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사 특징점을 이용한 모자이킹 영상의 구성

        김대현,최종수,Kim, Dae-Hyeon,Choe, Jong-Su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4

        본 논문은 영상 시퀸스로부터 이미지 모자이킹의 구성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영상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이용하거나 비선형 방정식을 풀었던 기존의 알고리즘과는 달리, 제안한 알고리즘은 4개의 유사특징점을 이용해 영상간 사영 변환식의 8개 파라미터를 직접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된 유사특징점은 영상의 그레이레벨의 분산을 기반으로 하고, 두 영상의 중첩 영역에서만 결정된다. 또한 선택된 4개의 유사특징점에 대한 대응점 검출을 위해 카메라 이동 및 조명 변화에 의한 영상의 변화를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영상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계산량을 감소시키면서, 정확한 사영 변환식을 유도하여 모자이킹 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pproach to build an image mosaics from image sequences. Unlike general panoramic stitching methods, which usually require some geometrical feature points or solve the iterative nonlinear equations, our algorithm can directly recover the 8-parameter planar perspective transforms. We use four quasi-feature points in order to compute the projective transform between two images. This feature is based on the graylevel distribution and defined in the overlap area between two images. Therefo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total amount of the computation. We also present an algorithm lot efficiently match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extracted feature.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various images to estimate its performance and. the simulation results present that our algorithm can find the correct correspondence and build an image mosaics.

      • 양방향 시차 몰핑을 이용한 중간 시점 영상 보간

        김대현,윤용인,최종수,김제우,최병호,Kim, Dae-Hyeon,Yun, Yong-In,Choe, Jong-Su,Kim, Je-U,Choe, Bye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2

        본 논문은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BDM(Bidirectional Disparity Morphing)을 이용하여 중간시점 영상을 보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은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계층은 유사한 시차값을 갖기 때문에, 블록 단위의 시차 맵을 이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또한 블록 단위의 시차 맵은 시차계산을 위한 영상의 해상도를 줄여 계산량을 크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서로 다른 계층이 겹쳐진 영역에서는 시차가 급격히 변화하여 정합 오차가 증가하고, 가려짐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정합 결과에 따라 블록의 크기를 변화시켜 보다 정밀하게 대응 블록을 검색하여 잘못된 시차 계산을 막고, 아울러 가려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가려진 영역의 시차는 가려짐 패턴을 이용하여 올바른 시차를 지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중간 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ovel method to generate an intermediate scene using BDM (Bidirectional Disparity Morphing) from the parallel stereopair. Because an image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and each layer has a similar disparity, it is available to use the block based disparity estim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alse correspondence, however, we closely investigate the corresponding block as we adaptively vary the block size according to the estimation error. Therefore, we can detect the occlusion because of larger estimation error of the occluded region. We define three occluding patterns, which ate derived from the peculiar property of the disparity map, in order to smooth the computed disparity map. The filtered disparity map using these patterns presents that the false disparities ate well corrected and the boundary between foreground and background becomes sharper. As a result,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mediate scenes.

      • KCI등재

        쉴드 TBM 뒤채움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공학적 특성 및 현장적용성 평가

        김대현,정두회,정경환,Kim, Dae-Hyeon,Jung, Du-Hwoe,Jeong, Gyeong-Hwa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2 No.1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적변화성 및 투수계수를 측정하였으며, 환경영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시험 시공에 앞서, 쉴드 TBM 모형주입장치 및 후방주입 공동충전 시험체를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서울 전력구 쉴드 TBM 시공현장에 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기중에서 14일 양생시킨 공시체를 이용해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 변화성을 평가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투수계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우수한 차수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독성 시험과 용탈시험을 통한 환경영향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경우 평균 pH가 8.0으로 측정되었으며, 96시간 경과 후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용탈액에 대한 원자흡광분광 시험 결과 용탈에 의한 유해 중금속 성분은 수질관리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적용성 실험을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충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실제 시공현장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주입성을 보였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newly developed inorganic thixotropic-grout in various ways. In order to do this, the volume stability and the permeabil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ve been measured and compared to the existing silica type grouts. In addition, the filling capability of the grout into the tail void has been evaluated through both an experiment with a miniature tail-void filling equipment and a test filling at the shield TBM construction site. The volume loss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after a 14 day-curing under the atmosphere condition was appeared to be minimal. The excellent waterproofing abil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was confirmed through a permeability test. The toxic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s been evaluated through a toxicity test of aquatic fishes (KS M 0111) and the pH value of the liquid eluviated from inorganic thixotropic-grout was measured as an average of 8.0 and a fatality rate of goldfish after 96 hours was 10% or so. The existence of harmful heavy metals in the liquid eluviated from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s been also examined through an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AS) test. Any of harmful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and the detected level of $Cr^{6+}$ and Cd was far below the standard. Based on both an experiment with a miniature tail-void filling equipment and a test filling at the shield TBM construction site, the filling ability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into the tail void was proved to be excellent.

      • KCI등재

        얼라이언스 재구성에 따른 네트워크 특성 변화가 항만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대현(Dae-Hyeon Kim),김태훈(Taehun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얼라이언스의 환경변화 및 전략에 따른 배선변화는 항만 간 연결성을 변화시켜 항만경쟁력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개념은 최근 항만연결성 지수 도입과 같이 항만 간 연결성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얼라이언스 재구성을 통해 나타난 항만 네트워크 특성이 항만물동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을 통해 항만경쟁력 강화를 위해 항만들이 얼라이언스에 대해 어떠한 전략을 취해야 하는 지 판단하는 기초적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항만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만 선택과 공급망 선정에 있어서는 서비스 수준과 비용과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하며, 이러한 주요 요인들은 인프라 수준, 접근성, 항만 간 연결성 등 정량적 요인과 신뢰성, 항만 보조 서비스 품질 수준, 안전 및 환경 수준, 대내외적 명성 등 정성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항만물동량 증가를 바탕으로 한 항만경쟁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얼라이언스 제구성에 따른 항만 네트워크 연결성에 기초하여 분석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췄으나, 차후 얼라이언스의 배선전략 이외의 전략들에 부합하여 기항지 선정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ort network characteristics that appear through the reconfiguration of the alliance affect the port volume, and through these network characteristics, it is meant as a basic study to determine what strategies the ports should take on the alliance to strengthen port competitiveness. There is. In terms of port selection and supply chain selection to enhance port competitiveness, factors related to service level and cost play a major role, and these key factors include quantitative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level, accessibility, and port-to-port connectivity, reliability, and port auxiliary service quality level and safety. And qualitative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level and internal and external reputation are mixed. Therefore,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ecuring por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increase in port traffic, so this study focused mainly on analysis based on port network connectivity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lliance, but in the future, other than the wiring strategy of the alliance. It is necessary to review what is a more realistic and specific method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of port s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es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