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종파별 교세현황에 대한 연구

        김경집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5 No.-

        The Japanese imperial relations with Korea in 1876. They put Japanese Buddhism ahead to hide their intentions of invasion. After Japanese rule, Japanese Buddhism advanced into Korea. By 1945 they had all 26 religious denominations. Japanese Buddhism built temples throughout Korea. There are over 1,000 Buddhist temples built by them. The status of each region is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Japanese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in Seoul and Gyeonggi-do. Next was Busan and Gyeongnam, and the third was Chungnam. First, Gyeonggi-do, including Seoul, and Gyeongnam, including Busan, were politically important regions. Next, many Japanese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in Chungnam, Jeonnam, and Jeonbuk, in relation to Japanese rice production. And Hambuk was deeply involved in mineral production. Japanese Buddhism mainly led the Japanese religious life. Koreans turned away Japanese Buddhism with anti-Japanese sentiment. Only Koreans involved in Japan attended Japanese Buddhist temples. Therefore, the increase in Koreans was inevitable. Each sect of Japanese Buddhism organized a group of people who believe in Buddhism at major temples. Such activities also influenced Korean Buddhism, and new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Most of these activities were used as colonial policy. Because the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m, Korean Buddhism's traditional rituals have gradually changed. Rituals involving Japanese Buddhism and culture were performed, relatively Korean Buddhism gradually lost its place. 1876년 2월 일제는 朝日修好條規을 체결하며 한국침략의 야욕을 감추기 위해 한일 양국에서 신앙하는 불교를 이용하였다. 처음에는 소수가 진출하다가 1895년 4월 일본 승려에 의해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자 일본불교에 대한 외경심이 높아지면서 진출하는 일본불교 종파가 점점 증가하였다.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는 13종파에 속한 26교파이다. 개항 초에는 한국진출의 교두보인 부산에 많이 세워졌다. 이후 정치적으로 중요한 경성에 집중되었다. 1925년 전후까지 일제의 쌀 증산에 따라 호남과 충남에 많이 세워졌다. 그 후 군수물자의 수요가 많아지자 광물이 많은 함경도에 많이 진출하였다. 한국 전역에 세워진 일본불교의 사찰을 분석하면 경기[경성] 181개, 경남[부산] 161개, 충남 81개, 함북 77개, 경북과 전남 71개, 전북 61개, 함남 47개, 황해도 40개, 평남 38개, 강원도 32개, 그리고 충북과 평북이 각각 20개였다. 일본불교 각 종파를 교학적으로 분류하면 밀교 계열 10교파, 정토 계열 7교파, 선종 계열 4교파, 법화 계열 4교파, 그리고 화엄 계열 1교파였다. 한일합방 이전까지 그들이 세운 사찰은 121개 정도였고 그 이후에 890여 개가 설립되었다. 가장 많은 사찰을 세운 곳은 정토 계열로 339개, 밀교 계열 216개, 선종 계열 213개, 법화 계열 114개, 그리고 화엄 계열 8개 순이다. 가장 활발하게 진출한 상위 5종파는 조동종 179개, 진종 본원사파 164개, 진종 대곡파 96개, 일련종 61개, 그리고 진언종 제호파 58개이다. 일본불교 각 종파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이념이 정립되도록 활동하였다. 그들의 의례가 도입되면서 한국불교 의례는 상당히 훼손되게 되었다.

