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트윗에서는 수업환경 및 장비, 긍정적인 감정 표현, 강의시청장소, 언어수업, 시험 및 과제와 같은 다섯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났으며, 부정트윗에서는 시간(수업시간, 쉬는시간), 시험 및 과제, 부정적인 감정 표현, 수업환경 및 장비와 같은 네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주제별 대표 키워드들의 비율을 통해 시간에 따른 주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여론의 트렌드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비대면 수업 관련 연구들과는 달리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트위터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감성분석과 시계열 주제 분석을 활용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긍부정 여론을 나누어 식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함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구성 및 개선방안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대면 수업을 설계하는 대학 및 교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people perceive the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e goal, we collected tweets related to online classes on Twitter and performed sentiment and time series topic analysis. We ha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rough the sentiment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ere more negative than positive opinions overall, but negative opinions had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Through exploring the monthly distribution of sentiment scores of tweets, we found that sentiment scores during the semesters were more widespread than the ones during the vacations. Therefore, more diverse emotions and opinions were showed during the semesters. Second, through time series topic analysis, we identified five main topics of positive tweets that include class environment and equipment, positive emotions, places of taking online classes, language class, and tests and assignments. The four main topics of negative tweets include time (class & break time), tests and assignments, negative emotions, and class environment and equipmen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rends of public opinions on online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topic composition over time through checking the proportions of representative keywords in each topic.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of understanding public opinions on online class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opinions from tweet data using sentiment and time series top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universities and help universities and instructors to design and offer better online classes.

      • KCI등재

        다이나믹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한 블록체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동훈,오찬희,주영준,Kim, Donghun,Oh, Chanhee,Zhu, Yongju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블록체인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및 시간에 따른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 및 기관 협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 다이나믹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 및 기관 협력 네트워크 분석 결과, 숭실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등이 블록체인 연구의 주요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이외의 기관으로는 국방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일회계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주요 연구기관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상자산(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상화폐), 블록체인 기술(분산원장, 분산원장기술), 금융(스마트계약), 정보보안(보안, 프라이버시, 개인정보) 등에 대한 키워드들이 주요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에서 스마트계약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주요한 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계열 주제분석 결과, 블록체인기술, 블록체인생태계, 블록체인 적용분야1(무역, 온라인투표, 부동산), 블록체인 적용분야2(식품, 관광, 유통, 미디어), 블록체인 적용분야3(경제, 금융) 등 다섯 개의 주요 주제들을 도출하였으며, 각 주제별 대표 키워드들의 비율변화를 통해 주제별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블록체인 연구동향 연구들과 크게 세 가지 관점(데이터, 방법론, 해석)에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1) 최근 2년 사이 급증한 블록체인 연구를 포함하였고, 2) 대학 및 기관 네트워크 분석과 시계열 주제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석기법 및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3) 이를 통해 블록체인 연구를 주도하는 대학 및 기관을 식별하고 국내 블록체인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가 블록체인 관련 연구 협력 및 정책 수립과 관련 기술 개발 계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Blockchain studies in South Korea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the university & institute collaboration network analysis,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times series topic analysis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Through the university & institute collaboration network analysis, we found major universities such as Soongsil University, Soonchunhyang University, Korea Universit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major institutes such 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amil PricewaterhouseCooper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at led collaborative research.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we found major research keywords including virtual assets (Cryptocurrency, Bitcoin, Ethereum, Virtual currency), blockchain technology (Distributed ledge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inance (Smart contract), and information security (Security, privacy, Personal information). Smart contracts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ll network centrality measures showing its importance in the field. Finally, through the time series topic analysis, we identified five major topics including blockchain technology, blockchain ecosystem, blockchain application 1 (trade, online voting, real estate), blockchain application 2 (food, tourism, distribution, media), and blockchain application 3 (economy, finance). Changes of topics were also investigated by exploring proportions of representative keywords for each topic.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attempt to conduct university & institute collaboration networks analysis and dynamic topic modeling-based times series topic analysis for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Blockchain studies in South Korea. Our results can be used by government agenc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of promoting university & institutes collabor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field.

