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역신문의 지속적 구독의도 및 유료 온라인 뉴스 콘텐츠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금현수(Hyun Soo Keum),이화행(Hwa Haeng Lee),이정기(Jeong Ki Lee)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3

        The local newspapers are confronting a crisis. to suggest a solution which may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 on explaining causal relations among localisms, regional Identity as an environmental variables, local newspaper motive and evaluation of newsworthiness as an personal variables, psychosocial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s and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ing paid online news contents and subscription of local newspaper.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motivations for using the local newspaper were divided into two motives as information & to support daily life, habit & passtime. The effective variables discovered from the local newspaper subscription intention showed five main variables as attitude, information & to support daily life, habit & passtime, objectivity and cognitive integration. Similarly, the influential variables factoring the intention to using paid online news contents were influenced by four variables as attitude, subjective norm, habit & passtime, emotional ties & involvement. In conclusion, The practical suggestions whi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been made for overcoming the crisis.

      • Single Source Dual Energy CT를 이용한 금속성 인공음영(Metal Artifact) 감소기법에 대한 연구

        장기철(Hyun Soo Keum),금현수(Ki Cheol Jang),최진(Jin Choi),이지현(Ji Hun Lee),이병욱(Byung Wook Lee),서재수(Jae Soo Seo),김원석(Won Seok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1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3 No.1

        목 적 기존의 polychromatic X-ray인 kVp방식이 아닌 single source dual energy CT를 이용하여 monochromatic X-ray인 keV방식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척추경 나사의 금속성 인공음영이 감소된 CT영상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GE Healthcare사의 Discovery CT 750 HD를 사용하였고, 동물실험에 사용된 조건은 관전압 80 kVp와 140 kVp, 관전류 630 mA, standard kernel, detector collimation 20 mm, slice thickness 1.25 mm, rotation time 0.6 sec, medium FOV로 고정하고, recon mode를 monochromatic mode와 metal artifact reduction mode로 변경하고 pitch를 0.51 : 1, 0.98 : 1, 1.37 : 1로 변경하여 교차실험 하였다. 실험은 돼지의 요추 3번 부위에 2개의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고 촬영한 후 영상의 인공음영 감소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한 부위를 반복실험 하였으며, 실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17.0한글판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Single source dual energy CT를 이용하여 단색 방사선인 keV monochromic image을 획득하면 척추경 나사의 금속성 인공음영을 감소시킨 CT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recon mode는 monochromatic영상이 metal artifact reduction영상보다 판독하기에 더 적합 하였다. 영상의학과 전문의 5명에게 의뢰한 화질 평가 결과 110 keV monochromatic 영상을 선택한 수가 3명으로 가장 많았고, 100 keV와 120 keV monochromatic 영상을 선택한 수는 각각 1명이었다. Pitch변화에 따른 영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kVp방식으로 얻은 영상보다 금속성 인공음영이 감소된 monochromatic 영상으로 만든 3D VR영상의 화질이 더욱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Single source dual energy CT는 kVp와 mAs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피폭선량이 기존 장비에 비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촬영조건 조절을 위한 기술개발과 이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 CT image which reduce metal artifact of pedicle screw by obtaining a image of monochromatic keV method that use not original polychromatic kVp but Single Source Dual Energy CT. Ⅱ.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Discovery CT 750 HD by GE company. The used conditions for animal experiment were that we setted 80 kVp and 140 kVp for tube voltage, 630 mA standard kernel detector collimation 20 mm for Tube Current, 1.25 mm, rotation time 0.6 sec, medium FOV for slice thickness and changed recon mode into monochromatic mode and metal artifact reduction mode, pitch into 0.51 : 1, 0.98 : 1, 1.37 : 1. We analyzed the degree of metal artifact reduction after insertion two pedicle screws in 3rd lumbar of pigs and then taking a photograph. We used SPSS 17.0 korean version for sure statistical difference. Ⅲ. Results We could achieve a CT image which reduced metal artifact of pedicle screw. In case of recon mode, monochromatic image is more proper than MAR image to read. The results of the picture quality assessment which consulted 5 radiologist were that 3 specialist selected 110 keV monochromatic image, 2 selected 100 keV and 120 monochromatic image,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f image according to Pitch chang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ly. It was more good picture quality 3D VR image which made from monochromatic image that is reduced metal artifact than a image from original kVp method. Ⅳ. Conclusion We could not control Single Source Dual Energy CT because of settled kVp and mAs. So it was disadvantage of much exposure dose compared with original equipment. Therefore it is need to study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control of scan parameter and reduction exposure dose.

