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 -<京鄕雜誌> ‘古談’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김강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Aesop’s fable in Gasa style, focusing on the “Godam(古談)” column of the Kyunghyang Magazine. The “Godam” column is intended to convey lessons through fables, the content is Aesop's fable, but the form is a Gasa style. First, look at what aspects, there is the story and added lessons can be seen that having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content of the lesson, it was confirmed that several lessons were overlapped more than a single lesson in one story. The content of the lesson here is very critical, so social issues such as hi-color and foreign excursion have been presented. In regard to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narrative incompleteness of Aesop's Fable complemented by Gasa format. It can be seen that the Aesop's fable, an incomplete narrative form, and the stylized open-ended object have found their own contact points. 김강은, 2019,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 어문연구, 181 : 157~179 본고는 <京鄕雜誌>의 ‘古談’을 중심으로,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조망하였다. <京鄕雜誌>의 古談란은 우화를 통해 교훈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내용은 이솝우화이지만 형식은 4·4조의 가사체이다. 우선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면, 본 이야기와 추가된 교훈이 서로 연관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훈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한 이야기에서 단일한 교훈보다 여러 교훈들이 중첩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교훈의 내용은 매우 현실 비판적이었는데, 만국 유람과 상업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오로지 농업만을 강조하였다는 입장을 취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한편 양식적 특성과 관련해서는, 이솝우화가 가사 형식으로 변환되면서 독자의 이해를 더욱 원활하게 했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불완전한 서사 양식의 이솝우화와, 양식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사체가 나름의 접점을 찾은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홍길동전」의 번역과 고소설 변용의 정치적 의미 -이와야 사자나미(嚴谷小波)의 「구렁이의 꿈(大蛇の夢)」을 중심으로

        김강은 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2 No.-

        The article looked at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translation of modern classic novels through Hong Gil-Dong Jeon and The Dream of Giant Snake by Iwaya Sajanami. The Dream of Giant Snake was published in the 27th edition of Iwaya Sajanami’s Sekai Otogibunko(世界お伽文庫). Joseon’s Hong Gil-Dong Jeon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H. N. Allen, and it was translated into German by A. G. Arnauss, and the German version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by Iwaya Sajanami and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Dream of Giant Snake. Iwaya Sajanami introduced the work as the Otogibanashi(お伽噺) of Joseon, but changed the message of the work and the character shape of Hong Gil-Dong by arbitrarily transforming it rather than maintaining its unique atmosphere or plot. This is different from the German version of Arnaus, which Iwaya Sajanami used as the original translation. So the article looked first at the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Dream of Giant Snake and explored its political meaning. The result showed that unlike the German version that focused on discrimination and suffering that Hong received, The Dream of Giant Snake focused only on his heroic side of Hong Gil-dong. In particular, Hong Gil-dong appears only as a childish hero in The Dream of Giant Snake which is a part of the plot of Momotaro(桃太郞) which is also a representative work of Iwaya Sajanami. Especially considering that Iwaya Sajanami emphasized the annexation of Joseon and Japan to Japanese boys at this time, it is clear that The Dream of Giant Snake is not simply a work to “introduce” the Iwaya Sajanami to Joseon. In other words, The Dream of Giant Snake can be viewed as an event in which a classical novel of Joseon took on political significance through translation.

