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 속성 정보를 활용한 플립러닝 모바일 학습플랫폼 개발

        김돈한,김돈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mobile study platform on student learning performance and motivation level.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 mobile learning platform was developed using hue, value and saturation properties of colors 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 total of sixty students, recruited from a nursing school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wo study conditions: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i.e., with/without the mobile learning platform. The two groups’ learning performance was compared using their test score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Additionally, a follow up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levels for the treatment group using the proposed mobile platform. The learning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show the mobile platform group (M=12.13, SD=5.49)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4.594, p<.00) than the other group without the platform in their tests (M=6.53, SD=3.80).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bile platform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platforms in supporting self-motivated and active learning that has been broadly discussed as the ideal method of instruction 본 연구는 색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학습플랫폼의 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학습플랫폼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유발에 관한 실험 데이터 수집을위해 A대학의 의과대학 간호학과 6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학습플랫폼을 활용한 집단과 활용하지 않는 집단으로 각각 나누어 평가점수를 통한 학업성취도의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바일 학습플랫폼 활용 집단을 대상으로는 학습동기유발 및 학습 몰입도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학습플랫폼을 활용한 집단(M=12.13, SD=5.49)의 학업성취도가 활용하지 않은 집단(M=6.53, SD=3.80)에 비해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t=4.594, p<.00). 둘째, 모바일 학습플랫폼 활용 집단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습몰입도 또한 학습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긍정적인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플립러닝의 논의과정에서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학습플랫폼이 모바일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수행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도구라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 퍼지이론을 적용한 지적 이미지 탐색 시스템

        김돈한 울산대학교 1999 조형논총 Vol.2 No.3

        손목시계나 의상, 인테리어 등의 이른바 유행상품은 사용의 편리성 외에도 인상이나 취향이 제품의 평가나 구매에 영향을 주는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군을 [감성지향제품]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편 정보기기나 수송기기 등과 같은 제품군에 있어서는 기능면의 평가가 보다 중요시 되며 특히 카네비게이션과 같은 발전도상에 있는 제품군에 있어서는 그러한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제품군을 감성지향 제품과 대비하여 [기능지향제품]으로 부를 수 있다. 이와같은 [감성지향 제품]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려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갭을 해소하는 데에 있어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되어진 이미지 화상들과 디자인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던 감성적 평가어 사이와의 관련도에 관한 정보는 특히 유효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련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지 화상 및 이미지어 탐색을 통해 스타일링 디자인을 지원하는 퍼지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관련도 정보는 이미지어와의 유사도를 유의어 계수로 상정한 퍼지 시소러스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인상어간의 유사도는 이미지 화상평가를 기초로 산출된다. 이미지 탐색은 검색 중 시도를 피라메터로 한 퍼지 시소러스 전개의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되며, 탐색 모드로서 이미지어 상호간, 이미지에서 이미지화상, 이미지 화상에서 이미지어, 이미지화상간의 합계 네 종류의 모드가 제공된다. 또한 이들 모드간의 이행은 직접 조작형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이로 인해 발상과 수렴적 사고가 원활하게 지원된다. 시스템은 감성적 평가의 계측 유니트와 갭의 연산, 가시화 유니트로부터 구성되며, 조작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일적인 인터페이스의 환경 하에서 구축된다.

      • 감성정보검색을 위한 지식베이스 구축방법

        김돈한 한국감성과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Vol.2008 No.-

        This study proposed the Knowledge Base Building method reflecting the user`s preferences based on the fuzzy set theory to develop information contents which support pedestrian`s navigation. This research evaluated subject`s preferences on the commercial spaces set to the hypothetical destination. Also it survey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propose the methods of Navigation Knowledge Base (NKB). The NKB was composed by three elements; 1. the correlation model between emotional characteristics, 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3. the transformation model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정보기기 디자인에 있어서 휴먼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 고찰

        김돈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3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digital environment, so called cyber space, 'interaction with information appliances' is inevitable in daily life. Car navigator, PDA, online game device will be the key examples of information appliances. Some interfaces of information appliances are easy to use from beginning, but others are too complex to understand and operate. In the worst case the users abandon the products because they cannot figure out the way of using.This thesis is focused on human information process ability of emotional and sensitive aspects, which influences the way of using products. First, interface between human being and appliances was analyz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followed by defining concrete elements for the interfaces of information appliances and the role of emotional and sensitive information in the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information appliances for the new way of interface design for information appliances.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상공간(cyber space)으로 불리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이 속속 등장함에 따라 일상생활 가운데 ‘정보기기(information appliances)와의 인터렉션(interaction)’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카 네비게이터(car navigator), 휴대용 단말기(PDA), 온라인 게임기들은 정보기기로서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이러한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처음부터 사용하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는 것도 있으며, 몇 번씩이나 시행착오를 거쳐야 가까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최악의 경우 사용방법을 몰라서 포기해 버리는 제품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기 디자인에 있어서 인간의 감성적인 정보처리능력이 제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먼저 인간 -도구(정보기기) 사이에 발생하는 인터페이스의 문제를 테크놀러지의 진보에 따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야 할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있어서 감성정보의 역할에 대해 명확히 밝힘으로써 향후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감성정보검색을 위한 지식베이스 구축방법