      • KCI등재

        제올라이트 MFI 자일렌 분리막 연구 동향

        김동훈,Kim, Donghun 한국막학회 2019 멤브레인 Vol.29 No.4

        분자체 분리막은 분자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으로서 크기 또는 모양을 기반으로 혼합물을 분리하며, 높은 잠재적 에너지 효율과 뛰어난 분리능으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그 중, 제올라이트 MFI 분리막은 가장 오랫동안 연구된 물질 중의 하나이며, 다양한 방면으로 개발된 기술들은 이후 다른 종류의 분자체 분리막 연구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총설에서는, 결정성 물질인 제올라이트 MFI의 결정 생성 및 성장을 제어하여 자일렌 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분리막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향상시킨 많은 방법들을 다룬다. 씨앗결정의 형태 제어, 결정의 효과적인 이차성장법, 씨앗결정의 코팅 방법, 결정의 방향성 제어, 이종원소 도입을 통한 결정구조의 유연성 제어, 결함 관리 등, 자일렌 이성질체 분리성능의 비약적 성능 향상을 가져온 기술들을 소개한다. Molecular sieve membranes separate molecules based on their size and/or shape and have been of high interest, due to their potentially high energy efficiency and high selectivity. Zeolite MFI membrane is one of the most-studied molecular sieve membranes and has affected following studies on other molecular sieve membranes. This review discusses the technical developments on the control of morphology, microstructure, and defect of MFI membranes, which have significantly improved xylene isomer separation performances. These include crystal morphology control, effective secondary growth, seed coating method, crystal orientation control, heteroatom doping, and defect healing method.

      • KCI등재

        Location Choice and Price Competition: The Case of the Gasoline Market in Seoul

        김동훈(Donghun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1 동서연구 Vol.33 No.1

        이 논문은 주유소 수준의 패널데이타를 이용하여 주요소 간 경쟁을 분석하였다.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유소 위치선정의 중요한 결정요인은 인구밀집도, 지가, 주유소 브랜드의 집중도, 개인별 자동차 소유 대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주유소의 가격은 정유사 브랜드 별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어느 정도 시장지배력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유소의 보조서비스는 주유소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한 주유소들이 제품특성이나 공간적 차별화를 통해 가격경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1km 또는 2km 반경의 주유소 밀집도는 가격경쟁을 격화시키며 균형가격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비정유사 브랜드는 균형가격에 더 큰 가격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쟁정책의 관점에서는 비정유사 브랜드의 진입비용을 낮추는 것이 시장경쟁을 제고하고 소비자 후생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We analyzed the locational pattern and price competition among gas stations in Seoul using station-level panel data. Results indicate that population density, land price, station brand concentration, and car ownership per pers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lo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brand specific price differential and it was in part attributable to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Ancillary services of st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regarding pricing decisions. This verifies that gas stations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spatial and product characteristic dimensions to soften price competition. Meanwhile, station dens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stations within a 1km or 2km radius of a station, intensified price competition and lowered equilibrium prices. Specifically, the increase in independent stations that do not use refinery brands had a much stronger competitive effect on equilibrium pr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itive policy, lowering the entry costs of independent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enhance market competition and improve consumer welfare.