      • KCI등재

        금당(錦塘) 이재복(李在福)의 불교 활동과 시대 인식

        김경집 대각사상연구원 2024 대각사상 Vol.41 No.-

        금당 이재복은 1918년 5월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 전반부 는 출가와 교학 연찬의 시기였다. 15세인 1932년 3월 계룡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0월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그는 강원의 전통적인 강학과 혜 화전문학교에서 근대식 불교학을 통해 교학 연찬을 하였다. 이때 체계화된 불교 지식은 훗날 역경위원과 대중 설법의 토대가 되었다. 중반부는 1945년 8월 광복이 되자 대전으로 옮긴 후 지역불교 발전을 위해 헌신한 시기이다. 대전으로 내려온 그는 일본 사찰을 확보한 후 충청 남도 불교종무원을 세웠다. 충남불교청년회를 비롯한 여러 신행 단체를 조 직한 후 대중불교 활동을 하였다. 그런 노력으로 불교 활동이 미비하였던 대전에 발전의 토대를 세울 수 있었다. 후반부는 1970년 5월 이후 한국불교태고종 수행자로 대중불교 활동에 전념한 시기이다. 전통 강학과 불교학으로 다져진 실력으로 경전을 근거로 한 설법을 하였다. 그런 대중 활동과 더불어 여러 글을 통해 한국불교가 걸어온 길을 진단하고 또한 가야 할 방향을 명료하게 제시하였다. 특히 한 국불교에서 많은 종파의 출현이 가져올 질적 저하의 문제, 계율에 벗어난 수행자의 행동, 그리고 불교계 교육기관의 부족을 거론하며 불교계의 인식 전환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삶을 살았던 이재복은 근, 현대에 걸쳐서 일제의 한국불교 통 제를 경험하였고, 광복 후 현대사회에서는 급박하게 변화되고 다양한 종교 가 경쟁하는 현실을 목격하였다. 그런 상황 속에서 한국불교가 지켜야 할 가치와 가야 할 방향을 예단한 선지식이었다고 평할 수 있다. Lee Jae-bok(1918~1991) was born in Gongju,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May 1918. After graduating from elementary school in March 1932, he became a monk at Gapsa Temple in Gyeryongsan Mountain in October. He received Buddhist education at Gangwon(Traditional Korean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ion) and Hyehwa Colleges(Dongguk University nam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Gangwon, he served as the publisher of a magazin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Buddhism education in Gangwon and the role of scholars. He was so passionate that he received an excellence award when he graduated from Hyehwa College in 1943. Immediately became a teacher at Gangwon in Seoul and trained younger students. In 1945, he organized the Chungnam Buddhist Youth Association in Daejeon and became its president. He led a spiritual practice group for a long time and worked to develop Daejeon Buddhism. In 1957, he published an article titled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m’s Propagation’, presenting his views on reform. Its content is consistent with modern reform ideas.In that respect, it can be said that it inherits that spirit. In addition, he work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Korean Buddhism and publish the Korean Tripitaka. He taught Buddhism to the public through over 3,000 sermons. He preached the law thoroughly based on the scriptures. He clearly presented the problems of Korean Buddhism through several writings. First, so many Buddhist sects arose. Second, the number of Buddhist practitioners who violate the precepts has increased. Third, there is a lack of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ions. Therefore In view of this, he can be evaluated as a pioneer who accurately diagnosed modern Korean Buddhism.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김경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The social activity of Korean Buddhist believers in Korea began in modern times. It was to check the Japanese Buddhist missionary activity and Christianity from the West in Korea. The Korean Empire established a Jonggyohoe in Anyangam outside Dongdaemun. Jonggyohoe were organized in central and provincial areas but it was abolished in 1904. Around 1910, a group was held to check Christian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was also establishe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Buddhist Women's Association were unique. A new Jaegabulgyoundong began in the 1960s. At first, groups not related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After that, group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modern Buddhism. Furthermore, Korean Buddhism played a major role in democratization.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Korean Buddhism, which relies on the power of public power, was dealt with. Criticized the social reality and promoted Buddhist reform. In the 1990s, Korean Buddhist believers began their own Buddhist movement. The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They showed an active interest in solving social problems. It was critical of the denomination to break the Vinaya. 한국의 재가불자의 활동은 근대 형성되기 시작되었다. 계기는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포교활동과 외부에서 유입된 타종교의 견제가 주된 목적이었다. 대한제국은 일본불교를 견제하기 위해 동대문 밖 안양암에 종교회를 두었다. 중앙에 임원을 두고 지방 각 도의 조직을 관장하였다. 그러나 관리서가 1904년 1월 폐지되면서 근대적인 재가불교운동도 막을 내렸다. 근대 불교계에서 자발적인 재가불교운동이 일어난 것은 1910년 전후한 무렵이다. 사찰을 중심으로 타종교인 예수교에 대한 대항, 불교진흥과 공부를 위한 목적, 그리고 지역불교 발전을 위한 목적이었다. 이런 활동은 재가불교의 힘을 성장시켰고 그 역량이 사회활동에 이르게 되었다. 이 가운데 불교부인회는 어려운 환자나 걸인 그리고 어려운 재난을 당한 이재민들을 위한 자선사업을 전개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국 현대불교에서 재가불교운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이다. 처음에는 종단과 관련되지 않고 모임이 결성되어 독자적인 활동을 벌였다. 그 후 1962년 4월 통합종단 이 설립되고 신행단체를 육성하면서 전국신도회, 대한불교청년회, 그리고 대학생불교연합회 등 종단관련 재가불교운동이 본격화 되었다. 이런 재가불교운동은 한국 현대불교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80년대 민중불교를 태동시키는데 가교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재가불교운동은 80년 사원화 운동, 1983년 전국청년불교도연합대회, 그리고 1985년 재가와 승가의 연합인 민중불교운동연합으로 이어지면서 불교의 자주화와 반독재민주화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젊은 불자들에 의해 공권력에 의존하는 한국불교의 모습을 척결하고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과 불교계의 개혁과 반성을 지향하는 운동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1990년대는 재가자만의 독자적인 불교운동이 형성된 시대였다. 불교의 내적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종단에 대한 비판적 역할도 잊지 않았다.

