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of Zea mays L. Extracts as a Natural Ingredient in Cosmetics

        권혜진,Kwon, Hye-Ji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9

        In this study, Zea mays L., which were discarded after harvesting in Kore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experiment. The Zea mays L. were dried in the shade and ground before being extracted using two solvents. Subsequently, DPPH, ABT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ere measured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y. The diameter of clear zone was measured by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had a slightly highe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measured using gallic acid as standard, and CE(ethanol extract) was found to contain $31.2{\pm}5.2mg\;GAE/g$ of polyphenols, indicating a considerably high activity. Whe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measured, CE was found to have $4.6{\pm}0.9%$, $6.4{\pm}0.5%$, $22.9{\pm}0.6%$ and $83.2{\pm}0.2%$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1{\mu}g/mL$, $10{\mu}g/mL$, $100{\mu}g/mL$, and $1,000{\mu}g/mL$, respectively, with a dependent tendency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and a considerably high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velop new natural antioxidant, antibacteria raw materials, as only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on Zea mays L., which are mostly discarded after harvesting, while many studies have been so far conducted on corn and corn silks. 국내에서 재배되는 옥수수의 수확 후 버려지는 잎을 수거하여 음건하고 분쇄 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두 가지 용매로 추출 후 DPPH, ABTS,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Paper disc diffusion method 로 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모든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에서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CE는 $31.2{\pm}5.2mg\;GAE/g$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CE는 1, 10, 100, 1,000 (${\mu}g/mL$) 농도에서 각각 $4.6{\pm}0.9%$, $6.4{\pm}0.5%$, $22.9{\pm}0.6%$, $83.2{\pm}0.2%$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 경향을 보였으며 1,000 (${\mu}g/mL$)에서는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지금까지 옥수수와 옥수수 수염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페기 되는 잎에 대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가 새로운 천연 항산화, 항균 효능을 가진 원료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감광성 CNT 페이스트를 이용한 IED 폭발물 제거로봇 탐지전극 형성에 관한 연구

        권혜진,Kwon, Hye J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1 No.4

        In this study, two important requirements for the home production of a robot to detect and remove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IEDs) are presented in terms of the total cost for robot system development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mine detection technology. Firstly, cost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a reasonable solution following an engineering estimate method. As a result, the total cost for a mass production system without the mine detection system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96 million won. For the case including the mine detection system, the total cost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411 million won, in which labor costs and overhead charges were slightly increased and the material costs for the mine detection system were negligible. Secondly,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carbon nanotube (CNT) based gas detection sensor was studied. The detection electrodes were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a photosensitive CNT paste. As a result, this method was shown to be a scalable and expandable technology for producing excellent mine detection sensor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urface treatments by using adhesive taping or ion beam bombardment methods are effective for exposing the CNTs to the ambient air environment. Fowler-Nordheim (F-N) plots were obtained from the electron-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treated CNT paste. The F-N plot suggests that sufficient electrons are available for transport between CNT surfaces and chemical molecules, which will make an effective chemiresistive sensor for the advanced IED detection system.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입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학습 장면에 대한 자기 이미지 분석

        권혜진 ( Hye Jin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신입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장면에 대한 자기 이미지를 그리게 하고 이를 탐색함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직전교육의 방향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신입 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장면에 대한 자기-이미지를 그리고 그림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림 및 설명, 면담 전사자료, 연구자의 현장노트와 현장저널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유아에게 노래를 가르쳐주고 유아와 함께 즐겁게 노래 부르는 음악활동 이미지가 나타났다. 둘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율동, 체육, 스포츠를 포함하는 동작활동이미지가 나타났다. 셋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종이접기, 그림 그리기를 포함하는 미술활동 이미지가 나타났다. 넷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동화, 인형극 등을 포함하는 언어활동 이미지가 나타났다. 다섯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퍼즐, 게임판, 덧셈, 뺄셈 지도를 포함하는 수조작활동 이미지가 나타났다. 여섯째, 신입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자기 이미지로 신체놀이, 게임, 자연관찰, 산책, 소풍 등을 포함하는 실외활동 이미지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capability by searching for first-year students`self-image at their teaching-learning scen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0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ed in drawing self-images on teaching - learning scene and describe it from the second week of March to the third week of April. Moreover, in-depth evidence and information were supplemented for the picture through interviews. In this way, drawing of self-images, interview transcribed data, field notes and field journals of the researcher were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image of music activities as teaching songs to children and happily sing together with them. Second,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image of dynamic activities including dance routine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Third,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image of art activities including paper folding and drawing. Fourth,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image of language activities including reading picture books, and so on. Fifth,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image of math-manipul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y also showed image of instructing subtraction to children. Sixth, first-year students showed image in external activities including physical games, games, nature observation, promenade, and picnics.

