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측두하악관절장애 증상에 따른 삶의 질 평가

        김동국,임현대,이유미,Kim, Dong-Kook,Lim, Hyun-Dae,Lee, You-Mee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2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1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is relatively prevalent disease, and quality of life may be impaired in TMD patients. Like general population, dental hospital workers are also exposed to the risk of TMD. But, many of them tend to overlook or tolerate their symptoms for lack of time and interest. Therefore, problems may become more serious, causing interference of performing task and decrease of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data for TMD prevalence in dental hospital workers and to evaluat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MD symptoms.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After consent, subjects comple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nd were evaluated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signs and symptoms of TM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 (1) normal group (2) joint disorder group, (3) local myalgia group, and (4) myofascial pain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MD negatively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in dental hospital worker. TMD symptoms can deteriorate quality of life in dental hospital worker. Future effort to make protocol for proper management is needed. 측두하악장애(TMD)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TMD 환자에서의 삶의 질은 저하된다. 일반 인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치과병원 종사자 또한 TMD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그 중 다수가 시간과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TMD 증상을 간과하거나 참게 되며, 이에 따라 TMD 증상이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나타나는 TMD 증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모집되었고, 대상자들은 동의서 작성 후 WHOQoL 삶의 질 설문지를 기입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TMD의 주관적, 객관적 징후와 증상에 대해 평가되었다. 대상자들은 4가지 군으로 분류되었다 : (1) 정상 군 (2) 관절 장애 군 (3) 국소 근육통 군 (4) 근막동통 군. 총 대상자 중 64.7%가 TMD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전체 대상자 중에서 무증상군이 사회적 영역 및 그 하부척도 일부, 환경 영역의 하부척도 중 가정환경,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에서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TMD 증상에 따른 진단 분류군 간에는 영적, 종교적, 개인적 신념 영역 외에는 삶의 질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국소 근육통 군이 관절 장애 군과 근막동통 군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의사군 내에서는 증상군에서 전체적인 삶의 질이 낮았으며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정신적 영역, 독립성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도 증상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그 하부척도인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대인관계, 성적 활동, 가정환경, 재정적 자원,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 교통수단에서 무증상군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진료보조인력군 내에서의 전반적인 삶의 질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관계 영역 및 그 하부척도인 대인관계에서는 증상군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TMD 증상이 나타난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삶의 질이 낮음을 보였고, TMD 증상과 치과병원 종사자의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추후 치과병원 종사자에서의 TMD 증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마이크로 캡슐화된 Glass bead 충전 HDPE 복합재의 제조와 물리적 성질

        김동국,김광호,임승순,노시태 ( Dong Kook Kim,Kwang Ho Kim,Seung Soon Im,Si Tae Noh ) 한국공업화학회 1992 공업화학 Vol.3 No.3

        입자무기물 충전 복합재료에 있어서 계면의 친화성과 충전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분자 수지로 마이크로캡슐화된 glass beads를 제조하였다. Glass beads의 마이크로 캡슐화에는 상분리법을 이용하였으며, 벽막수지로는 EMAA와 EAA를 사용하였다. 캡슐화 형성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열분석과 SEM을 이용하였다. HDPE에 캡슐화 glass beads를 10∼30중량 퍼센트까지 충전시켜 HDPE/마이크로캡슐화 glass beads 복합재를 제조하고 벽막수지종류와 캡슐화 비율에 따른 인장강도, 인장탄성율 및 동역학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의 경우 캡슐화 glass beads로 충전시킨 경우 복합재의 인장강도저하가 현저하게 둔화되었으며, 인장탄성율의 경우 캡슬화 glass beads로 충전시킨 경우 30∼40% 정도의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 동역학적 물성측정에 있어서는 계면접착력과 분산성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벽막수지의 종류에 따른 복합재의 물성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o improve the adhesion of interface and dispersion of glass beads in the composite, HDPE filled with glass beads, we encapsulated the glass beads with polymer by phase separation method using complex coacervation in organic solvent. EMAA and EAA were used as the polymeric wall materials. The microencapsulation efficiency and morphology were observ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SEM, respectively. And also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as the function of the beads contents and microeneapsulation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composite containing non-treated glass beads, the decrease in tensile strengthe of the composites containing the encapsulated glass beads become markedly small, and about 30∼40% increase in tensile modulus was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the dynamic mechan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dhesion of interface and dispersion could be improved upon encapsulation.

