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Lee, Suk-Hyang),안혜신(An, Hyesin),최지혜(Choi, Jeehae),김아영(Kim, Ayoung),양지희(Yang, Ji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명과 발달장애 학생 및 성인자녀를 둔 부모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특수교사와는 초·중·고 학교급별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부모와는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주요 건강문제 및 대처 관련 쟁점, 2) 건강관리 및 교육의 실제, 3) 건강관리 및 교육 관련 지원요구, 4)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관련 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토대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 자기옹호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 자기옹호의 필요성 및 역량 강화, 2)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3) 지역사회의 협력 지원체계 및 관련 인프라 구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health care an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develop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parents of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as follows: (a) major health problems and issues in addressing the problems, (b) practices in health care and education, (c) support needs for health care and education, and (d) needs related to development of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necessity of enhancing health self-advocacy for self-directed health care, (b)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based on school-home connections, and (c)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s for community collaboration and relevant infrastructure.

      • KCI등재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경험

        김유리(Kim, Yu-Ri),박지연(Park, Jiyeon),정서진(Chung, Seo-Jin),안혜신(An, Hyesin),김나경(Kim, Nakyung)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2

        자폐성장애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는 본인과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가족 상호작용, 대인관계 등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을 둘러싼 어머니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식행동 및 균형 잡힌 영양섭취 관련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성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1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경험은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 특징, 자폐성장애 자녀와 가족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식생활 개선을 위한 노력, 식생활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의 네 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자녀의 식생활을 가장 가까이서 접하는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을 직접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인의 식생활에 대한 지식 기반을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 확장했다는 점과 특수교육학 및 식품영양학 연구자들이 융합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을 실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주제를 발굴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al intake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mily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raised children with ASD, regarding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Ten mothers whose children with ASD experienced issue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and balanced nutritional intake were interviewed. Four themes emerged from data analyses: eat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reciprocal effects between children with ASD and family members, efforts to improve dietary life, and support needs to improve dietary life. This study confirmed and expanded the knowledge base of dietary life of individuals with ASD based on specific and realistic cases through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others who work very closely with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as well as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topics were conduc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nutritional science professional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특성 관련 문헌연구

        박지연(Park, Jiyeon),김유리(Kim, Yuri),이숙향(Lee, Sukhyang),김유리(Kim, Yuri),오지은(Oh, Jieun),정서진(Jung, Seojin),안혜신(An, Hyesin)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및 분석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 지원을 위한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5년 동안 발표된 선행연구 총 26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식행동을 비교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전형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둘째, 연구자료 수집은 주로 부모가 질문지에 응답하거나 부모의 아동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셋째, 여러 선행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과 개인변인 간에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그들의 식행동과 가족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넷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영양섭취 및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는 그 편수가 많지 않고, 몇몇 선행연구는 상충된 결과를 보고 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on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wenty-six studies published over the last 15 year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comparing eating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those of children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dentified atypical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mmon procedure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a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s. Overall, the studies exhibite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and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ut few studies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variables and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were also a small number of studies of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adequacy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everal studie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s for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김유리(Kim, Yuri),이숙향(Suk-Hyang Lee),김유리(Kim, Yu-Ri),오지은(Oh, Jieun),안혜신(An Hyesin),김나경(Kim, Nakyung)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ASD) 학생의 식생활 문제의 예방 및 지도를 위해 ASD 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특수교사, 영양교사, 전문의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위해 특수학교 특수교사 10명, 영양교사 7명, 정신과 전문의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면담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6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식행동 유형, (2) 식행동 관련 문제, (3) 식행동 영향요인, (4) 식행동에 대한 대처 및 지도, (5) 식행동 지도의 어려움, (6) 식행동지도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ASD 학생의 식행동 문제 예방 및 지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ASD 학생의 식행동 특성 및 예방적 지원, 2)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조기교육 및 교육자료 개발, 3) ASD 학생의 식행동 지도를 위한 정보제공 및 다학문적 접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nutrition teachers, and medical specialists regarding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of eating behaviors among students with AS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7 nutrition teachers, and 5 medical specialist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following six themes emerged: (a) types of eating behaviors, (b) problems related to eating behaviors, (c) factors influencing eating behaviors, (d) dealing with and teaching eating behaviors, (e) difficulties in teaching eating behaviors, (f) support needs regarding teaching eating behaviors. Our study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and may be used to guide future research in the following areas: (a)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SD and preventive supports for eating-related problem, (b) early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to teach eating behaviors, and (c)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eaching eating behaviors.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식행동 중재에 대한 문헌연구

        김유리 ( Kim Yu-ri ),김나경 ( Kim Nakyung ),박지연 ( Park Jiyeon ),이숙향 ( Lee Suk-hyang ),안혜신 ( An Hyesin ),정지훈 ( Jeong Jih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의 식행동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자폐성장애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중재 개발 및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1년부터 2020년 8월까지 출판된 총 34편(국내 4편, 국외 3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식행동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연구에 비해 국내연구는 편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일부 식행동 문제에 중점을 둔 중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관찰을 통해 목표행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행동 중재 요소로는 강화와 촉진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다양한 중재 요소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중재는 주로 치료사 및 행동분석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가정과 치료실에서 실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식행동 중재 관련 교육적 실제와 후속 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n interventions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34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were included for the review, of which 4 were Korean studies and 30 international studie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number of Korean studies was relatively small and the studies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s for the limited type of atypical eat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used single-case research designs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outcomes. Although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components were reinforcement and prompting, a number of studies employed different intervention components together. Overall,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by therapists and behavior analysts in the home and clinic setting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