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가능성 역설과 반사실적 조건 명제에 대한 논파자

        김남중 ( Nam Joong Kim ) 한국논리학회 2014 論理硏究 Vol.17 No.1

        Every (semantic) antirealist accepts one or another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The principle has strong and weak forms, the strong form being highly counterintuitive but the weak one being more plausible. Understandably, antirealists have preferred the weak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Unfortunately, the so-called knowability paradox shows that those two forms are indeed equivalent. To solve this problem, Edgington suggests a yet new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Unfortunately, her new principle has its own difficulty. To overcome this difficulty, Edgington provides a new model of knowledge, according to which every true proposition is somehow associated with a known counterfactual conditional. In this paper, I shall argue that even this new model of knowledge confronts with an insurmountable problem.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 the microscopic levels, some facts manage to occur despite very low physical chances. I will argue that the counterfactuals linked with those facts cannot be known due to the existence of epistemic defeaters. Hence, Edgington`s knowledge model does not work in all cases.

      • KCI등재

        논문 : 위만의 출신 종족에 대한 재고(再考)

        김남중 ( Nam Jung Kim ) 한국고대학회 2014 先史와 古代 Vol.42 No.-

        이 논문은 위만조선을 세운 위만의 출신 종족이 어떠한지를 다루었다. 위만의 출신 종족에 대해서는 크게 중국계라는 견해와 고조선계라는 견해가 있는데, “朝鮮王滿者故燕人也”라는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의 기록으로 인해 많은 학자들이 위만을 중국계로 인식하였다. 반면 위만을 고조선계로 보는 견해에서 제기된 주장들은 논리적인 문제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사기?? 열전의 인물 소개 방식을 분석해 본 결과 조선열전의 기록은 위만의 출신 종족이 아닌 망명 전 위만의 거주지를 나타내는 것일 뿐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이 기록으로 위만의 구체적인 출신 종족을 논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위만은 퇴결만이복(?結蠻夷服) 차림을 하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으며, 조선이라는 국호와 왕검[왕험]이라는 도읍명을 사용하였다. 퇴결만이복 차림을 하였다는 점은 최소한 위만이 한(漢)과의 구별을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후국명(侯國名) 등 위만이 사용할 수 있는 국명이 여럿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멸망시킨 조선의 이름을 계승하였다는 점과 고조선의 시조로 알려진 단군왕검과 관련된 명칭을 도읍명으로 삼았다는 점, 위만 관련 기록에서 기자(箕子)와 관련된 내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위만은 중국인으로 보기 어렵고 고조선계로 보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위만은 연국왕(燕國王) 노관(盧?)이 흉노로 망명할 당시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는 점에서 노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런데 당시 한 중앙 정부나 북방에 위치한 제후왕국에 만이(蠻夷) 출신이 등용되어 활동하거나 호인(胡人)들로 구성된 기병 부대가 확인된다. 특히, 한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천하를 놓고 다투던 시기에 북맥(北?)?연(燕) 효기(梟騎) 부대가 한을 돕기 위해 출동한 기록이 보이는데, 고조선을 예맥으로 지칭한 사례도 있다는 점에서 고조선인들도 노관 정부에서 활동하였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노관과의 관련성 문제는 위만을 중국계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Viewing through the style of character introduce in Biographies(列傳) Shiji(史記), the passage, “Man(滿), the king of Chosun, was Yan(燕) man by nature.” in Traditions of the Chosun(朝鮮列傳) Shiji, meant not that Wi-Man was chinese but Wi-Man was from Yan area, a part of china. There were lived Old-Chosun and many other people as well as chinese at that time. Meanwhile, the fact that Wi-Man had used Chosun his Country name and Wanggum(王儉) his Capital name, shows that he was Old-Chosun ancestry. The word ‘Wanggum’ had stemed from Dangun-Wanggum(檀君王儉), the progenitor of Old-Chosun. The fact that Wi-Man had fled Old-Chosun when Lu-Wan(盧?) had exiled to Xiongnu(匈奴), shows that Wiman was related to Lu-Wan, but their relationship does not show what is ancestry of Wi-Man because that many foreigners had been active in Han(漢) dynasty and several principalities of Han. When Han dynasty established, North-Maek(北?)&Yan cavalry helped Liu-Bang(劉邦), Han Gaozu(高祖). This shows that the Maek people, who related to Old-Chosun, had been lived in Yan.

