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環黃海圈的內涵興中韓關系的發展

        金德洙,曲金良 군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00 地域開發硏究 Vol.12 No.-

        本文以對世界海洋經濟文化地理地緣的兩大環海圈―環地中海圈和環黃海圈的比較爲視角, 對環黃海圈及其中韓日三國在歷史上形成的東方特色文明在世界文明發展歷史上和在當代世界發展格局中的地位和作用進行了總體把握, 進而着重對環黃海圈中的中韓關系進行了歷史分析和現實考察, 强調了中韓關系的基本內涵和中韓關系紐帶中海路的重要作用和人的親情因素的主體地位, 竝就雙方如何發揚歷史傳統, 進一步交流合作, 共同發揮在環黃海圈中的作用, 共創當代東方特色文明的輝煌, 提出了可供參考的具體操作性行動建議。

      • KCI등재
      • KCI등재

        숙종의 독후시 제작과 그 의미

        김덕수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7 No.-

        King Sukjong of Joseon (肅宗) focused on recovering the tarnishe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wielding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for 46 years, since he, of tender age 14, had acceded to the throne. To manage the government during the sudden political transition (換局) was an effective chance for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and oppressing the ministers' authority. But Sukjong could not but to fall into a dilemma that he should engage, again, the forces that he had purged during the sudden political transition. Therefore, Sukjong comforted Southerners (南人) and Young Doctrine (少論) as well as Old Doctrine (老論), by creating poetry, as book report, after reading the literary collections written by liege subjects. He even revealed his mistakes through his poems. Besides, he would present examples of loyalty by granting his poems, as Eoje (御製), to his liege subjects directly, while intending to require them of virtue of loyalty. His experience of reading the literary collections of his liege subjects had an effect on Sukjeong's political decisions, and he would carry out his political will by setting forth his inspiration and intention, through his poems, both in and outside Seoul, the capital. And Sukjong, utilyzing his poems, he would call attention to the benefits or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clarifying ‘Jaejojieun (再造之恩),’ or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and ‘Daemyeongeuiri (大明義理),’ the support of righteousness. King Sukjong was not satisfied with just setting forth his personal feelings. His poems served not only as a channel to deliver his political intention or decisions to his liege subjects, but as a consolation toward his liege subjects’ clans or factions. In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other Joseon kings’ intentions to creat poetry, Sukjong’s was different: his poetry was a kind of political activities. 숙종은 14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이래 무려 46년 동안 강력한 왕권을 휘두르며 실추된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는 데 주력했다. 환국을 통한 정국 운영은 왕권을 강화하고 신권을 제압하는 데 효율적이었으나 환국의 와중에 숙청된 세력을 다시 등용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숙종은 우리나라 신료의 문집을 읽고 독후시를 제작함으로써 노론을 위시하여 남인, 소론 세력 등을 위무했는데 심지어 시편을 통해 자신의 과오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이밖에 독후시를 짓고 어제를 직접 써서 하사하면서 충절의 전범을 제시하는 한편 자신의 신하들에게도 충절의 덕목을 요구했다. 신료 문집의 독서 체험은 숙종의 정치적 판단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독후시를 통해 본인의 감흥과 의중을 경외에 피력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의지를 관철시키기도 했다. 또한 왕실의 은택과 권위를 환기시키거나 재조지은과 대명의리를 천명할 때도 독후시를 활용했다. 숙종의 독후시 제작은 국왕 개인의 감정 유로에 그치지 않는다. 국왕으로서의 정치적 의중과 판단을 신료들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신료 가문이나 당파를 위무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숙종이 신료 문집을 읽고 독후시를 제작한 것은 여타 국왕의 작시 경향과 비교하여 또렷한 차이점이다. 독후시는 국왕 숙종에게 있어 일종의 정치 행위였다.