      • KCI등재

        <취미삼선록>의 시공간 구조와 파생작으로서의 의미

        김강은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2 No.-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space-time structure shown in Chumisamseonrok (翠微三仙錄) and its meaning as a derivative work. Chumisamseonrok took the form of a derivative work based on Okwhangibong (玉環奇逢), but showed an attempt to supplement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Okhwangibong. First of all, i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Okwhangibong that two narrative attitudes collided in one work, and that the conclusion did not expand the probability of the story while following the historical results. Accordingly, Chumisamseonrok shows an attempt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work and achieve the expectations of the readers. Chumisamseonrok makes the time and space loose, embodying only the case of the removal of Queen Kwak as a historical event, and builds a new time and space called Chumi Palace(翠微宮) within it, retracing past events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In Chumi Palace, the characters miss Queen Kwak as a member of the family, and furthermore, they want to reevaluate him. The work forms a bond of sympathy with the reader, assumes that 'if Queen Kwak had not been expelled', and connects private longing to public re-evaluation. In other words, the work uses the Chumi Palace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fixed past of expelling Queen Kwak. In this way, Chumisamseonrok creates a new narrative through complementary compromises of time and space, and this method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result of accepting and reproducing Okwhangibong. This is because the fictitious nature of 'Mandate of Heaven(天命)', which was a defect in the previous work, is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 of Chumi Palace, and an attempt is made to supplement it. Even if it is difficult to change or go against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work, it can be said to provide psychological compensation to readers by informing the flaws of the previous work and constructing a narrative that makes up for them.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Chumisamseonrok has significance as a criticism and reproduction of Okwhangibong. 본고는 <취미삼선록>에 나타난 시공간 구조의 양상과 파생작으로서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취미삼선록>은 <옥환기봉>을 원작으로 삼아 파생작의 형태를 취하면서도, <옥환기봉>이 지닌 구조상의 모순을 보완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먼저 <옥환기봉>은 한 작품 안에서 두 가지 서술 태도가 충돌하고, 결말에서는 역사적 결과를 따르면서도 이야기의 개연성을 확충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취미삼선록>에서는 전작의 문제를 보완하고 독자의 기대지평을 달성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먼저 <취미삼선록>은 느슨한 시공간을 구현하며 곽후 폐출만을 역사적 사건으로 형상화하고, 그 안에 취미궁이라는 새로운 시공간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사건을 되짚는다. 취미궁에서 작품은 가족의 일원으로서 곽후를 그리워하고, 나아가 그에 대한 재평가를 이루어내고자 한다. 독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곽후가 폐출되지 않았더라면’이라고 가정하고, 사적인 그리움을 공적인 재평가로 연결하는 것이다. 즉 작품은 곽후 폐출이라는 고정적 과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형태로 취미궁을 활용한다. 이렇듯 <취미삼선록>은 시공간 차원에서의 보완 절충을 통해 새로운 서사를 창출하는데, 이는 <옥환기봉>을 수용하고 재생산한 결과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취미궁의 서사를 통해 전작의 결함이었던 천명의 허구성이 드러나고, 그에 대한 보완이 시도되기 때문이다. 이는 전작의 내용을 바꾸거나 거스르기는 어렵더라도, 전작의 결함을 알려주고 만회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심리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취미삼선록>은 <옥환기봉>에 대한 비평과 재생산으로서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서해 영해기점도서 격렬비열도등대 활용방안

        김강은,한재식,최수봉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추계

        최근 서해지역 영해기점도서인 격렬비열도 인근 해상에 중국어선 불법어업이 증가되고 있으며, 인천 평택 대산항의 입출항 선박의 주요 관문로에 위치하고 있어 국토 최서단에 위치한 격렬비열도등대 기능을 강화하여 통항선박의 안전항행 유도, 불법어선 감시, 영토지킴이, 기상악화 시 어민들의 수난 구호기지 역할 수행 및 해양 기상관측시설물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반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규창본 <강로전> 한역(漢譯)의 의미

