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키니쿠 드래곤」에 그려진 냉전시대의 재일조선인

        김계자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0

        This paper considers the Zainichi Korean’s living in Cold War represented in the play Yakiniku Dragon written by Chong Wishing, and thinks about the problem of division and separation in Zainichi society widely arisen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through the colonial period and Cold War era, which leaded to more complicated separation for Zainichi Korean. At the last scene of Yakiniku Dragon, Ryukichi’s family’s separation is drawn toward the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The dramatic setting of the play in time, space, and characters reveals the irresponsibility for the colonization in postwar Japan. Especially, Ryukichi and Tetsuo are worthy of notice. Ryukichi lost his left arm in the war, and was uprooted his livelihood under the excuse of illegal occupation after the war. Tetsuo wandered the works of the lowest class and fell to the poor in the illegally occupied territory, and finally went over to North Korea through ‘The Repatriation Project’ in 1971. They are located in the overlapping point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of Zainichi Korean. The play Yakiniku Dragon shows the dark side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postwar Japan, and documents the living and resistance of Zainichi Koreans who were separated through the discrimination and irresponsibility in postwar Japan. 본 논문은 정의신의 희곡 「야키니쿠 드래곤」을 고찰대상으로 냉전시대를 살아가는 재일조선인의 모습을 살펴보고, 한반도의 남북과 일본에 폭넓게 이어지고 있는 재일사회의 분단과 이산(離散)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식민에서 냉전으로 이어진 시대를 지나면서 한반도는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고, 그 속에서 재일조선인 사회는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 사이에서 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복잡한 이산을 겪어야 했다. 「야키니쿠 드래곤」은 불법점거지 조선인 취락이라는 공간적 배경과 냉전시대의 시간적 배경, 등장인물의 특징적 설정과 극적인 구성을 통해 냉전시대에 재일조선인이 사산(四散)하는 현장을 그려내고 있다. 특히, 전후 일본에서 식민지배에 대한 책임 문제가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 가운데, 일본사회 최하층의 노동현장을 전전하다 불법 점거지의 빈민으로 전락하고 북한행을 결심하는 데쓰오의 모습은 ‘귀국자’의 모습이라기보다 귀속할 마땅한 곳이 없는 난민을 방불케 한다. 이러한 점에서 ‘불법점거’라는 이유로 자신의 삶의 터전을 박탈당한 류키치와, 망명이나 다름없이 북한행을 결심하는 데쓰오는 재일조선인이 처한 빈곤과 차별의 접점에서 중첩된다. 「야키니쿠 드래곤」은 고도경제성장의 활기찬 이면에서 빈민과 난민으로 내몰려 엄혹한 1970년대를 산 재일조선인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일본사회의 암부를 드러내고, 냉전시대에 무책임과 배타적인 차별 속에서 사산하는 재일조선인의 삶과 저항을 기록한 작품이다.

      • KCI등재

        재일문학의 북한 표상 - 최실의 『지니의 퍼즐』 -

        김계자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1 No.-

        This paper considers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Japan represented in Jini’s Puzzle written by Che Sil,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of North Korea issue in recent Zainichi Korean Literature. The first thing worthy of notice is the structure of the text, or the perspective. Through the chain transfer like Japan Chosun School North Korea, the problems happened in Japan are concentrated on North Korea, and this process is overlooked from the 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This structure directly represents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Japan. In fact, Jini’s conflict is the problem faced in the position of Zainichi. As soon as Zainichi, however, is replaced by North Korea in Japan, the basic issues arisen from the Japanese society such as discrimination or violence are erased. Through the period of the 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have been involved each other in history, international relation, and separation,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iachronic and comprehensive view over these problems. It is significant to think about the historicity and literary implications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by objectifying the sensation the text aroused. 본고는 최실의 『지니의 퍼즐』에 표현된 일본사회의 북한 인식을 살펴보고, 최근에 재일문학이 표상해 온 북한 문제에 대하여 그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지니의 퍼즐』에서 우선 주목할 점은 소설의 구조, 즉 시선의 문제이다. 일본 조선학교 북한으로 연쇄되는 이동이 거듭되면서 일본에서 일어나는 문제가 북한으로 초점이 집중되고, 일련의 과정을 미국이라는 제삼의 위치에서 조망하는 구도는 일본사회의 북한 인식의 단면을 보여준다. 작중인물 지니가 겪는 갈등은 재일(在日)하는 입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재일’이 일본 속의 북한 문제로 등치되는 순간 정작 일본사회에 배태된 차별과 폭력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들은 소거되어 버린다. 한반도와 일본은 식민과 분단, 냉전의 시간을 지나오면서 역사문제나 국제관계뿐만 아니라 남북한 간에, 그리고 북일 간에 이산(離散)의 문제가 얽혀 있어 통시적이고 포괄적인 시좌와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재일문학은 이러한 얽힌 문제들이 다양하게 표출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문학 텍스트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견지하기 어려운 만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시각을 갖고 시대적인 보편성을 찾아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새로운 해석의 지평이 열릴 것이다. 본고에서 최실의 『지니의 퍼즐』이 일본에 불러일으킨 반향을 대상화하여 재일문학이 갖는 역사성과 문학적 함의를 찾아내려고 한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일본의 배외주의에 맞선 재일작가 이용덕(李龍德)의 문학