      • KCI등재

        사도세자 시문에 대한 국왕 정조의 개작 및 위작 양상

        김덕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Jeongjo of Joseon, the king, made various efforts for worship (追崇) of Crown Prince Sado, his father who died an unnatural death. He personally arranged proofreading and editing of Neungheogwanmango (凌虛關漫稿) , his father’s literary collec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registration (追上) of honorific name (尊號), the tomb (園寢), and the shrine (祠堂) as part of the worship project. In the process of proofreading and editing Crown Prince Sado’s literary collection, he sharply adapted his father’s manuscripts of poetry and prose and even included forgeries in his literary collection to improve the work’s level of completion and make his knowledge and talent gain fame. Of cause, there are not many examples that these circumstances can be check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rocess of adaption and forgeries only when there should be the first draft of the applicable works or articles related to it now. The thesis reviewed aspects of adaption and forgeries of his father’s poetry and pr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orks included in Yejesimindangchobon (睿製時敏堂草本) and Neungheogwanmango , the manuscripts of literary works and calligraphy of Crown Prince Sado and the works in Neungheogwanmango , and 「Queen Jeongseong Hongneung (貞聖王后弘陵誌)」 in Neungheogwanmango and the first draft of the applicable text. The partial examples checked are enough to infer that Jeongjo of Joseon was quite involved in adaption and forgeries of his father’s poetry and prose. 국왕 정조는 비명에 생을 달리한 부친 사도세자의 추숭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경주했다. 존호 추상, 원소 및 사당 정비뿐만 아니라 부친 문집인 凌虛關漫稿 의 교정과 편집을 손수 진행한 것은 추숭 사업의 일환이었다. 사도세자 문집을 교정하고 편집하는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작품의 완성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왕세자로서 부친의 소양과 자질을 현양하기 위해 부친 시문 원고를 대폭 개작했으며 심지어 위작을 제작하여 문집에 수록하기도 했다. 물론 모든 작품에서 이러한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작 및 위작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작품의 초고나 관련 문헌 기록이 현전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睿製時敏堂草本 과 능허관만고 수록 작품, 사도세자 예제·예필 원고와 능허관만고 수록 작품, 능허관만고 수록 「貞聖王后弘陵誌」와 해당 지문의 초고를 면밀히 비교·분석함으로써 사도세자 시문에 대한 개작및 위작 양상을 검토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조가 부친 시문의 개작 및 위작에 적잖이 관여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문집을 간행하기 전에 원고를 세심히 교정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이다. 하지만 정조는 개작 및 위작을 통해 사도세자의 학문적 역량과 문예적 능력을 가공했거니와 정조의 그릇된 추숭 방식은부친 문집의 문헌적 신뢰성에 중대한 흠결을 남기고 말았다. 고문헌을 다룰 때 텍스트 비평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 KCI등재

        쥘 라포르그의 일탈적 글쓰기 연구

        김덕수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4 No.-

        À la fin du 19ème siècle, la France est tombée dans le scepticisme désespéré, la décadence et l'anarchisme psychologique après avoir connu la panique grave de l'affrontement des classes sociales, la misère des peuples, le triomphe de l'esprit matérialiste et positiviste, la répression sanglante de la Commune etc. Ces tendances sociales ont crée la littérature dite «décadente» et la décadence. Le décadent a été caractérisés par le Pessimisme, les sentiments extrêmement raffiné de rêve, les matériaux malsaine, et surtout l'utilisation des mots rares et des néologismes. Il semble que la littérature décadente est en partie liée à ‘l'écriture artiste’, mais s'en démarque fortement. Elle poursuit un nouveau style utilisé la technique anormale dans leurs œuvres pour livrer leurs sentiments. En particulier, le décadent utilise des mots nouveaux et divers pour créer un langage très original et de retrouver la richesse de la langue. Cependant, leur écriture se définit comme l'esthétique de la discordance et de l'écart à l'opposé de la poétique traditionnelle. Elle répond stylistiquement à une vision disloquée et à Pessimisme Schopenhauerien. Jules Laforgue, un poète le plus célèbre de décadent, montre bien le goût pour les néologismes qui constitue réellement la grande partie de son oeuvre. De plus l'emploi de vocabulaires empruntés à divers registres (philosophique, scientifique, archaïque etc) renforce aussi son originalité. Laforgue, en effet, s'attache étroitement aux vocabulaires afin de trouver l'expression frappante, ou d'évoquer des sensations ambiguës et inédites. Par l'utilisation des néologismes, des emprunts et de mélange incongru des vocabulaires, Laforgue sait en effet déclencher le rire en créant les ruptures subversives dans le contexte dite ‘l'écriture d'écart’ ou ‘l'écriture de dissonance’. Il pratique souvent cette manipulation ludique du langage en cherchant foncièrement l'écart de l'écriture qui aspire à se faire une âme d'enfant nouvellement né au langage. Somme tout, il «met en œuvre une contre-écriture» qui bouleverse nos habitudes sur la syntaxe et la grammaire ; elle se produit, par le changement de catégorie morphologique et par la préposition sans valeur stricte se prêtant à l'ambivalence, par la dérive du sens dans l'expansion du syntagme nominal, ou encore par la préposition de sens indéterminé ‘de’ etc. En plus, l'écriture de Laforgue bouscule volontairement non seulement la syntaxe et la grammaire, mais aussi la continuité du sens comme si “écrire pour lui, c'est discontinuer le sens, c'est-à-dire l'obliger à se continuer par l'énergie de ses brisures mêmes”. En fin de compte, il n'y reste pas d'autre que l'image et le son sans liens de syntaxe, de grammaire et de sens. Ainsi l'écriture de Laforgue va à la dérive comme si le poète voulait créer une écriture de l'écart. Certes la norme et l'usage, conditions d'une communication linguistique et de lectures possibles, subsistent ; mais “le procès de signifiance souvent se brouille et les lois de la signification n'opèrent plus à coup sûr”. Car le poète “rêve de la poésie qui ne dise rien” en opérant un retour à l'origine de la parole innocen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