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동화로 출간된 베트남 옛이야기 연구

        권혁래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한국에서 베트남 옛이야기는 1984년에 한 종의 베트남민화집이 아동문고로 번역․출판되었고, 2000년에 한문고전소설집이 두 종 번역․출판되었으며, 2010년대 전반에 13종의 책 40여 편의 작품이 ‘다문화동화’의 성격으로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중 12종의 책에 수록된 21편 작품의 서지사항을 소개하고 분류․분석하였다. 베트남 옛이야기는 기원담이 가장 많으며, 그 외에 응보담, 변신담, 교훈담 등이 있다. 베트남 옛이야기에 담긴 문화․정서를 고찰한 결과, 베트남의 ‘문화 및 표상’을 전하는 유형, 베트남의 ‘재미있는 이야기와 지혜’를 전하는 유형을 발견되었다. 이 작품들 일부는 스토리의 완성도가 높지 않거나, 다문화이해의 목적 및 활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첫째, ‘서사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을 우선적으로 선정․번역하고, 둘째, 베트남문학에 담긴 우수한 문학적 전통과 정신이 무엇인지 심도 있게 논의하고 연구결과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During the first half of 2010, Vietnamese fairy tales started being published as “children’s multicultural literature” with the aim of informing Koreans about th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Vietnam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bout their motherland’s cultural values and sentiments. Among a total of 13 books, 41 works, including The Story of Lac Long Quan and One Hundred Sons and The Legend of Areca Nuts and Betel Leav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On examining Vietnamese fairy tales, I could identify the depiction of two types of cultural values and sentiments : a type of narrative conveying the “cultural symbol” of Vietnam, and another type specifying the interesting “wisdom of life.” It is noted that some of these works do not have a high level of story completeness, and narratives, such as tragic endings to stories, do not suitable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rstly select and translate works with a high degree of 'narrative completeness', and secondly to discuss in depth what is the excellent literary tradition and spirit in Vietnamese literature.

      • KCI등재

        옛이야기 캐릭터의 변모와 활용 연구

        권혁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5

        The point of this study i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the fairy tale’s character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nd second, the re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the fairy tale’s character. The characters that are common and notable in modern fairy tales are fools, righteous brothers, greedy elder brothers and good brothers, and greedy monks. The most famous animal characters are tigers and rabbits, while the most famous god character is goblin. The most frequently featured character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re tigers and goblins, and various divine and extraordinary characters based on classic novels and book clerics are found to be incorporated into old stories. Since the 2000s, there have been three ways to reinterpret and utilize fairy tale’s characters. First, the excavation of a new character centered on goblins and reinterpretation of Korean animal characters, including storytelling, tigers and rabbits, are needed. Second, reinterpretation of female characters in fairy tales, development of new female characters and storytelling are needed. Third, we need to find Asian characters with common theme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fairy tales from Asian countries. 이 연구는 근대 옛이야기에서부터 해방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옛이야기의 전승과 캐릭터의 변모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논점은 첫째, 근․현대 시기 옛이야기 캐릭터의 부침과 변모양상, 둘째, 옛이야기 캐릭터의 재해석 사례 고찰, 셋째 아시아 캐릭터의 개발방안이다. 근대 옛이야기에서 공통되며 주목되는 인물 캐릭터는 바보, 의좋은 형제, 욕심 많은 형과 착한 동생, 탐욕스런 중 형상이다. 대표적 동물 캐릭터는 호랑이와 토끼이며, 대표적 신격 캐릭터는 도깨비이다. 해방 이후 가장 많이 등장한 캐릭터는 호랑이와 도깨비이며, 고전소설과 서사무가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신격 캐릭터와 비범한 인물 캐릭터가 옛이야기로 편입된 양상이 발견된다. 2000년대 이후 옛이야기 캐릭터의 재해석 사례 및 활용방안에 대해, 첫째, 도깨비를 중심으로 한 신격 캐릭터의 발굴, 호랑이․토끼 등의 동물 캐릭터의 재해석 필요성을 말하였다. 둘째, 옛이야기 속 여성 캐릭터의 재해석과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자료의 폭넓은 조사 및 새로운 여성 캐릭터의 개발의 필요성 말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각국의 옛이야기에서 선한 신 캐릭터를 비롯해, 괴물, 동물, 영웅, 트릭스터 등의 아시아 캐릭터를 발굴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심하전투 서사 『김영철전』의 전란과 인생사 서술방식