        김계자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고는 이용덕의 데뷔작 『죽고 싶어지면 전화해』(2014)에서 제기된 현대사회의 혐오와 차별, 폭력의 문제가 『당신이 나를 죽창으로 찔러죽이기 전에』(2020)에서 일본사회의 극심한 배외주의에 대한 비판과 성찰로 이어진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용덕은 재일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최대 이슈인 배외주의에 정면으로 맞서 자신의 문학하는 이유를 찾은 작가이다. 특히, 『죽창』은 1923년 간토대지진 때 일어난 조선인 학살을 연상시키는 제목으로, 일제강 점기 이래 지속된 일본 배외주의의 뿌리 깊은 폐해와 문제의 심각성을 비판하며 일본사회의 성찰을 촉구한다. 그리고 소설의 내용이 일본인과 재일코리안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강조하 는 이항대립의 구조보다, 일본의 배외주의에 대한 재일코리안 청춘 군상(群像)의 다양한 생각 과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특 회’를 비롯한 배외주의자에 대하여 공격에 나선 가시와기 다이치 일행이나 한일 간의 갈등을 넘어 이상적인 공간을 만들려고 한국으로 귀국한 박이화 일행 외에도, 차별과 혐오의 시대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많은 재일 청춘의 모습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용덕의 문학은 만연해진 일본의 극심한 배외주의에 맞서 지금껏 저항해 온 재일문학의 흐름을 잇는 동시에, 재일의 주체적이고 역동적인 서사를 만들어냄으로써 재일문학의 세대교 체를 알렸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presentation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in Lee Yong deok's debut novel, “Call me when you want to die”(2014), and thinks about the problem of ‘Hate Speech’ in the recent work “Before You Stab Me with a bamboo spear”(2020). His works criticize the extreme exclusionism of Japan including Zaitokukai(在特会) antagonizing Zainichi Koreans. Lee Yong deok is a Zainich Korean writer who found the reason for his literature against the exclusionism of Japan.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Before You Stab Me With A Bamboo” focuses more on showing various thoughts and different ways of responding to the exclusionism of Japan, rather than o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Zainichi Koreans.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s who fought against exclusionists or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ideal community in Korea, there are many characters who show different lives of Zainichi Koreans living in an ag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Lee Yong deok’s literature shows a generational shift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by creating an independent and active narrative against the extreme and widespread exclusionism of Japan.