      • KCI등재

        청상견통탕(淸上甄痛湯))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강상렬,권형수,금현수,강승준,박치상,박창국,이은주,Kang, Sang-Yeol,Kwon, Hyung-Su,Keum, Hyun-Soo,Kang, Seoung-Jun,Park, Chi-Sang,Park, Chang-Gook,Lee, Eun-Ju 대한한방내과학회 2000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1 No.3

        Objective : In order to study effects of Chungsanggyuntong-tang on Hyperlipidemia which cause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erebral vascular disease and Ischemic heart disease Methods : The changes of serum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body weight and organ weight were observed after the liquid extracts of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and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were administered p.o to the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1% cholesterol diet for 10, 20 and 30 days. Results : The food consumption and the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Chungsanggyuntong-ta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xcept Double-dosage 30days. The contents of total lipi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for 20, 30 days, but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were decreased in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and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for 10, 30 days, but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for 10 day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Chungsanggyuntong-tang group for 10 and 30 day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liver and spleen we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e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liver, spleen and kidne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 It was thought that Sing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and Double-dosage Chungsanggyuntong-tang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Hyperlipidemia.

      • KCI등재

        방송뉴스의 ‘군(軍) 폭력’ 관련 보도가 시청자들의 인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기(Lee, Jeong-Ki),김영수(Kim,Young-Soo),박경우(Park, Kyung-Woo),금현수(Keum, Hyun 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이 연구는 1차적으로 방송뉴스의 군 폭력 관련 보도가 시청자들의 군 폭력 심각성 인식, 군 폭력 증감인식, 위험 인식, 군 인권 보호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문화계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2차적으로는 군대 경험, 성별에 따른 공명효과가 나타나게 될 것인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문화계발효과는 검증되었다. 둘째, 공명효과는 역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남성중 20대 대학생은 40대 이상의 연령대에 비해 언어폭력, 육체폭력, 가혹행위, 자살, 사고사, 성추행 등 경험이 상대적으로 쉬운 이슈에서만 유의미하게 심각성 인식, 피해 가능성 인식이 더 높았다. 한편, 부모의 군대 간접 경험 여부에 따른 군 폭력 심각성 인식, 피해 가능성 인식, 군 폭력 증감 인식, 군 인권보호 행동의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거브너 학파의 주장처럼 수용자들은 TV를 통해 군 폭력이라는 위험보도에 노출되었을 때, 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그들의 주장과 달리 군 폭력 보도가 경험된 이슈였을 때보다 경험되지 않은 이슈였을 때 위험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공명효과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군대 경험이라는 상황 속에서도 경험의 강도, 피해의 용이성 등을 고려한 한국적 현실의 2차 공명효과가 형성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ree research issues. Firstly,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cultivation effect of the military violence news on the audience"s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concerning the violence in the military. Secondly, the researchers tested the resonance effect based on military experience and gender. The results showed cultivation effect occurred in the case of military violence reports in the broadcasting media. But, the resonance effect was the opposite of what was expected. Young male viewer, who are in their 20s, showed higher level of concerns than those who are over 40 in some frequently occurring military violence issues such as verb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busive behavior, suicide, accidental death, and sexual harassment. Indirect military experience such as being a parent of soldier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resonance effect among male viewers.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pported Gerbner"s cultivation theory in general. But, in the case of military violence reports in the media, people seem to be scared more of what they didn"t directly experience than what they experienced or observed. The results implied that resonance process could be influenced by indirect experience (second level resonance) and second level resonance could override the impact of original resonance effect in a certain circumstance.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지역방송에 대한 평가에 따른 지역방송 발전전략의 모색

        이정기(Jeong-Ki, Lee),김영수(Young-Soo, Kim),최진호(Jin-Ho, Choi),금현수(Hyun-Soo, Keum),상윤모(Yoon-mo, Sang),姜京守(Kyoung-soo, K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3

