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방위에 따른 벽면녹화식물의 생육 비교

        김다윤,조용현,손인기,김윤호,Kim, Da-Yoon,Cho, Yong-Hyeon,Son, In-Ki,Kim, Yoon-H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도시는 건축물의 과밀화로 지표면과 함께 녹지의 면적 또한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도시기후와 도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녹지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지표면과 함께 수직면을 활용한 벽면녹화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방위와 관련된 국내 벽면녹화 지침과 제도에서 방위별로 식재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통해 실제 8방위별로 식물의 생육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벽면녹화를 도시에 적용하기 위해 방위별 식물생장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은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하였다. 우선, 8방위 벽체 3개를 제작하여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송악(Hedera rhombea), 금빛줄사철(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식물3종을 각 벽체에 식재 후 주1회 온도, 조도, 식물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담쟁이의 경우 북향에서 생육이 왕성하였고, 송악과 금빛줄사철은 남향에서 생육이 왕성하였다. 식물 3종 모두 6-7월에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담쟁이는 초장생육이 왕성하였고, 8월에 모든 벽면을 100% 피복하였다. 송악은 초장생육속도가 낮았으며, 피복률 또한 평균 45%로 낮게 나타났지만, 식물3종 중 지표면의 피복률은 송악이 가장 높았다. 금빛줄사철은 초장생육속도가 낮았으며, 최종적으로 북, 북서향을 제외한 벽면을 100% 피복하였다. 벽면녹화에 사용되는 모든 식물이 동일하게 생장하지 않으며, 방위로 인한 영향보다 식물 생육 특성에 따라 생장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물생육의 특성을 파악하여 방위별 알맞은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Green areas and the area of available horizontal surfaces are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overcrowding of buildings. It is adversely affecting the urban climate and ecosystem. However,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green area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wall greening using vertical surfaces is growing.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domestic wall greening guidelin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orientations restrict planting. there was no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ctual differences in plant growth due to orien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by orientations to apply actual wall greening to c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2020. First of all, three octave walls were construct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illumination, and the length of the plants once a week. The plants include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Hedera rhombea, and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pl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henocissus tricuspidata was prolific in the north, and Hedera rhombea, and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plants were prolific in the south. All three types of plants were prolific in June-July, and the Parthenocissus tricuspidata was prolific in grass-growing, and in August, all the walls were 100% covered. Hedera rhombea had the lowest rate of herbaceous growth, and the vertical coverate was also lower at an average of 45%, but among the three plants, the sheath of the horizontal surface coverate was the highest.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was low in the speed of herbaceous growth, and finally, the walls were 100% covered except for the north and northwest directions. It was found that not all plants used for wall greening show the same growth, and the difference in growth varies more depending on plants than the effect of orientations. Therefore, it is bett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and plant suitable plants for each directions.

      • KCI등재후보
      • 루비 언어 기반의 게임 제작 도구를 이용한 롤플레잉 게임 개발

        김다윤 ( Da-yoon Kim ),김종완 ( Jongwa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본 논문은 루비(Ruby) 언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임 제작 도구 RPG Maker VX Ace를 이용하여 제작한 방탈출 게임의 구현 논문이다. RPG Maker VX Ace는 기존의 게임 개발 도구나 게임 엔진과는 다르게 낮은 진입장벽으로 비전문가들도 원활히 게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문가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게임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RPG게임 시장에 접근성을 높이고 게임의 다양성을 확대하여 IT강국인 한국의 게임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RPG Maker VX Ace를 이용한 방탈출 게임의 프로토타입 개발 사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게임의 프로그램 구성을 제시하며 다른 RPG게임들과 차별화된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게임이 상용화되었을 때의 기대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 KCI등재

        Maxent 모델을 이용한 양봉꿀벌의 서울시 수분 잠재환경 분석

        김윤호,조용현,배양섭,김다윤,Kim, Yoon-Ho,Cho, Yong-Hyeon,Bae, Yang-Seop,Kim, Da-Yoon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3 No.4