        김강은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For many researchers who study novel,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novels has been an issue of interest. Among the classical novels, translating Korean novel into Chinese character has been dealt as a considerably exceptional phenomenon. By reviewing Haewongoon(海原君) Lee Geon(李健)’s <Gangrojeon> in 『Gyuchangyoogo(葵窓遺稿)』, this article tried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held by the work and Lee Geon’s purpose of the transl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this work is regarded to be placed in between ‘story’ and ‘fact’ unlike other texts. The deleted part where the narrator evaluates the characters, which previously did exist in the original work, the additional description about the places used in the work, and few other features could be seen as an intentional removal of the novel-lik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However, seen from the colloquial expressions and frequent errors in proper nouns, we could see that it failed to establish it’s place as a complete historical record. Taking these aspects into account, we could infer that this work was more of a personal output for the translator himself, rather than a public record for specific r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ype of work could be interpreted by connecting with the life of Lee Geon. Lee Geon was a figure from Injo’s generation who was sent into exile for treason then released. Continuing to pledge fidelity, he was living an unstable life, not knowing when to be accused of treason again. He was proving himself that he was now honorable by translating and rewriting the story of traitor Gang Heung Lib. Moreover, he implies that his father In Seong Gun had wrongfully died by partly modifying the story regarding Gang Heung Lib’s punishment. In other words, for Lee Geon, 「Gangrojeon」 was a reading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a method to complain about the injustice he experienced through ‘writing’. 고소설의 표기문자 전환은 이전부터 소설 연구자들의 관심 대상이었으며, 그중에서도 한역(漢譯)은 고소설의 주요 향유층으로 미루어볼 때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으로 다루어졌다. 본고는 이러한 고소설의 한역 사례로 해원군(海原君) 이건(李健)의 『규창유고(葵窓遺稿)』에 수록되어있는 <강로전>을 검토함으로써, 규창본 <강로전>이 지니는 특징과 이건의 한역 의도를 추론해보았다. 타 이본과 달리 규창본 <강로전>은 구조나 표현상 ‘이야기’와 ‘기록’의 중간 단계에 위치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원작 계열에는 존재하던 말미의 평결부가 삭제된 것이나 지명에 대한 부연 설명 등은 작품의 전기소설적 면모를 의도적으로 제거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구어체적 표현과 고유명사에서의 잦은 오기로 볼 때 완전한 역사 기록으로는 자리 잡지 못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규창본의 한역은 독자를 상정한 공개적인 기록보다는, 역자 스스로를 위한 사적인 결과물이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규창본의 특징은 역자인 이건의 삶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규창본의 역자 이건은 인조 대의 인물로, 역모죄로 유배되었다 풀려난 과거를 지니고 있다. 그는 계속해서 충성을 맹세하면서도, 언제 다시 역모죄로 몰릴지 알 수 없는 불안한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적 강홍립의 이야기를 번역하고 다시 쓰는 과정은, 자신이 이제 떳떳한 위치에 있음을 스스로에게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강홍립의 처벌과 관련하여 내용을 일부 개삭(改槊)함으로써, 자신의 아버지 인성군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음을 은연중에 호소하기도 한다. 즉 이건에게 <강로전>은 독서물이면서 동시에 ‘쓰는 체험으로써’ 자신의 면면을 호소하는 수단인 것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간 역사물의 서술 방식과 그 의미 - 임진왜란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

