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거주 고려인동포 청소년의 생활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

        김나경 ( Kim Nakyung ),선봉규 ( Sun Bongky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현재 한국 거주 고려인동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는 자녀들의 법적지위이다. 재외동포법 상 고려인동포는 3세까지만 인정이 되며, 4세대 이후부터는 외국인으로서의 지위를 갖는다. 이러한 불안정한 체류자격으로 인해 고려인동포 청소년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려인동포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한국사회 정착을 위해서는 그들의 삶의 실태를 파악하고 올바른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실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동포 청소년들의 가정생활, 학교생활, 지역사회생활, 언어생활을 중심으로 생활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려인동포 청소년들은 생활 전반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부모 및 가족과의 관계, 언어, 문화적 차이가 가장 큰 요인이다. 반면, 부모와의 긴밀한 관계, 한국어 실력, 지역사회 활동 및 지원 등은 어려움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의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청소년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위한 장을 마련하고 상호 문화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끝으로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재외동포법 개정, 귀환동포법 제정 등 법·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biggest issue in the Koryeoin who are living in Korea is their children’s legal status. Under the Act on the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 Koryeoins are recognized only until the third generation, and after the fourth generation, they will be foreigners. Due to this unstable status of residence, it is difficult for youths of Koryeoin to adjust to Korean society. In order for youths of Koryeoin to stable settle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living conditions and prepare proper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sure their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living conditions of youths of Koryeoin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family life, school life, community life, and language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youths of Koryeoin were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adaptation throughout their lives, and the main factors of these difficulties are the lack of parents and family relationship, language and culture gap. On the other hand, close relationship with parents, Korean language ability, community activit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found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Throughout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parents. Second, i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and programs for communicating and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youths and youths of Koryeoin. Third, information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youths of Koryeoin can plan and prepare for their care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such as amendment of Overseas Korean Act and enactment of law on returning Overseas Korean.

      • KCI등재후보

        광주광역시 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차별의 매개효과 분석

        김나경(Nakyung Kim) 다문화건강학회 2023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migrant worker mental health.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hree-step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of step 1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on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 Step 2 showed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on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However, Step 3 showed that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mental health after controlling for perceived discri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mental health among migrant workers was fully mediated by perceived discrimin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that is,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employer, superiors, colleagues, and migrant workers and by improving the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of migrant worker mental health problems at the community level.

      • KCI등재

        한국 고용허가제의 유효성 분석: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나경 ( Naky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이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고용허가제의 유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해관계자를 정부, 사업주, 지원단체 등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동시장 보호를 위한 보충성 원칙은 모호해졌으며, 투명성 원칙은 저해되고 있다. 둘째, 인력 고용 안정화를 위한 시장수요 존중 원칙은 역기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단기순환 원칙은 변질되었다. 셋째, 이주노동자 인권 보호를 위한 차별금지 원칙은 미미하다. 이러한 연구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이 지역의 노동시장 보호를 위해서는 이주노동자 현황 및 노동시장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주노동자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안전교육 및 관리 등의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적 산업구조 및 노동시장 특성을 반영한 정책이 이행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적극적인 정책참여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이 연구는 업종별 사업주와 이주노동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포괄적이지 않다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이 연구는 지역별·업종별 비교 연구를 통해 지자체 차원에서의 정책적 역할 및 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in Gwanju and Jeonnam areas. In order to examine effectiveness of EP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stakeholders of the EP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rinciple of supplementality to protect the labor market has become ambiguous, and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undermined. Second, the principle of respecting market demand for stabilizing workforce employment is acting as an adverse function, and the principle of short-term cycle has changed. Third, the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is insignificant.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is research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igrant worker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in Gwangju and Jeonnam. Second, support measures such as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migrant workers. Third, local governments should play a role as active policy participants so that policies that reflect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not comprehensive because the opinions of employers in other industries and migrant workers are not reflected. This study needs to come up with a plan for improving the policy role and system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y region and industry.