      • KCI등재

        대한불교조계종 설립과 九山의 역할

        김경집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7 No.-

        구산 수련(1910-1983)이 출가한 1937년 무렵 한국불교의 수행 풍토는 많이 변질되어 있었다. 그런 여건 속에서 구산은 한국불교의 전통을 인식하고 올바른 수행자의 모습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다. 광복 후에는 한국불교를 바로 세우는 일에 노력하였다. 현대 대한불교조계종 설립과 守成에도 기여하였다. 그 과정을 보면 정화운동 초기 구산은 전형위원과 추진위원, 종회 의원, 운집부 위원, 전남 종무원장, 감찰원장 등 여러 소임을 맡았다. 정화운동이 정체되었을 때 혈서로써 분위기를 전환하였다. 이런 활동은 통합종단 설립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구산은 1966년 이후 주석한 송광사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초기 정책을 실천하였다. 첫 번째는 송광사에 조계총림을 창설하여 도제를 양성한 일이다. 총림 창설은 정화운동 초기부터 제안되고 실시되었지만 미진하였다. 그 후 1965년 총림법 실행과 1965년 비구니 총림, 1967년 해인총림 창설에 관한 종책 입안에 참여하면서 송광사 총림 창설을 인식하게 되었다. 1969년 조계총림을 창설하며 修禪社 재건하였고 佛日會를 조직하여 외호 세력으로 삼았다. 그리고 3년의 결사를 3회 실시하여 많은 도제를 양성하였다. 두 번째는 불교현대화 정책에 맞게 7바라밀 운동으로 생활불교를 지향하였고, 세계 포교를 통해 한국불교의 국제화를 도모한 일이다. 구산은 어렵고 힘든 교리의 이해가 아닌 생활 속에서 불교를 실천하는 일을 불자의 올바른 길로 여겼다. 또한 세계 곳곳에 사찰을 세우고, 외국인 제자를 양성하며, 그리고 송광사에 불일국제선원을 세웠다. 이런 활동은 각국의 불교가 교류하여 一味를 이루어 세계를 포용하면 평등이 바탕이 된 세계평화가 이루어진다는 거시적 안목에서 나온 활동이었다. Ven. Gusan(1910-1983) was born in Namwon, Jeollabuk-do in 1910. He became a monk in 1937. At this time, the practice culture of Korean Buddhism was greatly deteriorating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 and Japanese Buddhism. Although the conditions were difficult, he tried to become a practitioner who upheld the traditions of Korean Buddhism. In 1946, Korean Buddhism established Mobeomchonglim,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onks, at Haeinsa Temple. This was to restore Korean Buddhism, which had been dama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usan participated in the Mobeomchonglim and took on various duties. This policy was suspended due to the June 25 Incident in 1950. Gusa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Jogye Order of modern Korean Buddhism. During the purification movement, he took on several responsibilities. In August 1955, he wrote a justification for the purification movement of Korean Buddhism with his own blood. These activ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Order of Korean Buddhism in 1962. Gusan stayed at Songgwangsa Temple since 1966. He implemented the early policies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t Songgwangsa Temple. First, it was the establishment of Jogye Chonglim at Songgwangsa Temple and the education of monks. Second, it presented a direction for practicing Buddhism in daily life. And he sought to internationalize Korean Buddhism through world missionary work. He thought that Buddhism practiced in daily life was the best activity. Gusan built many temples around the world. Many foreigners who learned from him became monks. An international Zen center was established at Songgwangsa Temple, allowing foreign monks to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자유·평화주의에 대한 연구

        김경집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4 No.-

        만해의 생애는 열강의 군국주의가 침탈하는 약육강식의 시대와 일제강점기에 걸쳐있다. 약소국가의 주권이 무시되고, 식민지 지배로 수탈당하며, 그리고 교육과 문화에서 차별당하는 생활이었다.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으로 1919년 3.1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하였다. 그는 옥중에서 한국과 같은 약소국가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독립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와 한국과 같은 약소국가가 세계열강과 공존하는 평화주의였다. 식민지 지배에서 오는 여러 고통을 지적하며 자유는 제한 없이 살아갈 수 있는 권리여서 우리 생활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며 인류가 존재하는 이유라 하였다. 평화는 인류가 행복할 수 있는 토대(土臺)이다. 그런 세계질서가 조성되려면 세계열강이 약소국가의 자유와 정체성을 인정하는 평화주의가 실천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옥중에서 만해는 약소국가의 한계로 직접적인 자유와 평화의 확보는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1921년 12월 출옥 후 정신적인 활동을 통해 자유를 수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추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민족적, 문화적 가치에 눈을 뜨면서 역사 자료의 수집과 전승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고유한 한국불교 문화를 대중들에게 알리는 것이 민족정신의 발전임을 인식하였다. 그 무렵 사회적 활동 역시 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독립을 지향하는 쪽으로 이루어졌다. 한국과 같은 약소국가가 평화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평화를 지향하는 국제정세, 이념 갈등의 해소, 그리고 사회구성원 간의 갈등 해소를 위한 당사자들의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런 여건이 조성되어야 약소국가 역시 그런 평화주의를 수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