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 투입 국면에 따른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

        권유선(You Sun Kwon),하대현(Dae Hyun Ha)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가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의 투입국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충북 지역의 4개교 대학생360명을 대상으로 Gf, Gc, Glr 지능검사와 창의성검사 2종류-사물의 비일상적인 사용법 검사와 창의적 은유 생성 검사- 그리고 지적개방성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점수는 피검사자가 선택한 2개의 반응을 전문가가 사정하는 Top 2 사정기법을 통해 구해졌다. 지능과 지적개방성 그리고 창의성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구조회귀모델 분석을 실시해 구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 요인만투입되었을 때 비일상적 사용법 검사 점수에 Gc(β=.197, p<.05)의 영향이 유의하였고, 창의적 은유생성검사 점수에는 Gf(β=.312, p<.001), Gc(β=.177, p<.05), Glr(β=-.149, p<.05)의 영향이 모두 유의하였다. 이는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에 따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능 하위요인이 상이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둘째, 지능과 창의성의 구조모형에 지적개방성의 O/I국면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두 종류 창의성 검사 점수 모두에서 Gc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O국면만 투입했을 때, 두종류의 창의성 검사 점수 모두에서 Gc의 영향은 유의하였다. 이는 지각된 지능을 반영하는 I국면과Gc의 공분산이 창의성에 대한 Gc의 영향을 과소추정하게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가 창의성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의 투입 국면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figure out whether the subfactor would be differ or not to the creativity measuring methods and contents empirically. This study would provide more accurate analysi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rough checking how the openness to intellect, which shows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reativity and the intelligence, could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universities. 10 intelligence tests(Gf, Gc, and Glr) to measure and 2 divergent thinking tests(unusual uses test, and creative metaphor generation) and the openness to intellect test were conducted. As for the creativity measuring method, Top 2 scoring method was used that 3 experts examined 2 responses which showed the most creative responses selected by examinee. The result of structure regression model analysis, the uses of Top 2 was effected by Gc significantly, and Gf, Gc, and Glr effected on the metaphor of Top 2 measured value as well. This result proves that subfactor of the intelligence could be differ to the creative measuring methods empirically. When the aspects of O/I were all input, the effect of Gc to each creativity measured value was not significant. When O aspect was input, the effect of Gc to each creativity measured valu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Gc is differ to the aspect of the openness to intellect empirically.

      • KCI등재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권유성(Kwon, Yu-seong)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9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in the context of 1920"s. It is centering around a "soul(靈魂)" that the first half of Poetic Soul has a cultural characteristic. He expressed a critic sense against European modern civilization in here. And he established a epistemological bases in here for colonial existences through the "soul" His view point of civiliz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the civilized intellectual had. It is centering around a "poetic soul(詩魂)" and "shadow(陰影)" that the latter part of Poetic Soul has a characteristic as poetics. What he established in here was the basic theory of modern poetry. It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many different poetry could be through times, society, and individual. Kim So-weol"s such theory also could be importa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about 1925. Because, at this very moment the school of nationalistic literature little allowed the variations of the poetry. What they only allowed was that was well expressed of national sentiments in it through a fixed form. In this context, Kim So-weol"s Poetic Soul also could be the meaning against such dogma. In a word, Kim So-weol"s Poetic Soul has a characteristic of anti-poetics that against the general view point of civilization and the poetry.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맥락과 의미

