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규준(李圭晙)의 심기철학(心氣哲學)과 부양론(扶陽論)의 연관성 연구 -"석곡심서(石谷心書)"와 부양론(扶陽論)을 중심으로-

        권오민,Kwon, Oh-Min 한국한의학연구원 2004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0 No.1

        This paper is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Kyujoon(李圭晙)'s Shimqi(心氣) Philosophy and medical theory of Buyang(扶陽). Lee Kyujoon is the philosopher and medical doctor in the late Chosun Dynasty. His philosophical hypothesis is that the cosmos constitutes of the only entity, Qi(氣) and Medically, human body is also made of the only one entity, or Qi. The Qi of the body comes from Shim (心:heart). So, Encouraging the Qi(扶陽) of heart is the most critical in maintaining life. He is favorably used to prescribe the medications full of the herbs boosting the ShimYang(心陽) of body. In conclusion, his Shimqi(心氣) Philosophy and Buyang(扶陽) theory is the twins of one Shimqi(心氣) monism.

      • KCI등재

        한강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과 분자생물학적 분석

        권오민,김말남,Kwon, Oh-Min,Kim, Mal-Nam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2008년 3월, 서울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한강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76주를 동정하고 이 균주들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과 항생제 내성유전자 구조분석, 교차접합, PFGE 및 MLST를 실시하였다. 분리 균주 중 E. casseliflavus는 25주이었으며, E. faecalis 및 E. hirae가 각각 4주 및 1주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15주가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E. faecium 11주와 E. casseliflavus 4주가 VRE인 것을 알 수 있었다. VRE를 대상으로 vanA 유전자 검출을 통해 6주의 E. faecium가 vanA를 가지는 VREF임을 밝혔으며, vanA가 포함된 transposon인 Tn1546 구조를 분석한 결과 Km36과 Km37은 Tn1 type, Km20과 Km38은 Tn2 type 그리고 Km 39와 Km40은 Tn3 type으로 나타났다. PFGE 결과 6주의 VREF 중 Km36과 Km37은 동일한 subtype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4주는 각기 다른 subtype을 나타냈다. VREF 6주를 대상으로 MLST를 실시한 결과 3주는 ST78, 나머지 3주는 각각 ST18, ST192 및 ST230로 나타났다. 이들의 clonal complex는 모두 병원에서 분리되는 CC17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4주는 CC78에, 나머지 2주는 각각 CC18과 CC192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in March 2008 for the 76 Enter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the Han-river, which is used as water supply for Seoul citizens.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tibiotic resistant structural analysis, trans-conjugation,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isolated strains. Among the isolated strains, 25 strains were E. casseliflavus, 4 strains were E. faecalis and 1 strain was E. hirae. Investigation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indicated that 15 strains demonstrated tolerance against vancomycin, and that 11 strains of E. faecium and 4 strains of E. casseliflavus were VRE. The vanA gene detection of the VRE strains revealed that 6 E. faecium strains we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VREF) possessing vanA. Analyses of transposon Tn1546 structure containing vanA demonstrated that Km36 and Km37 belonged to Tn1 type, Km20 and Km38 was Tn2 type, and Km39 and Km40 was Tn3 type. PFGE disclosed that among the 6 VREF strains, Km36 and Km37 exhibited equivalent subtype, while the rest 4 strains showed subtypes different to each other. MLST for the 6 VREF strains disclosed that 3 strains were ST78, while the rest 3 strains were ST18, ST192 and ST230, respectively. All these clonal complexes were derived from CC17 which has been isolated from clinical sources. 4 strains belonged to CC78, while the rest 2 strains were CC18 and CC192, respectively.

