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남대학교 지형 기반 Unity3D 네트워크 레이싱게임

        김대영(Daeyoung Kim),송대현(Daehyun Song),이칠우(Chilwoo Lee)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논문에서는 Unity3D 게임 제작 툴을 이용하여 전남대 투어 3D 레이싱게임을 구현하였다. 실제 국립대학교인 전남대학교의 지형을 레이싱 맵으로 하여 사용자는 레이싱 게임과 동시에 전남대 지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레이싱에 사용할 자동차 및 전남대의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게임 모드로는 싱글모드(Single Mode)와 멀티모드(Multi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싱글모드 플레이시 레이싱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AI 자동차와 레이싱게임을 할 수 있다. 멀티모드 플레이시에는 방장이 대기방을 만들면 대기방에 접속한 사용자들끼리 채팅 및 레이싱게임을 할 수가 있다. In this paper, we mad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our 3D Racing Game using Unity3D game making tool. This racing game used actu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eographical features as a map, so user can become familiar with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ile playing this racing game. User can select a car and racing area of specific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efore playing game and can select single game play mode or multi game play mode. When playing single mode, user can play racing game with many AI car which can be drived automatically along the racing road. And When playing multi mode, if one player create a waiting room, other user can connect the waiting room and can chat and play racing game with the connected players.

      • KCI등재

        프랑스어 학습자의 번역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적 접근 - 과정중심 문제해결보고서(CRIPD1))를 기반으로 -

        김대영 ( Kim Daeyo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51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analyser et de proposer un outil pédagogique utile pour le développement des compétences de traduction des apprenants de la langue française pendant les cours de traduction à l'université. Afin de mener cette analyse, nous avons adopté l'outil de CRIPD dans un cours de traduction du français au coréen au niveau universitaire en Corée, au premier semestre, en 2015. Selon les résultats des questionnaires destinés aux étudiants au début et à la fin d'un semestre, les étudiants ont répondu que cet outil leur a permis d'accroître leur capacité dans les domaines suivants : la détachement par rapport à leurs anciennes habitudes à traduire plus ou moins littéralement ou à rechercher des équivalences linguistiques, les compétences de la traduction (la méthodologie dans la recherche documentaire, des connaissances extralinguistiques ou thématiques, outre la compétence linguistique), la compétence de l'apprentissage autonome (l'auto-évaluation, l'élaboration des stratégies et la pertinence des choix adoptés, la compétence de la traduction logique) ainsi que la stratégie de l'auto-apprentissage par l'« intelligence cristallisée »(Collombat 2009). Malgré de nombreux avantages, le CRIPD devra s'améliorer dans les domaines suivants : la pédagogie du professeur et sa capacité à expliquer aux élèves l'utilisation de cet outil lorsque ces derniers rencontrent des difficultés lors de la rédaction, la simplification du processus du CRIPD, l'ajustement de la fréquence du CRIPD et la non-pertinence du CRIPD dans les cas où le texte en français étudié est jugé relativement facile par les étudiants. Une fois ces problèmes résolus, l'approche pédagogique en se basant sur le CRIPD mériterait d'être utilisée pendant les cours de traduction à l'université.

      • KCI등재

        외부 메모리에 있는 대용량 메쉬 분할 알고리즘

        김대영(Daeyoung Kim),이혜영(Haeyo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8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KD-트리 기반 방법을 개선하여 대용량 메쉬를 효율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 KD-트리 기반 분할 방법은 빠른 시간 내에 양질의 균등 분할이 가능하나, 내부메모리에 전체데이터를 탑재할 수 없는 대용량 메쉬 분할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방법은 KD-트리 노드 구성을 위하여 외부메모리에 있는 대용량 메쉬의 정점 데이터를 모두 정렬하지 않고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정렬하도록 고안되어 빠른 시간 내에 대용량 메쉬의 균등 분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의 부분선택정렬을 위한 최소힙과 최대힙을 결합한 새로운 자료구조를 활용하였다. 힙의 크기는 주어진 시스템 자원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방법은 제한된 자원을 가진 시스템에서도 대용량 메쉬를 효율적으로 분할할 수 있게 한다. 실제 대용량 메쉬 모델을 활용하여 옥트리 기반 분할 및 K-평균 군집화 분할 등의 대표적인 기존 방법과 본 분할 방법 간의 체계적인 비교를 위하여 처리시간 및 컴팩트성 측정 통계 결과와 분할의 시각적 결과를 제시하였고, 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간소화 처리 결과도 제시하여 본 알고리즘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w algorithm for out-of-core mesh partitioning based on a KD-tree. The previous mesh partitioning using KD-tree can produce good results of uniform partitions efficiently. It is still hard to be applied to out-of-core partitioning, in which the whole mesh data cannot be loaded to limited main memory. To build a KD-tree, our algorithm tries to avoid loading and sorting all the vertices of the mesh in the main memory. Our algorithm instead selects minimized set of vertices to sort. A new data structure, a min-heap combined with a max-heap with external files are designed for selective sorting. The size of heaps can be adjusted to each system so our method can be used in systems with limited resources. Test results with huge meshes and comparisons with previous methods, Octree based method and K-means clustering, are shown statistically and visually. A new simplification using our partitioning is also demonstrated to show the utility of our algorithm.