        권유성 ( Yu Seu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재구하고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계몽적 지식인에 의한 비판과 주로 종합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비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시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자세히살필 필요는 이후 문학사적 전개의 동력을 확인한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동인지 문단의 가장 주요한 특징이 예술지상주의로 인식되고 있었다면, 그리고 1920년대 중반 이루어진 문단의 새로운 재편이 동인지 문단의 붕괴와 해체를 통해 가능했다면,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살피는 것은 그런 붕괴와 해체의 추동력을 살피는 것과 연관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광수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조선의 신문화 건설이라는 계몽적 맥락을 동인지와 공유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동인지가 근거하고 있었던 문예론에 접근할 논리를 결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비판으로 이어지기 어려웠다. 즉 이광수는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개인의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통한 신문예 건설이라는 부분을 간과한 채, 몇몇 동인들의 개인적인 일탈을 극단적인 언사로 비난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비판은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을 강화하는 하나의 계기 정도로 작용할 수 있을 뿐이었다.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이광수의 그것보다도 훨씬 근본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이들이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예술의 근본 원리를 공유한 상태에서,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성과 문예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서의 감정 문제까지 그 비판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예술 혹은 문예를 사회적인 소통 쳬계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런 인식 아래 사회적으로 공유될 만한 가치가 있는 감정을 문예가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의 비판은 동인지의 내적 붕괴를 추동할 수 있는 논리였다. 그런데 이광수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차이는 문예의 사회적 소통 체계를 구성하는 한 축인 독자 혹은 대중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 바가 컸다. 이광수는 당대의 독자나 대중을 ‘소아’나 ‘병인’으로 보아 그들의 자발성이나 적극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그는 사회적 소통 체계로서의 문예를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런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의 지식인들은 문예를 기본적으로 사회적 소통 쳬계로 보고 있었는데, 그 바탕에는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깔려 있었다. 그들은 인간 개개인이 부조리한 사회 구조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운 개성을 발휘하며 살 수 있는 사회를 희망했고, 그 과정에서 이들은 대중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믿었다. 이런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 이들은 문예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도 ‘문화적 교화’가 가능하다고 믿을 수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considering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criticism on art`s sake in the early 1920`s. In the early 1920`s, it could be investigated in two directions. The one is that presented by Lee, Kwang-soo who was thoroughly enlightening intellectual. The other is that presented by socialist intellectual who participated in socialist journal. The reason why it needed to be explored is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e moments of literary change after that time. The criticism by Lee, Kwang-soo was sharing the context of movement for new-culture construction with 1920`s coterie magazine but it missed the focus of their literary theory. Therefore it only could enforced isolation of the writers of coterie magazine. In contrast, the criticism by socialist intellectuals was more profound than it. It was not only sharing the emphasis of literary emotion with them but also including the dimension of their isolation tendency and connotation of the notion of emotion. They claimed that literature need to deal with socially significant emotion, in other words sympathy, because they were recognizing that literature or art is the system of social communication. These are enough to weakening the ground of coterie magazine. By the way, it was the different point of reader or people that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Lee, Kwang-soo and socialist intellectuals. While Lee, Kwang-soo was not admitted the voluntary ability of people,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ere not so. They positively believed what people have the possibility of themselves. So they could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enlightenment of people through the literary autonomy.

      • KCI등재

        창의적 인성이 내외적 수단성과 상황흥미 그리고 교직성적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Kwon You S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A creative personality of pre-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s not only teacher s capacity in the future, but also learner s creativity capacit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 teacher would effect on endogenous & exogenous instrumentality, subject specific interest, and teaching subject grade.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by collecting tests about the creative personality, endogenous & exogenous instrumentality, subject specific interest, and teaching subject grade, targeting 161 peopl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year college in capital are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dogenous instrumentality and situational interests.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exogenous instrumentality. Second, endogenous instrumentality and situational intere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subject grade. But exogenous instrumentality a negative effect on teaching subject grade. Crea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 instrumentation and situational interest which directly affects teaching achievemen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rect effect is greater than direct effect on teaching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원의 창의적 인성이 내외적 수단성과 상황흥미 그리고 교직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16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 내외적 수단성, 상황흥미 검사와 교직성적을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 였다. 분석결과 창의적 인성이 내적 수단성(β =.578, p <.000)과 상황흥미(β =.235, p <.05)에 미치는 영향과 내적 수단성이 상황흥미에 미치는 영향(β =.454, p <.000)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창의적 인성이 외적 수단성에 미치는 영향과 외적 수단성이 상황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성적에 대한 내적 수단성(β =.340, p <.05)과 상황흥미(β =.242, p <.05)의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외적 수단성(β =-.245, p <.05)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성적에 대한 창의적 인성의 직접효과는 -.222(p =.091)이었으며, 간접효과는 .297로 총 효과는 .075이었다. 요컨대 창의적 인성은 교직 성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적 수단성과 상황흥미에는 긍정적 영향을 끼치며, 교직성 적에 대한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생태체험원 경험을 통한 교사 배움의 의미