      • KCI등재

        韓醫 書籍의 海外 流轉과 刊行의 意義

        權五敏(Kwon, Oh Min),安相佑(Ahn, Sang 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 Traditional Korean medical books circulated and affected abroad. This will contribute to extrac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order to map the landscape of East Asian medicine and identify the posi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it. The ‘Northeast Project' - a version of historical war - launched by the Chinese government, expanded to ‘Chinese medicine project', which generated the urgent necessity of identifying and reinforcing the authenticity and legitimac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uch an intellectual activity will provide effective logical and political weapons to tackle down the Chinese delusive claim that ‘Everything in traditional medicine comes from China'. This writing's aim is to discover and demonstrate visible evidences of the uniqu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rough listing historical cases where traditional Korean medical books was published in China and influenced Chinese medicine. This will lead to reassuring the public, both abroad and at home, that regional medicines reciprocally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and Chinese medicine should be put forward as one type of regional medicine in Northeast Asia. 본고의 목적은 우리 한의서가 해외에 어떻게 전해졌으며 해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해 보는 것을 통해 우리 의학의 공간적, 역사적 보편성과 특수성, 즉 우리나라 전통의학의 정체성(identity)을 확인하는 것이다. ‘문화전쟁’이라고까지 규정할 수 있는 이른바 중국의 ‘중의학공정’으로 인해 우리 한의학은 정체성, 또는 독자성(uniqueness)의 재확인과 강화 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동북아시아 전통의학의 모든 것이 중의학에서 나왔다는 중국의 주장에 맞서기 위해서는 한국 한의학의 독자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논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의 확보가 반드시 무엇보다 중요한데, 우리는 중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의학서의 간행 및 현존 상황을 현장 조사하여 중국의학에 영향을 미친 우리나라 의학서의 종류와 영향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나라 의학이 중국과 차별된 독자적인 의학적 행보를 걸었으며, 다른 문화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학 분야도 동북아시아라는 공간적 배경 속에서 역사 속의 상호간의 소통을 통해 양방향적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확인하여 ‘중의학공정’에서 제기된 논리의 역사적, 논리적 허구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석곡산고(石谷散稿) 번역 연구(2)

        권오민 ( Oh Min Kwon ),남성우 ( Sung Woo Nam ),안상영 ( Sang Young Ahn ),박상영 ( Sang Young Park ),한창현 ( Chang Hyun Han ),안상우 ( Sang Woo Ah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구 대한원전의사학회 )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2 No.4

        This article looks into Lee-Gyujun(李圭晙)`s life course, Confucian thoughts, and philosophical ideas on the Medicine of Boosting Yang(陽), by thoroughly translating and analyzing selectively the second half of Lee-Gyujun(李圭晙)`s 『Seokgoksango(石谷散稿)』. Translating his works is said to be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boosting-yang theory(扶陽論) i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Korean medicine, not to mention comprehension of the medical contents itself. Through this translation and analysis, first, it is found that Lee-Gyujun(李圭晙) had visited Seo-Changyu(徐贊奎) for over 10 years and had great influence on qi(氣) monism Second, within the Gihohakpa(畿湖學派), Lee-Gyujun was much closer to Horon(湖論) rather than Nanron(洛論). Third, during his days, he became well known across the peninsula through his medical fame. Last, he wrote down the unknown manufacturing technique of dried ginger[乾薑].

      • 근대 신설 약령시 연구

        권오민(Kwon Ohmin),이정화(Lee Jeonghwa),하정용(Ha Jeongyong),박상영(Park Sangyoung),안상우(Ahn Sangwoo)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and growth of Jecheon Herbal Market(JHM). JHM was established in 1928 at the Jecheon Market. Main causes of the growth of JHM is widely considered as the fact that it was located to the sources of herbal product, domestic or wild, and its convenient access in transportation aspect.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control of the import of herbal medications from abroad served for the main factor of JHM's growth. Nowadays JHM is estimated as second to Gyungdong Herbal Market in total. However, among production-oriented markets it has been ranked first.