        The honeybee serves for most entomophilous flowers. They are a core species for maintaining the ecological system. Though the urban ecological system needs bees' mediation of pollination as well, we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how the honeybee reacts t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an urban city.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and aims to review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re highly linked to the pollination mediations by the honeybee. The study composed a Maxent model by adopting nin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locations of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round 52 spots in Seoul. The variables reflect the ecology of the Apis mellifera. Of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composition, six variables were found as not having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nd finally,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were selected as the appearance variables of the Apis mellifera. The AUC, the reliability indicator of the final model was 0.791 (sd=0.077). And the importance data of the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were 55.6%, 27.9%, and 16.5% for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ilding coverag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oneybee. And, as per the actual vegetation, the artificially tree planted area as well as the cultivated field and meadow in an urban area wer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honeybee to be inhabitabl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material for the urban planning and park green area planning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 KCI등재

        연구논문 : 산채나물의 관능적 특성에 근거한 소비자 기호도 유도 인자 분석

        양정은 ( Jeong Eun Yang ),이지현 ( Ji Hyeon Lee ),김다윤 ( Da Yoon Kim ),최은옥 ( Eun Ok Choe ),정라나 ( La Na Chu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4 종류의 나물을 대상으로 전 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총 8 종류의 산채나물 시료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관능적 특성들을 파악하였고, 20~70대의 고른 연령분포의 남녀 115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검사를 수행하여 소비자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규명하였다. 산채나물의 묘사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관, 향, 맛, 조직감 및 뒷맛특성 40개가 도출되었으며, 짠 향미, 참기름 향, 삶은 팥 향미, 아몬드 향미, 쌀밥 향미, 김 향미, 감칠맛, 뭉그러짐, 파인애플의 조직감 특성을 제외한 31개의 특성들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다.전 처리 방법에따라 관능적 특성들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시료의 거친 질감 및 질긴 정도는 미역취 시료(Miyeokchwi_SBS와Miyeokchwi_B)와 불리고 우리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시료들(Daraesoon_B와 Bangpung_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또한 향 특성에서 익숙하지 않은 시료에 관해서는 한약재 향, 고무향, 말린 풀, 기름 산패취, 잔디 향 등 비 식품적인 특성들이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 조사 결과, 외관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Sam_SBS의 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부드러움, 촉촉함, 감칠맛, 기름짐 등의 특성이이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표면의 거친정도, 마른 풀 냄새, 잔디 냄새, 한약재 냄새, 고무냄새, 아린 맛, 쓴맛, 떫은 맛, 질김, 거침 등의 특성들은 소비자기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기호도에 있어서는 뭉그러지거나 기름지고 촉촉한 특성들 보다는, 선명하고, 초록빛이 나며 거친 표면의 특성들이 기호도를 높이는 주요 동인(drivers of liking)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친 정도와 질긴 정도의 적절성 평가 결과, 외관 기호도와는 달리 조직감에 있어서는 부드럽고 질기지 않은 산채나물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있다. 결론적으로 산채나물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는 향미와 조직감에 있어 전 처리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산채나물에 대한 친숙도 및 잎, 줄기 등의 부분적인 특성들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 별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여 그에 따른 산채나물에 익숙한 정도의 차이가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며,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조사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그에 따른 산채나물의 세계화 방안 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ur kinds of wild vegetables (samnamul, miyeokchwi, daraesoon and bangpung namul), which were prepared through three different soaking methods: SBS (soaking both before and after boiling), BS (soaking only after boiling) and B (never soaking). Moreover, it also compared the consumer acceptance of these samples in Korea. A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12 samples (Sam_SBS, Sam_BS, Sam_B, Miyeokchwi_SBS, Miyeokchwi_BS, Miyeokchwi_B, Daraesoon_SBS, Daraesoon_BS, Daraesoon_B, Bangpung_SBS, Bangpung_BS and Bangpung_B) by 10 trained panelists. Furthermore, 115 consumers evaluated the overall acceptance (OL), acceptance of appearance (APPL), odor (ODL), flavor (FLL), and texture (TXTL) of the samples using a 9-point hedonic scale; they also rated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toughness, roughness and moistness using a 9-point just-about-right (JAR)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LSR data, the Sam_SBS sample, which had significantly (p<0.05) high muddiness, moistness, brightness, redness, oily appearance, sesame oil flavor, softness and greasy attribute scores, presented the highest acceptability and consumer desire scores for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Miyeokchwi_B and Bangpung_B samples, which had relatively high toughness, crispiness, roughness, bitterness and, astringent attributes scores, were the least preferred samples. Therefore, the muddiness, moistness, brightness, oily appearance, sesame oil flavor, softness and greasy attributes were drivers of “liking,” whereas toughness, crispiness, roughness, bitterness, astringent attributes acted as drivers of “disliking” for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