      • KCI등재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을 일한 최대 사후 Eigenvoice에 근거한 자기적응 기법

        김동국,전형배,Kim Dong Kook,Jeon Hyung Bae 한국음향학회 2004 韓國音響學會誌 Vol.23 No.8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을 위한 최대 사후 eigenvoice을 사용한 자기적응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최대 사후 eigenvoice 기법은 eigenvoice 계수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를 가정함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eigenvoice 추정 과정에 선 분포 모델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해를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인식할 한 문장만을 사용하는 자기 적응 시스템을 위해 매우 강인한 특성을 갖는 최대 사후 eigenvoice 적응 기법을 사용하였다. 한국어 연결 숫자음에 대한 일련의 자기 적응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매우 적은 량의 적응 데이터에 대해 기존 eigenvoice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self-adaptation algorithm based on maximum a posteriori (MAP) eigenvoice for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The proposed MAP eigenvoice is developed by introducing a probability density model for the eigenvoice coefficients.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a unified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Prior model into the conventional eigenvoice estimation. In self-adaptation system we use only one adaptation utterance that will be recognized, we use MAP eigenvoice that is most robust adaptation. In series of self-adaptation experiments on the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task. we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igenvoice algorithm for a small amount of adaptation data.

      • SCOPUSKCI등재

        지방족 에스터 - 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합성

        김동국,김기섭,장영욱 ( Dong Kook Kim,Ki Seab Kim,Young Wook Chang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5

        생분해성 지방족폴리에스터인 poly(butylene succinate) (PBS)의 기계적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에스터주쇄 구조에 카보네이트 구조를 도입시킨 에스터-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이 공중합체는 일단계에서 succinicacid와 1,4-butanediol(BD)을 에스터 반응시켜 oligo(butylone succinate)를 합성하였고, 이 단계에서 oligohexamethylenecarbonate diol(OHMCG)을 첨가하고 고진공하에서 축중합하여 제조하였다. 촉매로는 titanium(IV) isopropoxide (TIP)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FT-IR과 ¹H-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적, 기계적 물성은 각각 DSC와 UT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적정 촉매양은 succinic acid에 대해서 lwt% 였다. Diol 혼합물의 몰비(BD:OHMCG)가 249:1∼149:1일 때, 높은 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OHMCG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용융점은 계속 감소하였다. 혼합물의 몰비가 149:1인 경우의 공중합체의 물성은 PBS에 비해 초기탄성율은 약간 감소하였지만 파단신장율은 2배 정도 증가되었다. An ester-carbonate copolymer was synthesized, in which carbonate was inserted into a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poly(butylene succinate) (PBS), to modify its mechanical properties. The synthesis was carried out by condensation reactions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oligo(butylene succinate)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succinic acid with 1,4-butanediol (BD). In the second step, it was reacted with oligohexamethylenecarbonate diol (OHMCG) to prepare the ester-carbonate copolymer. Titanium(IV) isopropoxide (TIP) was used as a catalyst for the reaction. The structure of the copolymer was confirmed by FT-IR and ¹H-NMR and the thermal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optimum amount of the catalyst for the form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was lwt% for succinic acid. When the BD:OHMCG is in the range 149:1-249:1, the copolymer with high viscosity was obtained. As the OHMCG content was increased, melting temperature (T_m) of the copolymer was decreased. When BD:OHMCG is 149:1, the copolymer showed a increase in ultimate strain by two times and the slight decrease in modulus compared to those of PBS.

      • SCOPUSKCI등재

        열대 태평양에서 운영되는 TRITON 부이와 비교를 통한 KORDI 부이 시스템 개선 연구

        김동국,전동철,김응,황근춘,황상철,Kim, Dong-Guk,Jeon, Dong-Chull,Kim, Eung,Hwang, Keun-Choon,Hwang, Sang-Chu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3 No.suppl3

        This study documents KORDI's experience of successfully deploying a deep ocean buoy for monitoring oceanic and atmospheric variabilities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Ocea nsince May 2010.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RITON (big and old type) with m-TRITON (smaller and new type) buoys within the JAMSTEC's buoy management system. The objective of operating a KORDI buoy is to ascertain oceanic variability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We adopted a slack-line mooring type to observe water temperatures at six layers from surface to 400 m depth. However, we could not acquire satisfactory resul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buoy management system. A new KORDI buoy has been developing, which has been modified from both buoys, and ARGOS-3 satellite system and a slack-type mooring 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