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 타당화 연구

        권자영(Ja Young Kw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정신건강자신감 척도(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MHCS: Carpinello, Knight, Markowitz and Pease, 2000) 한국어판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32개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56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MHCS-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낙관성``, ``대처``, ``옹호``의 3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도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구성타당도, 판별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α = .938로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어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MHCS-K)는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효능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한국의 정신보건 실천현장에서도 활용하기에 적합한 척도로 평가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MHCS-K), which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the self-efficacy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In order to examine this study, 564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in 32 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surveyed as research subjects for the MHCS-K scale. The results of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on MHCS-K found that, as in the original scale,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optimism, coping, and advocacy was appropriate. The construc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3 factor structure of the MHCS-K were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is acceptable. The reliability of MHCS-K was Cronbach`s α=.938. Thes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HCS-K Scale can be used as a scale tool in measuring the self-efficacy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is a useful scale in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자살행동을 결정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권자영(Kwon Ja young),전희정(Jeon Hee je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농촌지역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자살행동(suicidal behavior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농촌지역과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이 급증하고 있는 사회현상에 기반하여, 자살행동의 위험 수준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함으로서 농촌지역 저소득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60세 이상 노인 2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을 위해서는 단변량분석과 다항로 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노인들의 자살행동의 위험 수준이 다를 때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노인군, 자살행동 잠재위험군, 자살행동 고위험군으로 나누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자살행동 잠재위험군은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자살행동 고위험군의 경우는 우울과 삶의 만족, 주관적 건강인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노인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연구들이 간과한 자살위험의 수준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노인자살행동의 위험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자살예방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on the influence factors of suicidal behavior of elders residing in rural area permanent rental apartments by their risk level. It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preventing suicides of rural area low income elders by exploring influence factors depending on suicidal risk level, especially based on entry of rural areas into a super-aged societies and the increasing rate of low-income single household elders. A total of 211 elders who are above 60 years of age were studied using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n-risk, risk, and high-risk elderly suicidal behavior and accordingly studied for influence factors. According to results, education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risk level elderly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had significance for high-risk level elderly suicidal behavior. This study, unlike other studies that broadly and generally stud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elderly suicide, discovere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factors between elders with high-risk and low-risk suicidal behavior, allowing for a practical indicator for early prediction and selection for high-risk suicidal behavior.

      • KCI등재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 개발 연구

        권자영(Kwon, Ja-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3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Working Relationship)’를 측정하는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진행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해 첫째, 문헌연구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3회의 포커스면접을 통해 실천관계척도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학과 교수 2인 및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인 실무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예비문항을 569명의 정신장애인 대상의 실증조사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무선 분할하여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요인 1은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실천과 관련된 ‘전문가 기여’, 요인 2는 ‘부정적인 실천관계’, 요인 3은 사례관리 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친밀감을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로 나타났다. 나머지 표본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33문항의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을 개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Working Relationship Scale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which measures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a mentally disabled person and his or her case manager. The first step taken to develop this scale was to construct sample items for the Working Relationship Scale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use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Secondly, 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surveyed with these sample items and two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who specialize in mental health social work and two license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reviewed these sample items to select and compile a final version of the scale. Lastly,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study of 569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surveyed the final selection of items. An explan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 items can be grouped into three factors. Factor 1 is ‘Professional Contribution Factor,’ which is related to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the case manager; Factor 2 is ‘Negative Working Relationship Factor’; and Factor 3 is ‘Emotional Bond Factor,’ which measures the intimacy between the case manager and the mentally disabled person. A confirmatory analysis of the three-factor format that was discovered in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rest of the randomly divided data, which showed that the model demonstrated a goodness-of-fit. The convergence validity between similar concepts appeared to be appropriate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Working Relationship Scale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consisting of a final 33 items is developed and proposed and its implications in social work a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 구축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권자영(Ja Young Kwon),박향경(Hyang Kyung Park)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수행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구축사업’ 의 성과를 평가하고 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는 사업의 성과관리 대장에 기록된 1,23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사전 · 사후 외상 후 성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9명의 사업수행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사업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사업수행 시 어려웠던 점, 사업수행을 위한 문제해결 노력, 사업의 성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N-vivo 9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로는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외상의 유형가운데 직무상 폭력경험이 53.2%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19.8%, 대리외상 18.5% 그리고 상실(사망경험) 8.6% 순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분석결과 성별, 연령, 소속기관의 유형과 직무외상의 유형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외상을 경험한 사회복지종사자에게 다양한 회복지원을 제공한 한 결과 사전 · 사후의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의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질적분석 결과로는 첫째, 그간 조명받지 못했던 사회복지종사자 안전과 인권에 대한 인식개선과 의식이 향상되고 문제해결에 대한 개인, 조직, 사회의 공동책임의식이 높아졌다. 둘째, 관련 조례제(개)정과 사회복지기관의 안전한 물리적 환경 조성 등 보호와 안전체계의 기본 틀이 갖춰졌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종사자의 회복과 역량이 강화되었다. 끝으로 본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다양한 회복지원서비스 마련과 안전교육, 대처훈련 등의 개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과 인권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 조직(기관)과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그리고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 마련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Establishment of a Protective System for the Safety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roject, which has been supported by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from 2019 to 2022, and to propos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project. To do this, a mixed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1,235 individuals record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cords of the projec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Changes in pre-post traumatic growth among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9 project managers to analyz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oblem-solving efforts for project execution, project outcomes, and strategies for project sustainability. Data collected through FGI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nd N-vivo 9.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job-related trauma,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experienced job-related violence was the highest at 53.2%, followed by 19.8% for other types, 18.5% for vicarious trauma, and 8.6% for loss (death experience). Second, cross-analysis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type of affiliated institution, and type of job-related trauma. Third, as a result of providing various recovery support to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occupational trauma, positive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were observed when measuring pr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awareness and consciousness among social workers regarding safety and human rights, which had previously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re was an increased sense of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responsibility for problem-solving. Second, the framework of protection and safety systems has been established, includ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the creation of a safe physical 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agencies. Third, the recovery and capacity of social workers have been strengthened. As a development strateg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is project, several tasks have been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covery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ducation and coping training programs,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on safety and human rights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fostering relevant professionals, adapting to changes in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