        김강은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4

        This paper examined the narrative method of private historical materi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Sojunghwa Yeokdaeseol(小中華歷代 說)>, <Dongguk Sagi(東國史記)>, and <Hanyang Obaeknyun-ga(漢陽五百年 歌)>. All three works claim to be “historicals.” It did not just record historical events, but tried to provide readers’ interests. Therefore, in Chapter 2, how they tried to combine historical facts and literary aspects as historical works, and Chapter 3 focused on analyzing the Imjin War(壬辰倭亂) as a more detailed exampl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y tried to establish reliability as a historical book by listing the same type of information while providing basic facts such as the birth year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ommon. However, the work focuses on showing various historical events, and even in the same Imjin War(壬辰倭亂), each work took a different way of development. In <Sojunghwa Yeokdaeseol(小中華歷代說)>, the Imjin War was depicted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will of heaven and the meritorious service against it, and <Dongguk Sagi(東國史記)> was described as a story of responsibility and twists and turns centered on ancestors. On the other hand, <Hanyang Obaeknyun-ga(漢陽五百年歌)> aimed for an attractive narrative by expanding and making certain episodes during the war long and dramatic.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 works have similar work systems, but they structure events in different ways. Based on these discussions, Chapter 4 examined the meaning of privat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The three works have been evaluated as insufficient in terms of records and literatur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both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tory and the insertion of unnecessary historical information were the results of improving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enjoyment class. Loose storytelling was used in a way that considers the convenience of the enjoyment class as much as possible to satisfy the pride or desire for knowledge that devours history. As such, private historical materials need to be viewed anew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beyond the scope of existing records and literature. 본고는 <소중화역대설>, <동국사기>, <한양오백년가>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민간 역사물의 서술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작품은 모두 ‘역사물’을표방하면서도. 단순히 역사적 사건만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독자의 흥밋거리를제공하려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장에서 이들이 역사물로서 어떻게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측면을 조합하려 하였는지 살펴보고, 3장에서는 더 상세한 사례로 임진왜란 부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인물의 생몰년이나 지리 정보 등 기본적인사실을 제공하면서도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나열하여 역사서로서의 신뢰성을확립하려고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작 본격적인 이야기에 접어들면 민간 역사물들은 다양한 사건을 보여주는 데 집중하는데, 같은 임진왜란이더라도 작품마다 각기 다른 방식의 전개를 취하였다. <소중화역대설>에서는 임진왜란을 하늘의 뜻과 이에 대항하는 공신의 대립으로 그려내었고, <동국사기>는 선조를 중심으로 한 책임론을 강조하는 한편 나약한 군주의 모습을표현하였다. 한편 <한양오백년가>에서는 특정 에피소드를 길게 확장하고 극적으로 만듦으로써 흡입력 있는 서술을 지향하였다. 이렇듯 세 작품은 유사한작품 체제를 지니면서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구좌한다는 점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서술 방식의 측면에서 민간 역사물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작품은 그동안 기록적 측면에서나 문예적 측면에서나 미흡한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야기의 구조가 단순화된 것이나 불필요한 역사 정보가 삽입된 것은 모두 향유층과의 상호 소통성을 제고하기 위한 결과라 할 수 있었다. 역사를 탐독한다는 독자의 자부심 혹은 지식 욕구의 충족을 위해, 향유층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하는 방식으로 느슨한 서사를 지향한 것이다. 이처럼 민간 역사물은 기존의기록과 문예의 범주를 넘어, 조선 후기 국문 향유층의 교양 욕구와 더불어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육염기>의 문제적 가족 서사와 역사 이해의 모색