        이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방송 이용(비이용) 이유를 조사하고 지역방송에 대한 평가를 수행케하여 젊은층의 지역방송 이용행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방송 이용 이유는 지역특화 콘텐츠 이용, 자연스러운 노출효과, 지역뉴스 유용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방송 애착이유는 지역민의 알권리 보장/지역문제 해결, 지역방송에 대한 친밀성, 오프라인 행사와의 연계, 채널 브랜드에 대한 신뢰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방송의 역할인식으로 가장 많은 응답은 지역뉴스 매체 기능, 주민 간 소통과 공동체 회복에 기여, 지방자치단체 견제, 감시 기능 등의 순이었다. 넷째, 지역방송에서 강화해야할 콘텐츠는 심층 시사보도, 오락/흥미성 강화 콘텐츠, 지역 킬러 콘텐츠 등이었고, 지역방송의 지역성 반영을 위해서는 지역민과의 소통 창구 구축/참여확대/욕구파악, 로컬 콘텐츠 다양성 확보, 지역 시사보도 강화, 정보오락성 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생들의 지역방송 유입을 위해서는 20대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지역 특화 콘텐츠 제작, 유통이 필요하고, 오락 프로그램의 흥미성과 뉴스/정보 프로그램의 저널리즘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낼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방송이 지역이기주의적 보도, 정파적 보도를 지양하되 전국방송이 다룰 수 없는 지역의 문제를 심층적, 탐사적, 연속적으로 다루려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in the Busan area for the reasons why they used (or did not use) local broadcasting and have them evaluate local broadcasting, thus searching for strategies to encourage the use of local broadcasting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why they used local broadcasting were using specialized local content and expecting natural exposure effects. Secondly, the functions of local news media were mentioned as the first role perception of local broadcasting by the college students, being followed by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and contribution to community recovery and the monitoring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at order. Finally, the respondents said that local broadcasting should reinforce its content in the in-depth coverage of current events, entertainment/fun programs, and local killer content. They mentioned a need to build a communication window for local residents, expand their participation, and examine their needs along with the securing of diversity in local content so that local broadcasting could reflect locality in it. In short, local broadcasting needs to produce and distribute specialized local content to appeal to the young generation in their twenties and catch two birds with one stone including the fun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 journalism of news/information programs so that it can attract college students to its programs. It also needs to abstain from regional self-centered reports and party relations-inclined reports and try to cover local issues that the national broadcasting stations cannot deal with in an in-depth, exploratory, and continuous manner.

      • KCI등재

        군대 폭력 뉴스 시청과 사회심리적 속성이 군 인권보호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찰

        이정기(Lee, Jeong-Ki),黃于恬(Huang, Yu-Tien),금현수(Keum, Hyun-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군 폭력 문제는 언론 보도가 있기 전까지 공론화되기 어려운 이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한 다양한 조치가 강구되고 있다. 다만, 남성은 여성에 비해 이러한 조치에 찬성하는 비율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그럴까. 이러한 의문에서 이 연구는 남성의 군 인권보호(군 폭력 방지)를 위한 정책에 동의하는 지지행동(온·오프라인 서명 등)의도 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동일한 남성이면서도 군대를 경험한 기간이 짧은(혹은 입대 예정인) 20대 대학생들과 대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 사이의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대학생들의 경우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인식, 그리고 군 인권보호정책지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또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태도는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행위통제 역시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20대를 자녀로 둔 학부모들의 경우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인식, 그리고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체의 자유는 태도에, 태도는 주관적 규범과 함께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 Violence in the military was one of the issues that were difficult to enhance publicity until there was media coverage, and variou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improve this issue. However, it is said the ratio of male group in favor of such measure is fewer than females. Why?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the decision factors of behavioral support(on/off line signature, etc) for human rights protection(prevention in the military violence) of males in the military. Specially,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behavioral intention of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between 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experienced military for short period of time(or those who are going to enlist in the army) and parents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static effect on recognition on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and positive recognition(attitude) on policy support of human rights protection. Also,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made static effect on attitude. Moreover, attitude made static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Perceived behavior control also made static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Secondly, for parents of children in their 20’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static effect on recognition on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and their attitude. Right to liberty made effect on attitude and attitude made effect on the subjective norm as well as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Meaning,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ecision factors of policy support of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hav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f media strategy and campaign strategy to elicit policy support behavior of men of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Volume CT를 이용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Auto Exposure와 Manual Exposure의 선량비교