      • KCI등재

        <일반논문> 통일 독일의 교육통합

        김동훈 ( Kim Donghu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통일 이후 진행된 독일의 교육체제통합의 문제점을 그 진행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통일독일의 교육통합은 구동독의 단선형 학제를 백지화하고 서독의 교육제도와 거의 동일한 전통적 복선형 학제를 도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렇듯 철저하게 서독의 체제가 동독지역에 이식되는 형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합의 과정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또한 주로 구동독지역 신연방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통일 이후의 교육통합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우선 구동독 시절 교육제도가 지니고 있던 문제점들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고, 뒤를 이어 통일 이후의 교육통합의 과정을 상세하게 추적하였다. 그 결과 신연방주의 교사나 학생, 학부모들이 통합의 과정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많음이 드러났다. 그 이유는 교육통합의 과정이 주로 서독 체제의 일방적인 이식과 구동독시절의 잔재청산에 집중되었을 뿐, 동독지역 주민(교사, 학생, 학부모)들의 의사나 필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이기는 했지만 구동독 지역에서도 이전에 자신이 행했던 일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새로운 민주적 학교를 건설하려던 시도들이 자생적으로 발생했었지만 이런 시도들이 숨 가쁘게 진행된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 진행된 서독체제에의 흡수통합과정에서 대부분 좌절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진정한 교육통합을 위해서는 동서독 주민들 사이에 여전히 가로놓여 있는 머릿속의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필요하며, 구동독지역 주민들의 의사나 필요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통찰은 한반도 통일 이후의 교육통합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s which arose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n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In East Germany, the west-german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instead of the old east-german one. Because the integration was executed exclusively by transplanting the west-german system into the east-german one,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process of integration and the problems which arose therefrom was focused chiefly on the changes in the New Federal States. To understand properly the problems which arose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we analysed firstly in detail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system in the days of German Democratic Republic and then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is inquiry, the fact came into view that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the New Federal States evaluate the integration process negatively. The reason of this negative evaluati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integration was mainly focused on the one-sided transplantation of west-german system into the New Federal States and on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from the days of German Democratic Republic. Several attempts to reflect critically upon their own past and to construct a new democratic school system were spontaneously made among some east German teachers and professors. But these attempts turned out mostly fruitless because of the breathtakingly speedy process of Reunification and of the thoroughly one-sided integration of east-german education system into the west-german one after the reunification. It becomes evident through this inquiry that new attempts to eliminate the barriers in the mind between east- and west-german residents have to be made for a really desirable integration of education system. To this end, the wishes and needs of east-german residen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hese insights will provide many suggestions about how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system shall be after the future re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 멀티미디어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하드웨어 구현

        김동훈(Donghun Kim),장종욱(Jougwook Jang),이정태(Jungtae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앞으로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은 Gbps이상의 처리율, 다양한 기능 및 응용에 다른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개발 또는 VLSI를 이용한 프로토콜의 하드웨어적인 구현등이 연구되고 있다. 프로토콜의 처리율을 높이려면 구조가 간단해야 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려면 프로토콜이 복잡해진다. 그러나 앞으로의 통신망은 에러발생 확률이 낮아질 것이므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은 고정된 일을 반복 수행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제안된 MTP 프로토콜을 VHDL을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설계하고 Actel FPGA Chip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MTP 프로토콜은 정보평면과 제어평면으로 구성된다. 정보평면은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한 프로토콜 상태정보에 관계없이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고정된 일을 반복하고, 제어평면은 프로토콜 상태정보에 따라 정보평면의 동작을 제어한다.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MTP의 처리율은 정보평면에 의해 좌우되고 700Mbps이상이 된다.

      • KCI등재

        소득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주관적 계층 상승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동훈(Donghun Kim),하상응(Shang E. Ha)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20 평화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인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 주관적 계층 상승 가능성 인식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경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분석 결과,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고 인지할수록 정부를 신뢰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고 인지할지라도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정부를 불신하는 정도가 줄어든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니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간 관계를 조절해 주는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효과는 세대 내 계층 상승(즉, 설문 응답자 본인의 계층 상승)의 경우에서만 나타나지 세대 간 계층 상승(즉, 응답자 본인 대비 응답자 자손의 계층 상승)에서는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민주주의의 안정화에 위협이 된다는 기존의 논의를 확인해 주는 결과이긴 하나, 세대 내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공고한 경우 경제 불평등이 정치 체제에 주는 악영향이 완화되거나 지연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erceived economic inequality is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among individuals. Also, it tests another hypothesis that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trust in government. Analysis using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reveals that voters who think economic inequality is severe are less likely to demonstrate trust in government. As hypothesized, such a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perception and trust in government tends to be dampened among those who believe upward social mobility is possible during their gener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inequality and trust in government is not straightforward; rather it depends on individual differences, i.e., subjective evaluation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one’s own soci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