        권유란(Kwon, Yu-Ran),오채선(Oh, Chai-Su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로서 성장을 위해 파견제도를 활용한 유아 교사가 생태체험원에 근무하며무엇을 경험하고 배웠으며, 이러한 경험이 교사의 배움으로써 어떤 의미가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본연구는 10개월간 연구자 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서전적 글쓰기, 연구자저널, 연구일지, 사진, 과거 자료이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자는 생태체험원에서 매일 처음 만나는 다채로운 유아들을통해 유아들의 개별성과 유능함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생태체험’을 계획해서 가르치려다 실수를 하고내려놓기를 통해 균형을 맞춰갔다. 셋째, 자연과 관계맺음을 통해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연구자는 유아들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유아 교사로서 배움이 이어지며, 유아교사의 성장은 반복되는 경험 속 차이생성을 통한 교사 되기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배움은교사를 둘러싼 모든 환경과 관계 맺으며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a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leaning at an ecological experience center as she was working in the center for 10 months. The participant was the researcher herself of this qualitative study. Data used in this stusy included autobiographical writings, researchers’ journals, daily research records, pictures, and past records of the researcher such as daily journals, personal photos, and many private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teacher working at an ecology experiencing cent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take ecology experiencing activities and meet children that changed many of the fixed perspectives of the researcher. Second, while the researcher made mistakes while planning ‘ecology experiencing activities’, the researcher was able to balance out the activities by letting the mistakes go while actively complementing them. Third, the researcher became interested in nature through ecological monitoring and being connected with nature. The experiences helped the teacher learn that the growth of a teacher for infants is a process conducted through repeated, varied experiences with infants. The participant also leaned that teacher’s learning can happen as she is mak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her as a learner.

      • KCI등재

        感情·感覚形容詞の新しいみ形の推移 - 2006年から2019年に渡るツイッターでの使用に基づいて-

        권유라 ( Kwon Yu-ra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트위터에서 2006년부터 2019년 사이에 사용된 감정/감각형용사의 ‘새로운 み형’의 추이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감각형용사의 새로운 み형 53어를 대상으로 하여 트위터가 개시된 2006년부터 2019년까지의 트윗 건수와 추이를 조사하였다. 트위터를 사용한 이유는 트위터에 ‘새로운 み형’이 나타나고 있고, 날짜를 지정하여 검색하면 해당 날짜의 트윗을 전부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새로운 み형 53어의 경우에는 연어 수와 별개어 수가 해마다 증가 경향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み형을 비교했을 때, 종래의 み형(8개어)이 새로운 み형(53개어)보다 연어 수의 증가율이 훨씬 높았으며, 별개어 수의 경우에는 종래의 み형은 첫 み형(初出語)이 전부 2008년에 등장하고 그 이후에도 계속 출현하는데 반해, 새로운 み형은 첫 み형(初出語)이 2007년부터 2016년에 걸쳐서 등장하고, 그 이후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는 み형도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일본 국내 트위터 사용자 수가 공개된 2015년부터 2018년의 4년 동안 새로운 み형의 사용이 트위터 사용자 수의 증가와 비교해서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새로운 み형 개개의 연어 수의 추이 조사에서 첫 み형이 등장하는 해(初出年) 대비 2019년의 증가율을 보면, 첫 み형(初出語)의 등장이 빠를수록 증가율이 높고, '화자의 감정/감각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み형(ex. 嬉しみ, つらみ, 眠み)의 증가율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밝혀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larify the trend of the new suffix -mi of emotional and sensory adjectives on Twitter from 2006 to 2019. The study examined both the number and the trend of tweets from 2006 to 2019 by targeting the new suffix -mi of 53 emotional and sensory adjectives. It used Twitter since the new suffix -mi has been is appearing on Twitter, and all tweets on a specific date can be found if you specify a date. First, it was established that the frequencies of token and type of the new suffix -mi in tweets have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Second, by comparing the new and the original suffix -mi, it was discovered that the frequencies of token of original suffix -mi (8 words) had far higher growth rates than those of the new suffix -mi (53 words). In the case of the type of frequency, while all of the original suffix -mi have appeared since 2008, the new suffix -mi first appeared over time from 2007 to 2016, and some new suffix -mi no longer appeared. Third, it also showed that the token frequency of the new suffix -mi in tweets has been increasing compared to the increase of Twitter users in Japan over the past four years from 2015 to 2018. In addition, in the token study of each new suffix -mi, when comparing 2019 to the year that the suffix first appeared, it seems that the earlier the new suffix appeared, the higher its growth rate was. Also, the new suffix -mi of emotional and sensory adjectives that express the subject's emotions tends to have higher growth 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