        김강은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9

        이 글에서는 명 개국 공신 서달과 그의 여섯 딸의 이야기를 다룬 <육염기>를 중심으로, 작품에 나타난 문제적 가족 서사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육염기>의 작자는 명 초기의 실존 인물들과 서달의 딸들을 혼인시키고. 딸들의 행적을 통해 명 초기의 역사 흐름을 소개하는 옴니버스 방식으로 서사를 구성한다. <육염기>의 특이한 점으로는 서사의 분절과 가족 관계의 파편화를 들 수 있는데, 전체 13회 중 6회까지는 서달 가족이 화락하는 모습이 드러나는 반면 7회부터는 정난지변의 전개와 그로 인한 비극이 구체화된다. 또 자매간의 관계를 단절하여 파편화된 가족 관계를 구성하는 한편, 특정한 가족 구성원을 통해 가족 의식의 잔존을 보여주기도 한다. 명 초기의 역사 인물들을 한 가족 안에 넣어 놓고 마치 가족이 해체된 듯한 비극을 그리면서도, 가족 서사라는 구성 자체는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육염기>의 문제적 가족 서사가 갖는 의미는 작품에서 전면화되는 사건인 정난지변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육염기>에서 여섯 딸 중 세 쌍의 부부가 죽거나 폐위되는 비극은 정난지변의 전개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작품은 자녀 세대의 갈등이 본격화되기 전에도 영일루와 명월루를 통해 경쟁 관계를 구축하는데, 여기서 가족의 파편화는 여섯 딸들이 서로를 손쉽게 적대시하는 조건으로 기능한다. 표면적으로는 서달 가족의 화락을 그려내지만, 딸들이 서로를 비판하거나 적대하도록 만듦으로써 비극적인 서사의 단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육염기>는 왕부인과 광염처럼 정난지변의 혼란에서 벗어난 인물들의 시선에 주목하여 자녀 세대의 비극을 가족 서사로 재사유하도록 이끈다. 즉 <육염기>는 가족 서사를 수단으로 하여 명 초기의 역사 흐름을 이해하면서도, 숙명적 비극으로 정난지변을 인식하고 이를 구체화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tory of Ming founding official Seo-dal and his six daughters in Yukyeomgi, focusing on the problematic family narrative depicted in the work and its significance. The author of Yukyeomgi marries off the daughters to real historical figures from early Ming(明) and introduces the historical flow of the early Ming through an omnibus style narrative based on the daughters' actions. A distinctive feature of Yukyeomgi is the segmentation of the narrative and the fragmentation of family relationships. While the first six episodes show the harmonious interactions of the Seo-dal family, from the seventh episode onwards, the development of the Jingnan Campaign(靖難之變) and the resulting tragedies are detailed. Additionally, by severing the sisters' relationships and forming fragmented family connections, while still showing the remnants of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specific family members, the work portrays a tragedy as if the family has disintegrated, yet does not abandon the family narrative structure. The significance of the problematic family narrative in Yukyeomgi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Jingnan Campaign, a prominent event in the work. The tragedy of three pairs of the six daughters dying or being deposed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the Jingnan Campaign. The work builds competitive relationships through structures like Yongilru and Myeongwolru even before the children's generation conflicts intensify, where the fragmentation of the family functions as a condition for the daughters to easily antagonize each other. Superficially depicting the harmony of the Seo-dal family, the daughters are set against each other, laying the groundwork for a tragic narrative. Yukyeomgi focuses on the perspectives of characters like the Mrs. Wang and Gwangyeom, who are removed from the chaos of the Jingnan Campaign, leading to a reconsideration of the children's generation's tragedies as part of the family narrative. Thus, Yukyeomgi uses the family narrative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low of early Ming while recognizing the Jingnan Campaign as a destined tragedy and concretizing it in the work.

      • KCI등재

        APPROXIMATING COMMON FIXED POINTS FOR TOTAL ASYMPTOTICALLY NONEXPANSIVE MAPPINGS

        김강은 한국전산응용수학회 2012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Vol.30 No.1

        In this paper, we ¯rst show the weak convergence of the modi-fied Ishikawa iteration process with errors of two total asymptotically non-expansive mappings, which generalizes the result due to Khan and Fukhar-ud-din [1]. Next, we show the strong convergence of the modi¯ed Ishikawa iteration process with errors of two total asymptotically nonexpansive map-pings satisfying Condition (A'), which generalizes the result due to Fukhar-ud-din and Khan [2].

      • KCI등재

        Optimized Metavirome Analysis of Marine DNA Virus Communities for Taxonomic Profiling

        김강은,정승원,박준상,김현정,이철영,하선용,이택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2 Ocean science journal Vol.57 No.2

        Recent advances in metavirome technology have provided new insights into viral diversity and function. The bioinformatic process of metavirome study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or three) steps: assembly and taxonomic profiling including nucleotide alignment. Moreover, k-mer size and contig length are known to considerably affect the results of the assembly and consequently those of taxonomic profiling; however, the optimal k-mer size and contig length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marine virus DNA datasets with three different k-mer sizes using different assemblers: 1 k-mer (20) in the CLC Genomics Workbench, and 4 (21, 33, 55, and 77) and 5 (21, 33, 55, 77, and 99) k-mers in metaSPAdes. The use of large k-mers had the advantage of resolving more repeat regions, with higher N50 values and average contig lengths. The contig length helps reduce the error of continuous sequences and determine the number of viral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ur analysis suggested that 300 bp may be an appropriate minimum contig length,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al samples. Based on the assembly result using metaSPAdes, we analyzed the DNA virus community using three taxonomic profiling tools: MG-RAST online server, the taxonomic profiling tools function in the CLC microbial module, and customized taxonomic assignment coding (CUTAXAC) using RStudio based on the BLASTn analysis. CUTAXAC showed the most diverse viral composition at the family and species levels along with the highest Shannon diversity index and fastest analysis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