      • KCI등재

        누가 조국을 두 개로 나누었는가-남북일의 영화 <박치기!>

        김계자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영화 <박치기!(パッチギ!)>에 그려진 재일조선인의 삶을 통해 한반도의 남북과 일본의 관계성이 재편되는 1960년대에 주목하고, 한일과 북일이라는 2개국 관계를 넘어 ‘남북일(南北日)’이라는 층위의 포괄적인 시좌(視座)에서 남북 분단을 넘는 재일(在日)의 지향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본은 북한과 1959년부터 ‘귀국사업’을 시작하여 1960년대 초반에 7만 명이 넘는 재일조선인이 북한으로 건너갔다.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한국과 1965년에 「한일협정」을 체결하여 한일 간의 실리를 우선적으로 관계를 운용함으로써 북일 교섭은 제약을 받았고 이내 중단되었다. 이러한 속에서 ‘귀국사업’이 재개되기를 기다리며 북한으로 귀국할 결심을 하는 ‘안성’과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1960년대 한일・북일 간의 사이에서 재일사회가 맞닥뜨린 불편한 현실과 갈등, 저항을 <박치기!>에서 그리고 있다. 안성과 친구들이 일본인 또래들과 맞붙어 싸우고 되갚는 폭력은 1968년 당시 전공투 운동의 고양된 분위기를 배경으로 분출되는데, 이들의 제각기 맞물리지 않는 감성과 욕망의 분출은 사뭇 진지하게 충돌하다가도 어느 순간 코믹하게 처리되어 버리고, 극단적인 폭력도 무위(無爲)의 축제로 전도되어 버리는 게임처럼 갈등구조를 단숨에 아무렇지도 않은 양 끝내버리는 희비극(喜悲劇)으로 그려진다. 이와 같이 <박치기!>는 1960년대의 한일・북일 간의 제한된 관계 속에서 남・북・일의 어디에도 귀속하기를 거부하는 재일조선인 젊은 세대의 분출하는 저항을 담아내고 있다. 영화의 모티브가 된 포크루의 <임진가와>가 원곡인 <림진강>에서 변용된 과정에서 보이듯이, 남북일을 아우르는 층위의 포괄적인 시좌에서 재일사회를 대상화할 때에 비로소 한반도의 남북과 일본 사이에서 폭넓게 벌어진 분단과 이산의 문제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vie <Headbutt!> and considers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 in the 1960s, when the relationship around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Japan was reorganized.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which overcomes the limited relationship of South Korea-Japan or North Korea-Japan. Through “The Repatriation Project” in the early 1960s, more than 70,000 Zainichi Koreans moved to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and Japan signed the “Korea-Japan Agreement” in 1965, which influenced the suspension of the previous project and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In this atmosphere, Anseong decided to return to North Korea, waiting for the resumption of the project. The movie “Headbut!” depicts the rising resistance of the younger generation of Zainichi Koreans who refuse to belong anywhere. The song “Imjin River”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original style of North Korea, crossing the border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Like the song,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 would be totally recognizable onl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encompass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Japan.

      • KCI등재

        유미리의 JR 시리즈에 표현된 ‘일본’

        김계자 한국일본근대학회 2024 일본근대학연구 Vol.- No.83

        This paper considers Yu Miri’s works that reveal the voices of marginalized and excluded people in Japanese society. Yu has expanded the narrative from Yamanote Line of Tokyo to JR(Japan Railways) series, connecting the city and the provinces. The novel Tokyo Ueno Station(JR Ueno Station Park Exit) that won the National Book Awards in 2020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In the Yamanote Line series, the novel JR Takadanobaba Station Toyama Exit is a work that critically shows the closure of Japanese society, especially the isolation and death problems felt by the characters in their daily lives, which links to the buried records of those who were brutally killed in modern Japanese colonization and war. The novel Tokyo Ueno Station is a compressed illustration of the modern history of Japan after the war through a space “Ueno” connecting Tokyo and the Tohoku region. This work dramatically contrasts the life of the emperor in the peak of Japanese society and the lowest-ranking people at its opposite point. Lastly, the novel JR Joban Line Yonomori Station is a work that materializes the efforts of the author Yu who moved her residence to Fukushima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n 2011 to communicate with local people and report the problems faced by Japan after the nuclear explosion accident. The critical view of Japanese society represented in this novel evokes the voices of the marginalized people including daily workers mobilized in the workplace of the nuclear accident as well as the victims of the earthquake. It is not known what Yumi-ri’s JR series will do in the future. As long as her works catch the pending issues of Japanese society and communicate with people of various levels, it is expected that Yu Miri will continue to open up the horizon of Japanese literature. 본고는 유미리가 도쿄 도심의 ‘야마노테선’ 연작을 시작으로『JR 우에노역 공원출구』를 거치며 도심과 지방을 잇는 ‘JR 시리즈’로 이야기를 확장시켜 일본사회에서 주변화되고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드러낸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그 비평성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야마노테선 연작에서 특히『JR 다카다노바바역 도야마 출구』는 작중인물이 일상에서 느끼는 고립감이나 죽음의 문제가 근대 일본의 식민과 전쟁에 무참히 희생된 사람들의 사장된 기록과 연결되어, 일본사회의 폐쇄성을 비판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JR 우에노역 공원출구』는 야마노테선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 도호쿠 지방을 잇는 ‘우에노’라는 공간을 통해 전후 일본이 걸어온 현대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일본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천황과 그 대척점에 있는 최하층 사람들의 배제된 삶의 역사를 대비시켜 천황제 사회의 명암을 극적으로 구성해냈다. 그리고 「JR조반선 요노모리역」은 동일본대지진 이후 후쿠시마로 거주지를 옮겨 현지 사람들과 소통하며 취재한 작자의 노력이 구체화된 작품으로,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이 직면한 문제들을 사회의 저변에 방치된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로 환기시키는 시각이 매우 현실 비판적이다. 향후 유미리의 JR 시리즈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 알 수 없으나, 일본사회의 현실에 발을 딛고 다양한 층위의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엮어내는 작품세계는 일본문학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전후 일본으로의 ‘귀환’과 ‘조선인’의 정위