        권혁래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Kim Young-chul Jeon is a 17th-century novel depicting the life of a prisoner of war, based on East Asian warfare, such as the Shimha battle. The novelist showed the way of writing that connects the scene of the war with the life history of the hero Kim Young-chul. Many of the wars and the ship of envoys set in the novel served as a point of life history for Kim Young-cheol, such as family separation, prison life, marriage to a Chinese woman, return home and reunion. 『김영철전』은 심하전투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란을 제재로 하여 전쟁포로의 귀환 및 향방 없는 인생을 그린 17세기 소설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역사현장의 기술과 주인공의 인생변곡을 연결시키는 글쓰기, 소설의 공간과 노정에 대한 묘사, 역사 기술과 인생사 서술의 의미화 지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설가는 역사현장을 기술하면서 주인공 김영철의 인생사를 연결시키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었다. 심하전투, 개주전투, 금주전투의 현장을 기술하면서 작가는 김응하의 절사와 의리, 임경업과 영남 첨방군들이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켰음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전란기술의 마지막 부분에서 소설가는 명군의 지리멸렬한 모습을 그리는 한편, 청군의 막강한 힘과 질서를 서술하고, 청 태종의 포용력과 관후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결말을 지었다. 소설에 설정된 명・청 교체기의 여러 전란과 사행선은 김영철에게 가족과의 기나긴 이별, 포로생활, 후금 여인 및 명나라 여인과의 결혼, 귀국과 새로운 이별, 재회 등 인생사의 결정적 변곡점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17세기 재난문학 『어우야담』을 통해 보는 재난상황과 인간존중정신

        권혁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17세기 유몽인이 기술한 어우야담에는 전란, 표류, 역병, 수해, 가뭄, 하늘과 땅의 이상징후를 제재로 한 재난담 2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논문은 재난문학 으로서의 어우야담에 기술된 16~17세기 재난상황과 인식태도를 살피고, 재난상 황에서 발휘된 인간존중정신에 대해 고찰하였다. 유몽인은 임진왜란부터 심하전투에 이르기까지 전란으로 인한 죽음을 애도하 고, 피로인․망명인․표류민의 유랑과 가족이산의 고통을 서사화하는 한편, 고국 귀환 및 가족재회의 서사를 통해 재난극복과 삶의 보전이라는 메시지를 전하였다. 역병에 관해서는 음양오행설에 바탕해 속신을 타파하는 한편, 고립된 환자에게 접 근해 구제책을 마련하고, 방치된 시신을 예법에 맞게 장례를 치러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각을 보여주었다. 그는 1500년부터 1619년까지 조선에 빈번하게 발생한 홍수와 대기근,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굶어죽고 식인을 하기 도 하는 참상을 기록하였다. 한편으로는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이상징후들에서 재앙의 징후를 읽어내야 한다는 관점에서 재이(災異)설화를 수록하였다. 유몽인은 재난담을 기술하면서 전란 피해자들의 삶을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 며, 역병에 대한 미신적 인식태도를 배격하였으며, 한재․수재의 고통을 깊이 공감 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재해로 인한 사민(士民)의 참상을 적극적으로 기록 하였으며, 재해예방책을 모색하였다. 난민들에게 구휼 행위를 한 사람들에게는 이 들이 하늘의 음덕을 입어 자손과 벼슬 등으로 보상받는다는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인식을 보여주었다. 재난문학으로서의 어우야담에는 천인감응설, 음양오행설 및 유가사상에 바탕 한 정치적 리더십 및 연민의 태도, 적극적 구휼행동이 발견된다. 특히, 각종 재난상 황에 대응하는 합리적 인식태도와 인간존중정신은 오늘날 한국사회에 공동체성을 환기하고 재난극복에 일조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atterns of disasters in the 15th to 17th centuries and the respect for the human person that appeared in the disaster story in Eou-yadam, written by Yu Mong-in (1559~1623) in the Joseon era. Yu, Mong-in mourned the death of the war, from the Imjin War to the deep-sea battle, and epicified the suffering of the people who were taken captive, the wandering of drifters, and the separation of their families. In addition, he delivered the message of overcoming disasters and preserving life through the narrative of returning home and family reunion. While overthrowing the superstition regarding infectious diseases, he show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roach isolated patients to prepare remedies, and to preserve human dignity by performing a funeral on neglected bodies according to manners. And, he recorded floods and famines, which caused many to starve and become cannibals. On the one hand, he said the signs of catastrophe should be read from the stories about the abnormal signs occurring in heaven and on earth. In the disaster literature of Yu Mong-in, the political leadership based on the Confucian idea, an attitude of compassion, and active compassionate behavior are found. The spirit of respect for humanity, which he showed through disaster literature, will evoke a sense of community in Korean society and help overcome disasters.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