      • KCI등재

        先代軌範師의 ‘色心互熏說’ 散考

        권오민(Kwon, Oh Min) 한국불교연구원 2014 佛敎硏究 Vol.41 No.-

        『구사론』상에서 先代軌範師(pūrvācārya) 설로 인용된 ‘色心互熏說’은 전통적으로 경량부 혹은 先代의 경량부 설로 알려지며, 최근에는 이 학설이 유가사지론에서도 확인됨에 따라 유가행파의 고유학설이라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된다. 첫째,『구사론』의 설은 色心互爲種子說로서『성업론』이나『유가론』등에서의 色心互熏說과는 구별되며, 사실상『대비바사론』의 大德說(‘有心依色而起’)에 가깝다. 둘째, 동아시아의 법상교가 역시 색심호훈설을 本經部의 학설로 평석하였지만, 이는 유부의 정설인 滅定無心說에 기초한 학설로서 비유자(『問論』의 세우)/경량부(상좌 일파)의 滅定有心說과는 상반된 것이다. 더욱이 색심호훈설이『구사론』(혹은 『유가론』)에 처음 나타난 新說이라면, 멸정유심설은『대비바사론』상에서 他宗인 비유자설로 인용 비판되고 있다. 셋째, 세친은 色心互熏說(정확히는 色心互爲種子說)을『구사론』상에서는 선대궤범사의 설로 논평 없이 인용하였지만,『성업론』과『연기경석』에서는 무기명으로 인용 비판하고 있다. 그는 滅定有心說의 취하였기 때문으로, 유가행파 역시 그러하였다. 색심호훈설은 경량부/유가행파의 心識종자설과는 무관한 것이다. 넷째, 滅定無心說에 기초하는 한 思熏習의 相續轉變差別說은 불가능함에도 세친은 이를 선대궤범사 설로 인용하여 應理(nyāyaḥ)설로 평가하였고, 중현은 “상좌의 舊隨界說과 언사만 달리한 것”, “經部宗(상좌일파)과 가까이하여 聖敎를 더럽힌 것”이라 비난하였다. 이러한 제 문제로 볼 때 선대궤범사의 ‘선대(pūrva)’는 경량부의‘선대’가 아니라『구사론』저술 당시 세친 자신의 선대궤범사로 애당초 비유자/경량부와는 별개의 계통(아마도 간다라의 아비달마논사)이었지만 세친이 上座일파의 경량부와 가까이 하여 ‘경량부 徒黨(Sautrāntika pākṣika)’으로 간주됨에 따라 역시 ‘경량부의 [선대]궤범사’, ‘선대의 경량부’(혹은 ‘本經部’)로 평석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色心互爲種子說역시 6處가 出定心의 因緣(등무간연은 前定心)이라는 유부 경설(중아함 210 법락비구니경 등)에서 유래하였을 것이지만 상좌(경량부)종자설의 영향에 따라 色心互熏說로 이해되었을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본고의 속편에서 재론할 것이다. The theory of mutual causality (anyonya-bījakaṃ) between mind(citta) and body (sendriya-kāya) quoted on Abhidharmakośaśātra as Pūrvācārya's theory, traditionally commented as Sautrāntika, pre-Sautrāntika, pūrvācārya of Sautrāntika, and recently suggested hypothesis as Yogācāra's inherent theory. However, the theory is irrelevant with Sautrāntika/Dārṣṭāntika or Yogācāra because it based on Sarvāstivādin's established theory, nirodhasamāpatti of lacking mind (acittikā) ; it's new theory appeared on Abhidharmakośaśātra for the first time ; Vasubandhu did not approved the theory ; its original is conformed in the comment of Bhadanta on Abhidharmamāhavibhāṣāśaśātra. Maybe the theory originated from Sarvāstivāda's āgamas(Madhyāgama 210, 211), claiming that the cause(hetupratyaya) of ‘awaken mind from nirodhasamāpatti' is six āyatana, and Pūrvācārya also are previous masters(maybe Gandhāra ābhidhāmikas) of Vasubandhu, Vasubandhu familiar with Sthavira Śrīlāta so that he was perceived as Sautrāntika's follower(pākṣika) and also will be commented as pre-Sautrāntika, Pūrvācārya of Sautrāntika.