        김계자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科學硏究 Vol.46 No.-

        This article considers the aspects of repatriation to postwar Japan which fail to converge upon single national identity, as seen in Muramatsu Dakeshi, a Japanese colonist and Oh Imjun, a colonial Korean. Their recognition surrounding colonial Korean is connected to Kim Dalsoo and Kim Shijong, who had investigate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Korean" in Japanese society throughout the Cold War era. The repatriation to postwar Japan including Japanese and Koreans is important in providing the motive to solve the present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vided Koreas and Japan. It is possible to break new ground crossing the border among South & North Korea, and Japan only when breaking away from exclusive nationalism. Zainichi Koreans’ activities after the repatriation done by crossing between the defeat of Japan and liberation of Korea make it possible to keep relative distance from the both sides, which promote critical stance to still existing colonialism in Japan. Also, they give implications to us living in time of the division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resonance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encompassing South & North Korea, and Japan. 본고는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고 일본제국이 해체된 후에 단일한 민족적 정체성으로 회수되지 않은 ‘귀환’의 양상을 고찰하고, 냉전시대를 지나면서 남·북·일에 걸쳐 재일조선인의 이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어떻게 ‘조선인’이 정위되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일본 제국이 붕괴된 후에 일본인과 조선인의 ‘귀환’이 중첩되는 지점에서 무라마쓰 다케시와 오임준의 일본으로의 귀환을 통해 드러난 ‘조선’ 인식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후 일본을 귀착지로 한 재일의 삶 속에서 ‘조선인’이 정위된 과정에 대하여, 재일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한 김달수와 분단시대를 극복하고자 한 김시종의 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전후 일본으로의 ‘귀환’과 그에 따른 ‘조선인’의 정위를 살펴본 것은 현재의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의 뒤틀린 관계에 개선의 단초를 찾아보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해방 후에 분단된 두 나라, 그리고 일본에서 ‘조선’의 의미는 각각 엇갈려 있기 때문에 ‘조선인’이라는 동일한 민족적 정체성으로 귀속되기는 어렵다. 바꿔 말하면 배타적 민족주의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남북일 경계 너머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다는 의미이다. 패전국의 피식민지인으로서 해방을 맞이하고 구 식민종주국인 일본으로 귀환하여 남북분단과 냉전시대를 살아오는 과정에서 놓지 않고 매달려 계속 추구해 온 ‘조선’은 남북일의 관계성 속에서 형성되고 변용된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전후 일본으로의 서로 다른 귀환의 형태와 이후의 과정에서 생성되고 변용된 ‘조선인’의 정위를 통해 남북일의 소통과 공명의 가능성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유미리의 평양방문기에 나타난 북한 표상

        김계자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본 논문은 유미리가 세 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한 내용을 고찰하고, 그녀의 방북이 어떤 의미였는지 생각해본 것이다. 유미리는 『가족 시네마』 이후에 죽은 자의 목소리를 깨워 재일로서 자신의 뿌리 찾기나 일본사회를 향해 문제제기하는 장편을 연달아 발표했다. 이는 유미리가 ‘재일’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종적으로는 과거와 연결 짓고 횡적으로도 폭을 넓혀 일본사회와 관련 지어 생각해보려는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유미리는 2008년과 2010년에 세 번에 걸쳐 평양을 중심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기행 에세이를 남겼는데, 북한을 실체가 없는 ‘환상의 조국’이라고 표현하면서 안개에 싸여 실체가 잘 보이지 않는 북한의 모습을 일본 사회에 적용해 현대 일본사회를 비판했다. 또, 북한의 ‘조선’ 사람과 ‘재일’의 삶이 다르다는 것을 새삼 인식하고, 조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동질감을 느끼면서 동시에 조국으로부터 이방인 위치에 있는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재일’의 실존적 삶에 대해 새롭게 확인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considered Yu Miri's visitation of North Korea, and analyzed how she represented North Korea in her essays. After the novel Family Cinema, Yu Miri published several novels successively which are concerned with searching for her roots as a Korean-Japanese or questioning the problems of Japanese society, through the method of arousing the voice of the dead. This writing style shows that Yu Miri connected her life as a Korean-Japanese with the past diachronically, and broadened horizontally to reveal the problems of Japanese society. In the process of writing novels above, Yu Miri visited North Korea three times in 2008 and 2010, and wrote traveling essays based on her experiences. In the essays, she portrayed North Korea as an insubstantial “illusionary homeland.” She applied this image to Japanese society and criticized that it had been shrouded in mist and concealed the truth. In her writing, she recogniz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s from North Korea and those of Korean-Japanese origin. Therefore, she feels a sense of identity of having taken root in her chosen homeland, and at the same time, understands her life in the position of stranger to her homeland. In conclusion, Yu Miri recognizes her existential life as a Korean-Japanese through her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환기와 소거, 그리고 일본어문학 : 김석범의 『1945년 여름』