        강동기(Dong ki Kang),이병욱(Byung Wook Lee),금현수(Hyun Soo Keum),장기철(Ki Cheol Jang),최진(Jin Choi)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Volume CT를 이용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장비에 설정된 Auto Exposure와 사용자가 설정한 Manual Exposure방식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의 피폭선량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Auto Exposure로 검사할 시 Heart Rate(HR)가 높으면 scan을 2~3회 정도하기 때문에 피폭선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HR가 높아도 Manual Exposure를 이용하여 1회 scan할 경우와 비교하여 검사의 실패율과 피폭선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 2일부터 2012년 2월29일까지 종합검진과 외래환자 중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Auto Exposure 50명, Manual Exposure 50명을 실험하였으며, 성별분포는 남자 59명, 여자 41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55.3±10.6세였다. 장비는 Aquilion ONE Cardiac Volume Scan 640MS(Toshiba, Japan)을 사용하였고 검사에 적용한 기준은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검사 전 심장박동을 Triggering하여 HR가 65 bpm 이하는 실험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영상 재구성은 R-R간격 30~80% 구간 중 수축기말(End Systolic)과 확장기말(End Diastolic)을기준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화질을 평가하였다. Auto Exposure방식일 때는 HR에 따라 2beat, 3beat scan방식을 사용하였고 Manual Exposure방식 일 때는 1beat scan방식만을 사용하여 검사 후 영상 재구성과 피폭선량을 조사하였다. 피폭선량은 검사 후에 제시되는 선량보고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SPSS) 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실패율은 총 100건 중 5건(5%)이었으며 각각 Auto Exposure 50명 중 2명(4%), Manual Exposure 50명 중 3명(6%)이었다. 두 집단간의 검사실패율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65(p 〉0.05)로 두 집단간의 검사 실패율은 차이가 없었다. Auto Exposure와 Manual Exposure의 피폭선량 DLP값을 분석한 결과 Auto Exposure에서는 413.5±259.4 mGy·cm, Manual Exposure에서는 97.9±66.1 mGy·cm로 두집단간의 피폭선량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유의확률이 0.000(p〈 0.05)으로 두 집단간의 피폭선량은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방법을 비교했을 때 Manual Exposure방식이 Auto Exposure방식 보다 피폭선량이 76.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Volume CT를 이용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장비에 설정된 Auto Exposure방식과 사용자가 지정하여 Manual Exposure하는 방식 간에 검사 실패율은 차이가 없었다. Auto Exposure와 Manual Exposure방식으로 실험대상을 검사하여 얻은 영상을 영상의학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화질을 평가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검사 시 장비에 설정된 Auto Exposure방식을 사용하면 HR가 65 bpm 이상이면 2beat scan을 하고 HR가 85 이상일 때는 3beat로 Scan을 하는데, HR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지정하여 Manual Exposure로 1beat scan을 해도 검사실패율의 차이 없이 피폭선량을 76.4% 감소시킬 수 있었다. HR가 70 bpm 이상일 때는 Systolic 구간에서 영상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Diastolic 구간보다 화질이 떨어지고 Cardiac Modulation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BMI지수가 31 이상일 때는 화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BMI지수가 31 이상일 때는 Cardiac Modulation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Manual로 mA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Volume CT를 이용하면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에서 기존에 검사가 불가능했던 높은 HR에서도 검사가 가능하지만 낮은 HR보다 화질은 저하된다. Volume CT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검사 시 Auto Exposure보다 Manual Exposure 방식이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다.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Exposure dose of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by comparing Exposure dose of Auto Exposure that was setted in the equipment with Exposure dose of Manual Exposure that the user sets when we use volume CT. Exposure dose would be increased because we scan two or three times, if heart rate (HR) of the patient is high when we test a patient by Auto Exposure. Therefore, we try to know the difference of Exposure dose and a failure rate of the test when we test a patient by Manual Exposure and scan only one time though HR of the patient is high. Ⅱ.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00 adults who visit the hospital in outpatient and for a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from 2, Jan to 29, Feb, 2012. W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50 adults for Auto Exposure, the other group is 50 adults for Manual Exposure. Of these patients, 59 were men and 41 were women. The average of ages was 55.3±10.6. We excluded a patient had below HR 65 bpm by triggering heartbeat before we tested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The equipment was used by Aquilion ONE Cardiac Volume Scan 640MS (Toshiba, Japan). We reconstructed the images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images based on End Systolic and End Diastolic in 30~80% of R-R interval. We tested by using one beat, two beat, and three beat scan method depending on HR in Auto Exposure mode and just one beat scan method in Manual Exposure mode, and then we reconstructed the images and investigated Exposure Dose. We used Dose report data coming out the test and measured Exposure dose. We analysed using PASW Statistics (SPSS) Ver. 18.0. Ⅲ. Results The failure rates of test were 5 (5%) of 100, Auto Exposure and Manual Exposure showed 3 (6%) of 50 and 2 (4%) of 5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about the failure rates of test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As a result of analysing Exposure dose of Auto exposure and of Manual Exposure, Auto exposure had 413.5±259.4 mGy·cm and Manual Exposure had 97.9±66.1 mGy·cm. That mea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osure dose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when we compared two kinds of test method, Exposure Dose would be reduced as much as 76.4% in Manual Exposure method than in Auto Exposure method. Ⅳ.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failure rate of test between Auto Exposure method that was setted in the equipment and Manual Exposure method that the user sets in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using Volume CT. The images coming out Auto Exposure and Manual Exposure method were referred to Radiologists and evaluat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f we use Auto Exposure method in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we should do 2 beat scan when a patient have above HR 65 bpm and 3 beat scan when a patient have above HR 85 bpm. However, we could reduce Exposure dose as much as 76.4% when we use Manual Exposure and do 1 beat scan regardless of HR without difference of failure rate of test. We should reconstruct the images in Systolic period when HR of a patient is above 70 bpm, so the quality of images would get going down because of using Cardiac Modulation function if BMI index is above 31. Therefore, we need to set mA in Manual when BMI index is above 31 and we don’t use Cardiac Modulation function instead. It gets possible to test when there is high HR of a patient which it had been impossible before in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when we use Volume CT, but the quality of images go down. The Manual Exposure method can reduce Exposure dose in 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by using Volume CT.