      • 시변 지연이 존재하는 선형시스템의 개선된 안정성 판별법

        권오민(Oh-Min Kwon),박주현(Ju-Hyun Park),이상문(Sang-Moon Lee)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Vol.59 No.12

        In this paper, improved stability criteria for linear systems with time-varying delays are proposed. By constructing a new Lyapunov functional, novel stability criteria are established in terms of linear matrix inequalities (LMIs). Two numerical examples are carried out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KCI우수등재

        Sthitibhāgīya(順住分者)와 Śvalāṅgūlika

        권오민(Kwon, Oh-min)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아비달마디파』에서는 ‘貪·瞋·邪見=意業’ 설이 Śvalāṅgūlika(개꼬리를 가진 자)라는 이상한 이름을 별명으로 갖는 Sthitibhāgīya(順住分者)의 학설로 인용되는데, 이는 『구사론』에서 譬喩者의 설로 인용되고, 『순정리론』 상에서 ‘行蘊=思’라는 上座 슈리라타(=경량부)의 학설에서 그 이론적 근거가 확인된다. 『디파』에서의 이 두 명칭의 의미는 무엇인가? 『디파』만으로는 그 의미를 밝히기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성격의 선대문헌인 중현의 『순정리론』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有爲4相의 개별적 실재성을 부정하는 譬喩者(혹은 上座宗)는 諸行의 因果相續을 住(sthiti)로 이해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힘(功能)을 種子(비유자) 혹은 隨界(상좌)라고 하였다. 디파카라(Dīpakāra)는 아마도 상좌계통의 비유자 일파를 ‘住 즉 相續(saṃtati 혹은 pravāha)과 관계하는 이’라는 의미에서 ‘Sthitibhāgīya(順住分者)’로 이름하였을 것이다. 또한 비유자/경량부는 과거ㆍ미래는 물론이고 유부에서 설정한 다수의 法의 개별적 실재성을 부정함으로써 都無論/壞法論(『디파』에서는 Vaitulika이단자/Vaināśika절멸자) 등으로 불린 대승의 空見(空花論)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에 따라 디파카라는 개가 걸식할 때 몸은 남의 집에 들어갈지라도 꼬리만은 문밖에 두는 것이 개의 법도라는 『십송율』의 우화에 따라 ‘몸은 이미 空見(대승)에 가담하였으면서 꼬리만 佛弟子’라는 의미에서 ‘Śvalāṅgūlika(개꼬리를 가진 자)’라고 이름하였을 것이다. 곧 Sthitibhāgīya와 Śvalāṅgūlika는 그들의 종자상속론이나 대승과의 유사성에 따라 유부논사들에 의해 불려진 貶稱으로 이해된다. In Abhidhamadīpa, that ‘greed (abhidhyā) etc.=mental misconduct (mano-duścarita)’ is quoted as a Sthitibhāgīyas, whose second name is Śvalāṅgūlika’s theory. Vasubandu quoted this in the name of Dārṣṭāntika, and in Nyāyānusāra śāstra, it is confirmed as the sects of Sthavira Śrīlāta (that is Sautrāntika)’s theory. According to Sthavira, the meaning of the term Sthitibhāgīyas is ‘the one concerned with gradual succession through causal relation, so-call pravāha or santati’. And maybe Dīpakāra called Śvalāṅgūlika in the meaning of their body belongs to a destroyer of Dharma(壞法論宗) namely Mahāyāna, but their tail to Śākyapūtra Buddhism, like a fable of Dasādhyāyavinaya which illustrate a begging dog step in his body in the house, but a tail outside. Thus, if Dārṣṭāntika is the conventional name after Abhidharmamahāvibhāaṣā śāstra, and Sautrāntika is a self-styled name of a Sthavira’s sect of Dārṣṭāntika, Sthitibhāgīya and Śvalāṅgūlika is understood as abused name called by Sarvāstivādin according to their succession (santati) theory or similarity with Mahāyā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