      • KCI등재

        미술치료사가 경험한 복합외상을 겪은 아동·청소년과의 미술치료 과정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나경(Nakyung Kim),임나영(Nayoung L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연구에서는 복합외상을 겪은 아동·청소년 내담자와의 미술치료 과정에서 미술치료사의 전반적인 경험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을 겪은 아동·청소년을 3년 이내 10명 이상 치료한 경험이 있으며, 3년 이상의 치료경력을 지닌 미술치료사 7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담자와 만남의 순간’ ‘만남 뒤의 남겨진 치료사’, ‘미술작품의 다양한 측면’, ‘현장에서 마주한 어려움’, ‘어려움을 이기게 한 원동력’의 5개의 영역과 18개의 범주가 생성되었다. 미술치료사들은 치료 과정에서 아동·청소년 내담자와의 신체, 정서적 공명의 치료적 현존 경험, 알아차림과 수용을 통해 내담자의 안전감을 확보하고 신뢰적인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전문가의 역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심리적 소진, 대리 외상을 겪기도 하였으나 미술치료 과정 안에서 변화되어가는 내담자의 작품을 통해 미술이 가진 치유적 힘, 안도감 등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치료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으로 무력감과 좌절감을 느낄 때 슈퍼비전과 피어비전 등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며 미술치료 전문가로 발전해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외상을 겪은 아동·청소년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치료적 태도를 구체화하였고, 더 나아가 트라우마에 대처하는 치료적 요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orking with child and adolescent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To achieve this goal, seven art therapists with at within the l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treating over 10 clients with complex trauma within the last three years were interviewed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resulting analysis revealed 5 domain 18 categories: “the moment of meeting the client,” “the therapist’s role after the meeting,” “various aspects of artwork,” “challenges faced in the field,” and “motivation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d the therapeutic coexistence of physical and emotional resonance with their client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d their professional role involved building a trustworthy therapeutic relationship by securing the client’s sense of safety through recognition and acceptance. Personal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vicarious trauma were also encountered, but they experienced the healing power of art, a sense of relief, and other therapeutic effects through the client’s artwork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When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the art therapists overcame feelings of powerlessness and frustration by using techniques such as super-vision and peer-vision to evolve and develop as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oncrete examples of the therapeutic attitudes necessary for art therapists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therapeutic factors necessary for coping with trauma,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art therapists.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김유리(Kim, Yuri),이숙향(Suk-Hyang Lee),김유리(Kim, Yu-Ri),오지은(Oh, Jieun),안혜신(An Hyesin),김나경(Kim, Nakyung)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ASD) 학생의 식생활 문제의 예방 및 지도를 위해 ASD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위해 특수학교 특수교사 10명, 영양교사 7명, 정신과 전문의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면담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6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식행동 유형, (2) 식행동 관련 문제, (3) 식행동 영향요인, (4) 식행동에 대한 대처 및 지도, (5) 식행동 지도의 어려움, (6) 식행동지도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ASD 학생의 식행동 문제 예방 및 지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ASD 학생의 식행동 특성 및 예방적 지원, 2)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조기교육 및 교육자료 개발, 3)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정보제공 및 다학문적 접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nutrition teachers, and medical specialists regarding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of eating behaviors among students with AS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7 nutrition teachers, and 5 medical specialist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six themes emerged: (a) types of eating behaviors, (b) problem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c) factors influencing eating behaviors, (d) dealing with and teaching eating behaviors, (e) difficulties in teaching eating behaviors, (f) support needs regarding teaching eating behaviors. Our study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and may be used to guide future research in the following areas: (a)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SD and preventive supports for eating-related problem, (b) early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to teach eating behaviors, and (c)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eaching eating behaviors.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식행동 중재에 대한 문헌연구

        김유리 ( Kim Yu-ri ),김나경 ( Kim Nakyung ),박지연 ( Park Jiyeon ),이숙향 ( Lee Suk-hyang ),안혜신 ( An Hyesin ),정지훈 ( Jeong Jih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n interventions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34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were included for the review, of which 4 were Korean studies and 30 international studie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number of Korean studies was relatively small and the studies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s for the limited type of atypical eat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used single-case research designs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outcomes. Although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components were reinforcement and prompting, a number of studies employed different intervention components together. Overall,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by therapists and behavior analysts in the home and clinic setting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경험

        김유리(Kim, Yu-Ri),박지연(Park, Jiyeon),정서진(Chung, Seo-Jin),안혜신(An, Hyesin),김나경(Kim, Nakyung)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2

        자폐성장애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는 본인과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가족 상호작용, 대인관계 등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을 둘러싼 어머니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식행동 및 균형 잡힌 영양섭취 관련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성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1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경험은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 특징, 자폐성장애 자녀와 가족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식생활 개선을 위한 노력, 식생활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의 네 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을 가장 가까이서 접하는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을 직접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인의 식생활에 대한 지식 기반을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 확장했다는 점과 특수교육학 및 식품영양학 연구자들이 융합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을 실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주제를 발굴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al intake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mily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raised children with ASD, regarding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Ten mothers whose children with ASD experienced issue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and balanced nutritional intake were interviewed. Four themes emerged from data analyses: eat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reciprocal effects between children with ASD and family members, efforts to improve dietary life, and support needs to improve dietary life. This study confirmed and expanded the knowledge base of dietary life of individuals with ASD based on specific and realistic cases through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others who work very closely with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as well as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topics were conduc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nutritional science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