      • KCI우수등재

        원저 : 보건소 웹 기반 비만 관리 프로그램 분석 및 개발

        권혜진 ( Hye Jin Kwon ),김경아 ( Kyung A Kim ),강재헌 ( Jae Heon Kang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4

        연구배경: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퇴행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비만은 그 유병률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고, 개인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의료비의 지출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이에 비만의 예방이나 치료는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소의 역할이 중요해지므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건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비만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고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보건소 웹 사이트를 검색하여 비만 관련 정보, 보건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비만관련 프로그램의 현황,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유무 등을 조사하고, 현재 운영 중인 비만 관련 웹사이트 (www.batsalcenter.com)를 기초로 하여 보건소를 위한 웹 기반의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현재 보건소 웹 사이트에서 비만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는 사이트는 전체 보건소 웹사이트 192곳 중 81곳, 비만관련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36곳에 불과했고, 그 내용이나 질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많았다. 또, 비만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게시판을 이용해 프로그램 참가자가 질문을 할 수 있는 사이트는 단 1곳이었고, 인터넷을 이용한 강좌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이에 8주 체중감량 프로그램은 보건소에서 직접 참가자들을 만나는 프로그램과 인터넷 강좌나 게시판, e-mail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결론: 인터넷 사용률이 70%가 넘는 우리나라의 경우 직접 보건소를 방문하는 체중감량 프로그램에 인터넷을 이용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은 비만과 관련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주민이 적정체중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Obesity is growing and becoming a common health problem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ight reduction program for public health care using the internet. Methods: Internet sites, based on Naver search engine, were monitored to study the number of public health care internet sites which were available. Internet sites were searched to see how many public health care internet sites were providing information on obesity and weight reduction programs for internet searchers. Weight reduc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reviewed literatures and batsalcenter web site (www.batsalcenter.com). Result: From the total of 192 internet sites sponsored by the Public Health Care Center, 81 internet sites were advertised to provide weight reduction program and only 36 internet sites out of the 81 provided actual information on obesity. However, the qual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were questionabl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newly developed weight loss program will provide accurate and proper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어릴 적 따돌림 경험과 유아기 따돌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소고(小考)

        권혜진(Kwon Hye Ji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예비유아교사 각 개인은 양육과정, 어린 시절,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받고 개인의 변인과 특질에 따라 교육신념과 실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릴 적 따돌림에 대한 가해, 피해, 방관 경험과 유아기 따돌림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A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는 문서화하여 범주화하고 의미를 구조화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 추출된 범주는 38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상위 개념인 9개의 구성 요소로 통합하여 2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초,중고등학교 시절 친구를 직접 따돌리는 경험을 하기도 하고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기도 하는 중복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따돌림 경험은 교육기관의 폭력 예방에 대한 더 깊은 관심을 갖게 하였고 대학에서 예방과 실천을 위해 잘 배우겠다는 의지로 표현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따돌림 현상은 유아들의 따돌림과 구별되어야 하며 동일한 잣대로 유아에게 따돌림 가해, 피해 꼬리표를 붙이는 일이 정당한 것인지 의구심을 보였다. 반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유아, 따돌림 당하는 유아는 존재하며 어린 시기부터 친구를 배척하고 괴롭히며 이를 즐기는 행동은 옳지 못한 행동임을 단호하게 교육해야 한다는 관점도 공존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기 따돌림의 주된 원인으로 부모와 주변성인, 환경을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따돌림 유아에 대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교사개입과 중재, 대화,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을 강화하고 유아 따돌림 현상의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과 방안의 기초를 제공한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re affected by each individual s parenting process, childhood, and student socialization process, and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es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s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ullying experiences as bullier, victim, on-looker and perceptions, attitudes toward bullying in early childhood. For this, eigh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A university participated and in-depth interviews, journal writing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documented, categorized, and the meaning was structured for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3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es finally extracted, and these were grouped into 9 components, which are higher-level concepts, and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d the experience of being bullied directly by their friends dur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and they had the duplicate experience of being bullied by their peer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bullying in childhood led to a deeper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was expressed as a will to learn well for prevention and practice at the universit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ressed doubts about whether it was justified to label children as victims of bullying and bullying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as the phenomenon of bullying, a social problem,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bullying of childre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are children who can not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and children who are bullied, and there was a view that it is wrong to reject, bully, and enjoy friends from an early ag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causes of bullying in early childhood were parents, surrounding adults, and the environment, as infants were not yet fully developed in their personality. In addition, it showed the recognition that direct and immediate teacher intervention, help, and attentions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bullying childre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above results provided the basis for implications and measures to strengthen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increase the sensitivity to bull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