        김돈한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This study proposed the Knowledge Base Building method reflecting the user's preferences based on the fuzzy set theory to develop information contents which support pedestrian's navigation. This research evaluated subject's preferences on the commercial spaces set to the hypothetical destination. Also it survey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propose the methods of Navigation Knowledge Base (NKB). The NKB was composed by three elements; 1.the correlation model between emotional characteristics, 2.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3.the transformation model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 SCOPUSKCI등재

        $ThO_2-Tm_2O_3$ 고용체의 합성 및 결함구조해석

        김돈,강창권,김규홍,최재시,Don Kim,Chang Kwon Kang,Keu Hong Kim,Jae Shi Choi 대한화학회 1987 대한화학회지 Vol.31 No.6

        고순도의 $ThO_2$와 $Tm_2O_3$로부터 대기압, 1,700$^{\circ}$C 이상에서 직접 고체상반응을 통하여 1,3,5,8,10 및 15 mol% $Tm_2O_3$를 함유하는 $ThO_2-Tm_2O_3$ (TDT)계들을 제조하였다. X-선 회절분석결과 TDT계들은 형석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입된 $Tm_2O_3$의 양에 따라 격자상수의 값이 감소됨을 보였다. 그러나, 7mol% 이상의 $Tm_2O_3$를 함유하는 TDT계에서는 어떠한 직선관계도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계들은 불완전 고용체를 형성하고 있다고 결론내렸다. X-선 강도 분석 결과로 부터 구한 잔류인자(R)는 모든 시료에 대하여 0.13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DTA 및 TGA 분석결과 실험온도범위 내에서는 어떠한 상전이도 나타나지 않는 것이 확인 되었다. X-선 회절 데이타로 부터 구한 격자상수와 비중병 밀도 측정결과와의 비교로부터 본시료들의 주 결함은 산소 공위임을 확인하였다. $ThO_2-Tm_2O_3$ (TDT) solid solutions containing 1,3,5,8,10, and 15 mol% $Tm_2O_3$ were synthesized from spectroscopically pure $ThO_2$ and $Tm_2O_3$ polycrystalline powders. The TDT solid solutions were indentified to the fluorite structure by the X-ray powder technique. The values of the lattice parameter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m_2O_3$ incorporated. But, there was no linearity for the samples containing 8, 10, and 15 mol% $Tm_2O_3$. It was concluded that these samples became incomplete solid solutions. From the intensity analyses of X-ray diffraction patterns, the residual factor was found below 0.13 even for the 15 mol% TDT system. lt was confirmed from the DTA and TGA analyses that any phase transitions did not occur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 executed. Comparing the pycnometric density with the lattice parameter obtained from XRD, it was suggested that the predominant defect model be an oxygen vacancy.

      • SCOPUSKCI등재
      • 中宗代 趙光祖一派의 言官權 확대와 그 한계

        金燉 서울産業大學校 1994 논문집 Vol.40 No.1

        After the Redress of the Injustice(反正), sarim(士林) taked the Onkwan's position massively. As their political power enlarged, so the Onkwan's power(言官權) was enforced and magnified. Cho Kwang-jo and his group confronted with old subjects through managing the affairs of state. Cho Kwang-jo and his associates was called Cho Kwang-jo's band or Cho kwang-jo's faction. Confronting with old subjects actively, Cho Kwang-jo and his group enforced the Onkwan's power inevitably. Moreover Cho Kwang-jo brought forward positive opion about the role of factions carefully. But it was not good even in Cho Kwang-jo's opinion that king-subjects power relation(君 臣 權力關係) was changed though the enforcement of the Onkwan's power and one side leading of any group of subjects. So the Literati Purge(士禍) was recurred once more.

      • KCI등재

        내비게이션 지원을 목적으로 한 보행자 감성모델의 구축

        김돈한 ( Don Han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이동(Navigation)지원을 목적으로 한 감성검색시스템의 구축(Implementation)에 있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보행자 감성모델을 사용자의 감성에 일치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평가실험을 통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가상의 목적지를 의미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화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10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각각 5회에 걸쳐 목적지 검색과 만족도에 대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에게는 각 실험단계마다의 검색결과에 대해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피험자로부터의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보행자 감성모델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평가실험 종료 후 보행자 감성모델의 학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현율(Recall ratio), 적합율(Precision ratio), 검색순위(Retrieval ranking), 만족도(Satisfaction level)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5회의 학습을 통하여 재현율, 적합율, 검색순위, 만족도 등이 모두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된 것으로 나타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보행자 감성모델의 학습방법이 개인의 감성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행자 감성모델은 상업공간의 인테리어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 화상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도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분야의 정보기기 콘텐츠의 개발에 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행자 감성모델이 사용자 개인의 감성을 획득하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an emotion retrieval system implementation to support pedestrian navigation, coordinating the pedestrian emotion model with the system user`s emotion is considered a key component.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for capturing the user`s model that corresponds to the pedestrian emotion model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method. In the first phase, a database comprising a set of interior images that represent hypothetical destinations was developed. In the second phase, 10 subjec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evaluate on navigation and satisfaction toward each interior image in five rounds of navigation experiments. In the last phase, the subjects` feedback data was used for of the pedestrian emotion model, which is called `learning` in this study. After evaluations by the subjects, the learning effect was analyzed by the following aspects: recall ratio, precision ratio, retrieval ranking, and satisfaction. Findings of the analysis verify that all four aspects significantly were improved after the learn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algorithm for the proposed pedestrian emotion model.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such pedestrian emotion model to be well applicable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bile contents service systems dealing with visual images such as commercial interio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