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변전소 GIS에서 UHF 부분방전신호의 노이즈 판별 사례

        김경탁(Kyungtak Kim),구선근(Sun-geun Goo),한기선(Kiseon Han)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 변전소 154 ㎸ GIS에서 부분방전측정 수행을 하였다. GIS내부 결함유무 및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현장 정밀측정을 한 결과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신호가 아닌 외부노이즈임을 세가지 측정방법을 통해 판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산업단지 내 공업용수 공급의 경제적 가치 및 한계생산가치 변동성에 관한 연구

        김길호(Gilho Kim),김덕환(Deokhwan Kim),김경탁(Kyungtak Kim),김형수(Hung Soo Kim)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공업용수 공급사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산함수 접근법에 기반한 한계생산가치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Cobb-Douglas, Translog, Sector 더미변수를 포함한 Trasnslog 생산함수를 기준으로 11개 산업유형별로 구분된 4가지 자료세트(C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 산업 평균 한계생산가치는 각각 3,217~5,357원/ton, 2,994~4,569원/ton, 3,620~5,342원/ton로 나타났으며, 산업유형별 결과는 가구 및 기타제조 산업에서 가장 크게 추정되었고, 섬유‧가죽산업에서 가장 낮은 한계생산가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Cobb-Douglas 함수에 의한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료세트에 따른 변동성 또한 Cobb-Douglas 함수에서 크게 나타났다. 생활용수에 비해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미흡하였으나, 향후 활발한 연구를 통해 다학제간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marginal production value based on the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to confirm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supply projects. For this, we analyzed 4 data sets classified by 11 industry types according to Cobb-Douglas Function, Translog Function, and Translog function with sector dummy variables. As a result, the average industrial marginal product value of the entire industry was 3,217~5,357 won/ton, 2,994~4,569 won/ton and 3,620~5,342 won/ton, respectively. The results by industry type were the largest in furniture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showed the lowest marginal production value in the textile and leather industries. Overall, the results from the Cobb-Douglas function were highly evaluated. And the volatility according to data sets was also analyzed in the Cobb-Douglas functi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compared to domestic water. It is considered that multidisciplinary consensus will be needed through activ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경험적 홍수피해 자료에 근거한 노출위험인구 기반 인명손실 평가방법 개발

        김길호(Kim, Gilho),홍승진(Hong, Seungjin),김경탁(Kim, Kyungtak)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국내에서 자연재난 대부분을 차지하는 홍수는 매년 반복되어 인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며, 인명피해 최소화는 방재계획 및 정책수립에 있어 우선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과거 피해실적에 근거한 경험적 인명피해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인명피해는 기본적으로 노출위험인구(PAR)와 인명피해 발생확률을 기반으로 하며, PAR은 침수구역도와 집계구 공간단위로 계층화된 인구 인벤토리 DB의 GIS 공간분석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인명피해 발생확률은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내 인명피해 이력과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받은 침수흔적도를 토대로 침수등급과 인구계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인명피해 평가방법이 향후 재난위험지구 결정, 리스크 모델링, 방재사업 대안결정 등의 실무와 학술적 연구과정에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Annual flood disasters can result in significant losses of life and property. Minimizing casualties should be a priority in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and polic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mpirical method for estimating life loss based on past flood damage cases. Life loss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PAR (Population At Risk) and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life losses. The PAR was determined fro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atial analysis with flood inundation map and population map.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life loss was determined using empirical data, such as natural disaster statistics in the 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flooding trace map. The proposed life loss assessment method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modeling flood risk and determining alternatives for flood prevention project.

      • KCI등재

        국지 앙상블자료와 홍수위험매트릭스를 이용한 홍수위험도 예측 방법 연구

        최천규,김경탁,최윤석,Choi, Cheonkyu,Kim, Kyungtak,Choi, Yunseok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9

        With the occurrence of localized heavy rain while river flow has increased, both flow and rainfall cause riverside flood damages. As the degree of damage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and economic impact, it is required to secure sufficient forecast lead time for flood response in areas with high population and asset density. In this study, the author established a flood risk matrix using ensemble rainfall runoff modeling and evaluated its applicab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damage reduction effect by securing the time required for flood response. The flood risk matrix constructs the flood damage impact level (X-axis) using flood damage data and predicts the likelihood of flood occurrence (Y-ax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nsemble rainfall runoff modeling using LENS rainfall data and as well as probabilistic forecasting. Therefore, the author introduce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level of flood damage using historical flood damage data and quantitative flood damage assessment methods. I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flood warning data and the damage situation at the flood warning points in the Taehwa River Basin and the Hyeongsan River Basin in the Nakdong River Region.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time and degree of flood risk from up to three days in advance. Hence, it will be helpful for damage reduction activities by securing the lead time for flood response.