      • KCI등재

        구조적 공백 기반 주문 분배 전략의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김대영(Daeyoung Kim),강복영(Bokyoung Kang),강석호(Suk-Ho Kang) 한국경영과학회 2012 經營 科學 Vol.29 No.1

        Order allo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on-making problems of firm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formances of themselves and the whole supply chain. Existing researches about order allocation have mainly focused on evaluating capabilities of directly connected suppliers so that it is hard to consider effects and interactions from undirected connections over multiple lower-layers. To alleviate the limitation, this paper proposed a novel approach to order allocation using structural hole. By applying the concept of structural hole to the supply network, we could evaluate the structural supplying powers of firms with respect to both of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s. In the proposed approach, we derived a methodology to measure the potential supplying power of each firm by modifying the effective size as one of the measurements of structural hole and then, proposed its application, the structural hole based order allocation strategy. Furthermore, we conducted the agent based modeling of supply chain to perform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order allocation and simulated the proposed strategy. As a results, by coping with the variance of demand more stably, it could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from the aspects of fill rate, inventory level and demand-supply balance.

      • KCI등재

        한국 문학 작품에서의 호칭과 존칭 표현에 대한 프랑스어 번역

        김대영 ( Daeyoung Kim ),기욤장메르 ( Guillaume Jeanmaire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문맥 내에서 출발어 문화권이나 도착어 문화권에 생소한 요소를 번역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따라서 프랑스 독자에게 한국어 독자만큼의 보편적인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없는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 표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일은 번역자에게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러한 표현들에 해당하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어휘들이 도착어 문화권에는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기에, 이 경우 번역자는 문화적 차이를 매우기 위해 적절한 번역 전략을 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표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 위한 전략들을 출발언어 문화 중심의 번역과 도착언어 문화 중심의 번역이라는 두 관점 하에 이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러한 이분법을 넘어서서 `역동적인 등가(equivalence d`effet/equivalence fonctionnelle/dynamique)(Nida, 1964)`의 관점 하에, 대안 번역을 제안해 보았다. 문학 작품 내에서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표현을 프랑스어 독자에게 익숙한 방식과 표현으로 번역하는 자국화(domestication) 혹은 생략 번역의 경우, 독자는 호칭과 존칭표현에서 드러나는 등장인물 간의 정서적, 사회적 위계 관계 유형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직역(traduction litterale)으로 호칭과 존칭 표현을 번역할 경우 의미가 왜곡되어 프랑스어 독자는 이를 전혀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프랑스어 독자에게 한국어 독자가 느끼는 의미와 동일한 효과를 산출해 줄 수 있는 번역의 경우에는 독자의 오해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어 독자와 프랑스어 독자 간의 동일한 효과를 산출하여 문화 간 차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는 이러한 능동적 등가 방식의 번역 전략 하에, 프랑스어에서 이에 상응하는 어휘 및 표현 첨가 등의 방식으로 언어 사용 역을 고려하여 호칭이나 존칭 표현을 번역한다면 번역가는 프랑스 독자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번역 전략은 텍스트 내적(intratextuel), 텍스트 외적(extratextuel), 상호 텍스트(intertextuel)차원에서 프랑스어 독자가 느끼는 상호 문화적 격차 또한 어느 정도 상쇄해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En coreen, l`usage du prenom isole etant proscrit envers un aine et celui des pronoms personnels etant limite, les appellatifs permettent avant tout d`instaurer des relations fort complexes et subtiles ou se melent respect et affectivite ou distance. On appelle alors son allocutaire ou le delocuteur le plus souvent selon la relation qui le lie au locuteur, a l`aide de termes de parente, y compris hors des liens biologiques. Face aux appellatifs et aux marques de deference aux degres multiples qui les accompagnent, quelles strategies adopter en francais ? Sans doute afin de mieux plier le lecteur a ses normes de reception, le traducteur les supprime-t-il souvent ou recourt-il a des strategies acclimatisantes. Ces pratiques, lorsqu`elles sont systematisees, risquent de priver le lecteur des relations sociales (hierarchiques) et/ou affectives (degre d`intimite ou de distance) liant les differents protagonistes, et de la nature tres hierarchique des relations interpersonnelles. Selon la situation de communication, d`autres strategies (choix lexicaux, registre ou niveau de langue) exploitant toutes les ressources linguistiques de la langue d`accueil pourraient pourtant restituer les liens hierarchiques et psychologiques qui refletent la societe coreenne confuceenne et extremement hierarchis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