        권자영(Ja Young Kwon),박향경(Hyang Kyung Par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본 연구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수차례의 입원경험이 있는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특히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이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를 탐색하고 전반적인 정신장애인의 입원치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방법으로 선정된 총 8명의 정신장애인으로, 개별 심층면접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제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 네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입원 과정과 입원 생활 : 나를 드러내지 않아야 가능한 생활(당사자의 의사가 배제된 입원과 치료과정, 환대 없는 병동 환경, 무료한 생활에 의욕없는 사람이 되어감, 체념과 순응으로 가능한 입원 생활, 기약없는 퇴원, 삶의 바닥을 경험함), 둘째, 비자의입원과 자의입원 : 입원선택 주체에 따라 달라지는 입원생활과 관계변화(비자의 입원이유와 영향, 자의입원을 알게 된 계기, 자의입원 선택 이유와 영향), 셋째, 입원에 대한 인식 : 너무 긴 입원기간과 멀리하기 어려운 삶의 일부(희망과 다른 긴 입원기간, 하고 싶지는 않으나 필요하면 해야 하는 입원), 넷째, 입원경험이 삶에 미친 영향 : 고통스럽던 경험이 나와 다른 사람을 도움(입원하지 않으려 꾸준한 관리, 현재의 삶이 행복임을 느낌, 동료지원 활동에 도움이 되고 일이 즐거움)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 과정에 대한 민주적 절차와 지원, 입원경험으로 인한 외상에 대한 실천적 접근, 인권친화적인 치료적 병동 환경개선과 사회복지교육적 측면에서 종사자의 인권교육 및 정신건강 관련 교과목에서 입원치료경험의 시사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hat have multiple admission experiences after onset of mental illness. Especial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amended 2017 Mental Health Act affected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looks into the overall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heir inpatient treatment.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eigh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four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First, admission process and inpatient life: Life that is only possible by not revealing oneself(admission and treatment that marginalizes the patient’s intention, unwelcoming inpatient environment, becoming lethargic due to dull ward life, inpatient life that is only possible through resignation and compliance, indefinite amount time till discharge, experiencing bottom of life). Second, voluntary and involuntary admission: differing inpatient life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decision-maker’(the reason for and impact of involuntary admission, realizing the opportunity of voluntary admission, reason for and impact of voluntary admission). Third, awareness of hospitalization: lengthened hospitalization inevitable part of life(unexpected long term hospitalization, unwanted but necessary hospitalization).Fourth, how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ffected life: helping other people based on one’s painful experience(consistent management to avoid hospitalization, appreciating present life as happiness, helpful for carrying out peer support work and enjoying i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emocratic procedures and support for hospitalization processes, practical approach to trauma caused by hospitalization experience, ways to improve human rights-friendly therapeutic ward environments improvement, and hospitaliza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mental health-related subjects in term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address the implications of the hospitalization experienc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