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통합의 개념, 철학, 사회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전문가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정순둘,기지혜,최혜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본 연구는 연령통합 개념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문가의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탐색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노인과 연령차별 등에 대한 관심을 가진 전문가 31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델파이조사와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통합은 다른 연령간의 상호이해와 존중의 개념으로 이해되었으며, 이 개념은 노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연령층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통합의 철학적 근거는 공존, 사회통합, 인간존중이었으며, 연령통합의 사회적 영향은 사회연대, 세대 간 사회관계 증진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차원에서 연령통합의 긍정적 영향은 사회참여 기회와 삶에 대한 자율성 증가이고, 부정적 영향은 노인의 노동이 시간제 노동으로 고착되거나 능력이 없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 측면으로 나타났다. 연령통합이 이루어지더라도 현재와 같은 연령별 역할기대는 소멸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령통합의 아이디어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ctual concept,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age integration, and its social impacts. Thirty one experts of gerontology were chose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3 to August 2013. For this purpose, delphi study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xpert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both conducted. As a result,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was appeared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among various age groups, which was not just for the elderly but for all ages. Age integration was philosophically based on coexistence, social integration and respecting individuals, was appeared to strengthen social solidarity and to enhanc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For individuals the positive impacts of age integration were revealed to be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utonomy in their own life. The negative impacts were found for older people to remain locked into part time job and there is much possibility of social exclusion for older people with no ability. It is predicted that role expectations as we know it today would not be disappeared even at the age integrated surroundings.

      • KCI등재후보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

        정순둘,기지혜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1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derly people’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flood disasters in Gangwon province, which is mainly devastated by flood disasters, and seeking to the coping strategy against vulnerability of disaster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A total of 183 elderly people aged 60 and over who were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d by flood disasters of 2006 in Pyung-chang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saster experiences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of disaster among them. Although elderly women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flood disasters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are less knowledgeable than elderly men in disaster attacks and they have appeared to have low coping skills. This study showed that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elderly men and they have low income comparing to the elderly men. In conclusion, elderly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a most vulnerable group to the disaster and gender-based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in disaster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해지역인 강원도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성별로 비교해 본 후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노인의 재해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6년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의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83명을 대상으로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수해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재해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재해재발인식수준이 높았지만 실제 재해발생에 대한 지식이나 대응능력은 남성노인보다 낮았다. 또한 학력이 낮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무배우자의 혼자 사는 여성노인이 많이 이들을 재난취약집단으로 간주하고 성별을 고려하는 적합한 대응체제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령통합척도 개발 및 타당성 연구

        정순둘 ( Chung Soondool ),이은진 ( Lee Eunjin ),기지혜 ( Ki Jeehye ),최혜지 ( Choi Hye-j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연령통합의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고 전문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연령통합 현상을 나타내는 다차원적인 문항으로 예비문항 33개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시도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33개의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전체 문항 간 상관관계가 낮은 1개 문항을 제거한 후 32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개 요인의 28개 문항이 최종적으로 연령통합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지역사회에서의 세대교류, 연령무관한 고용 및 사회보장제도, 연령무관한 사회참여의 기회, 가족 내 세대교류, 고령친화 인프라 등 5개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는 연령통합의 개념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한 척도의 검증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of experts in the area of social work and gerontology were conducted to develop 33 preliminary questions of age integration with various levels. A total of 700 people (male:350, female:350) over the age of 45 wer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o validate this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e of the 33 questions was deleted as it was found to have low correlations with all the other question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final 32 questions, 5 factors composed of 28 items were extracted: `cross generational interaction in community`, `age-irrelevant opportunity in the employment and benefits of social security systems`, `age-irrelevant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cross generational interaction with family`, and `age-friendly infrastructur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ge integration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has proved valid to measure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cale.

      • KCI등재

        연구논문 :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순둘 ( Soondool Chung ),박애리 ( Aely Park ),기지혜 ( Jeehye K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의 지속 여부에 따라 손자녀 돌봄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1차년도(2005년)에 만 50세 이상의 가구원 중 4차년도(2011년) 조사까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를 개인별로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손자녀 돌봄은 종단적으로 돌봄지속, 돌봄중단, 돌봄전이, 비돌봄의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비돌봄 노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돌봄중단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전이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연령층에 따라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중년층에서만 나타났으며, 돌봄전이와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또한 중년층에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을 경험한 조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손자녀 돌봄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제고방안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tterns of grandparenting role on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data were utilized. In this study grandparents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indicating duration of care for their grandchildren-those who were continuously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were low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Also,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were higher levels of family-relationship-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The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only discovered among grandparents under 65 and grandmothers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showed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e discuss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the grandparenting roles for grandparents` health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