      • KCI등재

        『삼국유사』 위만조선 관련 기록의 서술 의도

        김남중(Kim Nam-jung)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9

        이 글은『삼국유사』에서 위만조선을 중시한 이유를 살펴보았다.『삼국유사』위만조선 조는 위만조선을 돋보이게 하는 방식으로『한서』를 축약하였다. 또한 일연은 준왕이 기자의 후손이라는 것과 기자의 고조선 사회 교화 내용을 다루지 않는 방식으로 위만조선을 우호적으로 서술하였다. 일연이 위만조선에 주목한 것은 위만조선이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라, 고구려, 부여 등 고려를 이룬 여러 구성원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나라라고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다. 위만조선은 고조선과 마찬가지로 평양에 도읍하였으며 단군왕검의 이름을 도읍명으로 사용한 국가로, 『삼국유사』에 단군왕검은 고조선의 창립주, 위만은 고조선의 강역을 크게 넓힌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일연이 위만을 연에 복속되었던 고조선계로 보았다는 것과 우리 동방과 관련 있음을 드러내고 싶어 했음을 살필 수 있다. 일연은 연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신라가 혈연적으로 고조선계임을 말하고 싶어 했다. 그러면서 낙랑과 대방 주민의 신라 투항 기사에서 고조선 주민의 신라 이주를 제시하였다. 일연은 신라와 위만조선의 관계를 통해 신라는 중국계가 아닌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을 계승한 국가임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삼국유사』에는 부여 · 고구려 모두 요동 일대에서 성립된 것으로 서술하였다. 요동은 전국시대에 연의 일부였다는 점에서 일연이 부여 · 고구려도 위만조선 · 신라와 동일한 지역에서 나왔다고 인식하였음을 볼 수 있다.『삼국유사』에서 위만조선은 고구려와 신라가 모두 고조선에서 나왔음을 설명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연은 위만조선을 통하여 단군왕검이 고려 구성원 전체의 시조임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이에 기자의 비중을 낮추고 위만조선에 주목하였다. This article looked at why wiman joseon was valued in samgukyusa. In wiman joseon section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hanseo are abbreviated in a way that highlights wiman joseon. In addition, ilyeon described wiman joseon in a friendly way that did not address the fact that king jun was a descendant of jizi and that jizi had enlightened old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ilyeon paid attention to wiman joseon was not only because wiman joseon succeeded the old joseon founded by dangunwanggeom, but also because it was a country closely related to various members of golyeo such as silla, gogulyeo, and buyeo. Wiman joseon, like the old joseon, is a country that has been capitalized in pyungyang and used the name dangunwanggeom as the city name, within samgukyusa, dangunwanggeom is the founder of joseon, and wiman is described as a person who greatly expanded the territory of joseon.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ilyeon regarded wiman as a person of old joseon who was enshrined in the yan dynasty and he wanted to reveal that wiman was a figure related to our east. Ilyeon wanted to say that through the common ground of yan, silla was a descendant of joseon in blood. An article in which residents of nakrang and daebang surrendered to silla suggested that the residents of joseon had moved to silla.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wiman joseon, ilyeon wanted to suggest that silla was the successor to the old joseon founded by dangunwanggeom, not china. samgukyusa described both buyeo and gogulyeo as having been established in the liaodong area. It can be seen that ilyeon recognized that buyeo and gogulyeo also came from the same area as wiman joseon and silla, given that the liaodong area was part of yan at the zhanguo-shidai period. In samgukyusa, wiman joseon is acting as a link to explain that gogulyeo and silla are both from the old joseon. Through wiman joseon, ilyon wanted to present that dangunwanggeom was the founder of all members of golyeo, thereby lowering the weight of jizi and noting to wiman joseon.

      • 제주도 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중(Nam-Jung Kim)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6 No.1

        This study is apt to inquire and investigate the state of sports tourism in Jeju-do and to seek the way to inspire it.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ample the population(N=600), and the data for 550 responders out of 600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 program SPSS Windows 10.0 Version using chi-square and frequency analysis.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urist who visited Jeju-do, workers of tourism, and college students have a very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sports tourism and have a very bright expectation on tourism development possibility. Second, increase of frequent entrance and cheap accomodation or convenience facility of high quality make tourism condition and environment of Jeju-do have very fluent materials. Fina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 of sports tourism.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