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학습에 대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음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권슬기 ( Kwon Seulg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1

        음악적 자기효능감은 음악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도전적인 음악과제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수반하므로 학생의 음악적 동기를 발달시키는 주요한 심리변인이다. 학생의 심리변인은 환경에 의해 바뀔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모의 행동은 음악 능력 뿐 아니라, 음악에 대한 선호, 자기효능감, 가치, 흥미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음악학습관여(성취압력, 학습방식 존중)가 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라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음악학습관여가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설문과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모형을 통해 부모의 음악학습관여가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여학생 모두 부모의 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하면 음악적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남학생의 자신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남·여학생의 과제난이도 선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부모가 음악학습방식을 존중한다고 지각하면 남·여학생 모두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소 중 자기조절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가 음악학습과 관련된 선택 및 방식을 허용하고 존중한다고 지각하면 학생의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모두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한편, 부모가 성취에 대한 압력을 가한다고 지각하면 학생의 자기조절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나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신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가 학생의 음악학습에 대하여 자율적인 선택과 의견을 존중하며 독려하는 것이 자녀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지님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성취압력을 수행할 때 음악학습에 대한 성취기준을 과한 수준이 아닌,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하도록 제안하고 자신감을 독려하면서 기대와 관심을 보이는 행동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music learning involvement (i.e., achievement pressure, respecting learning styles) and their musical self-efficacy (i.e.,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Eigh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400 o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 multiple group comparison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ory efficacy. While high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in male students, had no effect on self-confidence in female students. and it had no effect on task difficulty preference. Also respecting learning styles in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should respect opinions and allow students to make their own choices related music learning for developing student’s musical self-efficacy. When providing achievement pressure to students, parents need to encourage confidence and guide to set the standards for music learning at a level possible, not an excessive level.

      • KCI등재

        Li<sub>1.5</sub>Al<sub>0.5</sub>Ti<sub>1.5</sub>(PO<sub>4</sub>)<sub>3</sub> 세라믹 고체전해질의 B<sub>2</sub>O<sub>3</sub> 첨가에 따른 미세구조 및 이온전도도에 대한 연구

        민재,한현일,슬기,구상모,신원호,Min-Jae Kwon,Hyeon Il Han,Seulgi Shin,Sang-Mo Koo,Weon Ho Sh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3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6 No.6

        Lithium-ion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and portable electronics, due to their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The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ies can be improved by using solid electrolytes, in terms of higher safety, stability, and energy density. Li<sub>1.5</sub>Al<sub>0.5</sub>Ti<sub>1.5</sub>(PO<sub>4</sub>)<sub>3</sub> (LATP) is a promising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due to its high ionic conductivity and excellent stability. However, the ionic conductivity of LATP needs to be improved for commercializing all-solid-state lithium battery syst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es and ionic conductivities of LATP by incorporating B<sub>2</sub>O<sub>3</sub> glass ceramics. The smaller grain size and narrow size distribution were obtained after the introduction of B<sub>2</sub>O<sub>3</sub> in LATP, which is attributed to the B<sub>2</sub>O<sub>3</sub> glass on grain boundaries of LATP. Moreover, higher ionic conductivity can be obtained after B<sub>2</sub>O<sub>3</sub> incorporation, where the optimal composition is 0.1 wt% B<sub>2</sub>O<sub>3</sub> incorporated LATP and the ionic conductivity reaches 8.8×10<sup>-5</sup> S/cm, more than 3 times higher value than pristine LATP. More research could be followed for having higher ionic conductivity and density by optimiz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This facile approach for establishing higher ionic conductivity in LATP solid electrolytes could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 KCI등재

        제주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고민정(Minjeong Ko),권슬기(Seulgi Kwon),김혜란(Hye-Ran Kim),변재현(Jae-Hyun Byun),김대철(Dae-Cheol Kim),최봉환(Bong-Hwa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종견인 제주개의 보존·보호를 위해 그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개 7품종 (제주개, 동경개, 독일 세퍼트, 진도개, 라브라도 레트리버, 풍산개, 삽살개)에 대해 총 139두와 microsatellite 마커 16종을 이용하여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marker에서 131개의 대립유전자 좌위를 확인하였고, 이 중 FH3381에서 18개의 가장 많은 대립유전자형이 확인되었으며 FH2834는 대립유전자형이 2개로 가장 적게 확인되었다. 또한, 마커별 기대되는 이형접합도의 전체적 평균치를 보았을 때 기대이형접합도와 관측이형접합도가 외래견보다 토종개가 높게 나타났고 PIC값은 0.000부터 0.862로 확인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 간의 계통수를 분석한 결과 삽살개와 94%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들 간의 유전적 거리를 확인한 결과 삽살개가 0.393으로 가장 가깝게 나타났고 토종개 중에서는 동경개와의 거리가 0.507로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별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주개는 레트리버, 삽살개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하였고 풍산개, 동경개, 진도개, 셰퍼트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유전적 특성 정보들은 제주개의 유전적 특성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og for preservation and protection. A total of 139 dogs from 7 dog breeds, including the Jeju dog, were genotyped using 16 microsatellite markers. The results revealed 2-18 alleles per locus, with a total of 131 alleles among the 16 markers. Most alleles were identified for FH3381, which had 18 alleles, whereas FH2834 had the fewest alleles, with just 2. When the total mean value was observed, the expected heterozygosity and observed heterozygosity were higher for than for outgroup dogs, and the PIC values ranged from 0.000 to 0.862, respectively. The phylogenetic tree analysis of the Jeju dog and other dog varieties revealed that the Jeju dog is closest to the Sapsal dog (0.393). The phylogeny between the Jeju and Korean domestic dogs showed that the Jeju dog is most distant from the Dongkyung dog (0.507). Looking at the distribution individually, the Jeju dog is in the same group as the Labrador Retriever and the Sapsal dog. Meanwhile, the Poongsan, Dongkyung, and Jindo dogs and the German Shepherd were in the same group. Genetic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og.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학생관계가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권슬기,박수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1

        음악에 대한 흥미는 학생의 음악적 동기를 발달시키는 것은 물론, 음악의 기능과 의미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음악흥미가 공고해지는 청소년기의 학생이 음악교사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는 학생의 음악흥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음악교사와의 관계(이해공감, 친밀감, 유능감)와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설문과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설문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교사-학생관계가 음악에 대한 상황적, 개인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사가 유능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의 경우 음악에 대한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감은 교사의 이해공감과 친밀감이 학생의 상황적 음악흥미와 가지는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음악교사가 유능하다는 학생의 지각이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모두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교사가 학생을 이해해주고 친밀하게 대함으로써 유발되는 음악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전문적인 음악 실력과 음악지식 전달에 대한 교수법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학생의 음악흥미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현직 음악교사와 예비음악교사는 학생을 대하는 인격 못지않게 음악적인 전문성과 음악지도능력의 계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Students’ music interest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music as well as in developing their musical motivation. Music interest is consolidated during adolescence, thus the relationship with a music teacher in school can affect the development of music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interest (i.e., situational interest, individual interest) and their perception of mus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e., sympathy, familiarity, capability). Eigh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400 o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action terms revealed that a student's perception of high capability in teachers correlated with higher individual music interest as well as situational music interest. Capabi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s of music interest with sympathy and music interest with familia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c teachers should have a specialty or expertise in music, such as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in music pedagogy. For developing students’ music interest,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musical professionalism by specializing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rough appropriately presenting their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