        김계자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This study considers Summer in 1945 written by Kim, Seok-bum, an autobiographical novel. This novel consists of four short stories, which are later edited in the form of a novel in 1974, when Kim Seok-bum reactivated novel writing in Japanese.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Kim Tae-jo went over to Colonial Chosun and returned to Japan before liberation in 1945. In other words, he couldn't see the liberation of his own country. So, the record about '8·15' is not seen in this novel. However, not that he wrote defeat of Japan. Nevertheless, Kim Seok-bum combined four stories under the title of 'Summier in 1945'.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is narrative style. Kim Tae-jo received violence three times both in Japan and Chosun, and by Japanese and Koreans living in Japan. He didn't participate in either side of liberation or defeat. And he realized what he imagined about his own country as a mere romantic dream. He felt a sense of alienation between himself and his country. Especially Korean language he heard in Seoul was impassable barrier. Since then, he decided to take a step forward basing on the real life of his own. Japanese language to Koreans domiciled in Japan since colonial period is a strangling language. However, ironically through Japanese language they can liberate themselves. If so, what should be written in Japanese? This question was asked when Kim Seok-bum consciously reactivated Japanese writing in 1970's. Kim Seok-bum is the first generation domiciled in Japan since colonial period. He raised the meaning of writing in Japanese turning back to '8·15',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Japanese-language literature by Koreans. His problem posing arouses historical memory being forgotten in post-colonial society. 본 논문은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되어 25년이 지난 시점에서"1945년여름"을 환기하고, 일본어로 문학활동을 재기한 재일한국인 작가 김석범의 문학을 통해 해방과 패전이라는 관몀과 현실을 넘어 역사적인 기억을 작품 속에서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가에 대하여, 즉 일본사회를 향해 질문을 던지는 김석범의 문제의식에 대해 고찰하하였다. "1945년 여름"은 김석범의 자전적 소설로 1971년부터 73년 사이에 발표된4편의 단편 "장화", "고향", "방황" 그리고 "출발"을 한데 묶은 것으로 1974년에 간행되었다. 소설의 내용적인 면에서 보면 "방황"까지는 해방 이전의 시기를 다루었고"출발"이 해방이후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8.15 의 기록이 없다. 8.15는 해방으로부터 1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과거의 기억으로서 추인된다. 장편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분은 가필이 더해졌으나 중요한 8.15의 기록은스토리의 시간에 따르지 않고, 나중에 추인되는 형태로 기록되고 있다는 스토리텔링법은매우 흥미 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 여름"이라는 제목을 달고 전후의 내용을 배치하여 장편으로써 구성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1945년 여름"에 그려진 8.15를 전후한 기록은 폭력으로 점철되어 있다. 이와 함께 언어의 문제가 이러한 기억에 간섭하여 지연시키고 있다. 해방을 전후하여 일본에서 한반도로 또한 일본으로 돌아가는 왕복의 과정에서 관ㄴ념적으로 상상한 조국, 조국어와 자신과의 사이에 놓이 거리, 넘고싶은 단절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다. 일본과 조선, 그리고 일본인과 재일한국인에게 폭력을 당하면서 그들은 해방과 패전이라는 어느쪽에도 가담하지 않고 자신들이 나아갈 길로 나아간다. 관념과 몽상의 조국보다는 자신의 현실에 한 발 내 딛는 결의를 하는 주인공의 내면을 통해 작가 김석범의 일본어문학의 의미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김석범은 재일 1세대로서 의식적으로 일본어를 가지고 재기를 하고자 하였으며8.15의 기억을 환기하여 폭력의 기억과 내면의 저항이라는 재일한국인문학을 전개해 간다. 김석범이 일본어문학의 기점에서 제기한 문제는 현재까지 미해결인채 남아 있는 탈식민지사회 속에서 망각되고 있는 기억을 독자들에게 환기시키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