      • KCI등재

        공공시설물 잠재홍수피해지수 체계 개발 및 평가

        김길호,백승협,정영훈,김경탁,Kim, Gilho,Baeck, Seung Hyub,Jung, Younghun,Kim, Kyungtak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8 No.4

        Since public facilities have high property values and are directly exposed to the flood hazard, they account for the highest share of disaster damages compared to other assets such as housing, industry, vehicle and agriculture in case of fl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suggest the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to evaluate potential flood damage of specific local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as a tool for decision-making related to flood preven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budget allocation. The flood damage assess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in 231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higher values were obtained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yeonggi-do (province), coastal area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Jeju island.

      • GIMMS NDVI를 이용한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평가

        박정술 ( Jungsool Park ),최진용 ( Jinyong Choi ),김경탁 ( Kyungtak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1990년대 초 미국의 건조지역을 중심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Gutman, 1990; Kogan, 1990) 기상학적 가뭄지수 및 강우량, 증발산 등과 NDVI의 변화를 비교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Unganai and Kogan, 1998; Ji and Peters, 2003). 특히, Kogan(1995)이 제시한 VCI(Vegetation Conditon Index)와 Peters 등(2002)이 제안한 SVI(Standardized Vegetation Index)는 장기간 축적된 NDVI 화소값들이 평균 혹은 최대ㆍ최소값과 갖는 차이를 통해 가뭄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평가기법이다. 국내에서도 VCI 및 SVI를 이용한 가뭄평가가 수행되었으나(신사철과 김철준, 2003; 신수현, 2005; 박정술, 2007) 10년 미만의 NDVI를 활용함으로써 자료의 표준화를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한반도 온대기 후대에서 VCI 및 SVI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장기간 축적된 NDVI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MMS(Global Inventory Monitoring and Modeling Studies) NDVI를 활용하여 VCI 및 SVI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GIMMS NDVI는 전 지구 규모의 식생변화 탐지를 목적으로 NOAA AVHRR 센서를 이용하여 제작한 8Km 해상도의 식생지수로 MVC(Maximum Value Composit) 방법을 이용하여 15일 간격으로 합성ㆍ제작되었다. 자료 구축시기는 1981년 7월부터 2006년 12월 까지로 현 시점에서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으나 25년 이상의 장기간 축적된 NDVI는 전 지구규모의 피복변화 및 가뭄판단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1년~2006년 기간을 대상으로 수집한 GIMMS NDVI를 이용하여 월 단위의 VCI와 SVI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뭄발생 시기를 판별하고 가뭄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같은 기상학적 가뭄지수 및 가뭄보고서(건설교통부, 20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서울대학교, 2006)를 통해 제시된 가뭄사상을 VCI, SVI를 통해 나타난 가뭄결과와 비교하여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VCI와 SVI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VCI와 SVI를 통해 제시된 가뭄사상은 기상학적 가뭄지수 및 문헌상의 가뭄발생 시기를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4년, 1995년, 2001년 대가뭄과 같이 가뭄 우심시기의 심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등 가뭄심도의 객관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IMMS NDVI는 각 픽셀별 신뢰도를 나타내는 QA(Quality Assuarance)자료를 제공하지 않음으로 구름으로 인해 과소 추정되는 픽셀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으나 이를 통해 장기간의 식생변화와 가뭄발생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00년 이후 제공되고 있는 MODIS 식생지수를 축적하고 VCI 및 SVI를 제작하여 활용한다면 신뢰성 있는 가뭄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용 저수지 운영을 고려한 HyGIS-GRM의 강우-유출 해석

        박정술 ( Jungsool Park ),최진용 ( Jinyong Choi ),김경탁 ( Kyungtak Kim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여름철 전후 한반도의 강우강도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홍수의 발생빈도 및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업부분에서 홍수방어와 관련이 있는 시설로는 저수지, 배수장 등이 있으며 농업용 저수지는 농업용수의 공급, 가뭄 및 홍수에 대한 치수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물로 전국적으로 18,000여 개의 저수지가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농업용저수지는 노후화 되어 있고 자연 월류식 물넘이 구조로 홍수조절 기능 및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기준이 적용된 시점은 1987년 이후이며 이를 적용한 농업용 저수지는 전체의 2.9%에 지나지 않아 집중호우 및 태풍에 취약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시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효과를 판단하고 홍수저감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의 활용성을 제시하기 위해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활용하였다. GRM은 수자원 지리정보시스템인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통합 운영되며 HyGIS-GRM은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영향과 저수지 운영을 반영한 유출모의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농업용 저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류의 저류효과가 유역의 출구점에 반영될 수 있는 중규모 유역인 동연교 수위표상류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유역에 포함된 농업용 저수지는 자연 월류식 물넘이 구조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최대 가능 저수량을 초과하는 유량은 모두 유출되는 저수지 운영방법을 적용하였다. 2008년과 2009년 실제 강우사상을 적용한 연구결과 농업용 저수지의 유무에 따라 첨두유량은 10%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저수율이 증가할수록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효과는 홍수방어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빈도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농업용 저수지의 관리 및 운영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