      • Stent가 삽입된 관상동맥 CT영상에서 재구성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른 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지훈(Ji Hoon Lee),배명주(Myung Ju Bae),금현수(Hyun Soo Keum),장기철(Ki Cheol Jang),최진(Jin Cho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1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3 No.2

        목적 일반 알고리즘의 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와 GE Healthcare사의 Discovery CT 750 HD에서 제공하는 Hi-Res Mode의 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 등 4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한 스텐트 영상을 알고리즘 별로 재구성한 후 영상의 화질을 비교 평가하여 진단가치가 높은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고무로 만든 인공혈관에 스텐트를 삽입한 후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의 조건에서 촬영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알반 알고리즘(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과 GE Healthcare사의 Discovery CT 750 HD의 Hi-Res Mode어l서 제공하는 알고리즘(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에서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식별 가능한 스텐트 내부의 내경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스텐트에 균열을 만들어서 촬영한 후 스텐트 균열을 찾는데 적합한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을 파악하였다. 결과 조영제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한 후의 영상에서 측정한 스텐트 내경의 길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영상이 스탠트만을 관찰하는데 더 유용하였다. 일반 알고리즘 영상과 Hi-Res 알고리즘의 영상에서 측정한 스텐트 내경의 길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Hi-Res 알고리즘의 영상이 일반 알고리즘 영상보다 진단영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 등 4가지 알고리즘 영상에서 측정한 스텐트 내경의 길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 순서로 진단영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Standard와 Detail, Bone과 Bone plus 알고리즘이 통계적으로 동일군으로 나타났다. 스텐트 균열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조건에서 Hi-Res Mode의 Bone Plus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관상동맥에 삽입된 스텐트만을 관찰하기 위하여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스텐트 균열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Hi-Res Mode의 Bone Plus 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하지만 3D VR영상이나 스텐트 내부의 Plaque 등을 동시에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른 알고리즘의 영상도 고려해야 한다. I. Purpose We tried to find out the highest diagnostic value of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We compared conventional algorithms with the quality stent images which takes pictures of four types of algorithms which are Standard, Detail, Bone, and Bone plus using Hi-Res Mode by Discovery CT 750 HD of GE Healthcare company. II. Mererial and Methods We took pictures of artificial vessels made of rubber after inserting a stent and compared them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um.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diameter of the stent inside using the existing conventional algorithm - Standard, Detail, Bone, Bone plus - and the algorithm by Hi-Res Mode of Discovery CT 750 HD of GE company. We also tested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was the best way to find stent fissures after making them artificially. III.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stent diameter measured before using the contrast medium and after. The image before using contrast medium was more useful for observing the stent only.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stent diameter measured in image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 too. The image of the Hi-Res algorithm showed a more magnified diagnostic field compared with conventional algorith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stent diameter that measured images of the four types of algorithm. Those showed a magnified diagnostic field in all areas (Standard, Detail, Bone, and Bone plus). To diagnose stent fissures, Bone plus algorithm of Hi-Res Mode without using contrast medium it was most excellent. IV. Conclusions This method was a good substitution for conventional methods to explore coronary Stent without using constant medium. To find stent fissures, Bone plus algorithm of Hi-Res Mode was the most excellent. However, to find 3D VR images of plaque inside stent simultaneously, we should consider different types of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