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악 전공 중등학생의 연주실수관리 지도를 위한 개념모형 개발

        권슬기 한국음악교육학회 2022 음악교육연구 Vol.5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악 전공 중등학생의 연주실수관리를 위한 지도에 바탕이 되는 개념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주실수관리란 기악연주 상황에서 경험한 실수에 유연하게 반응하며 실수 이후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다음 연주무대에서 동일한 실수의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관리 능력이다. 이는 무대에서의 실수를 매우 치명적으로 느끼는 기악 전공생들에게 요구되는 것으로, 교수자에게 이를 발달시킬 수 있는 지도 핵심요소와 지도원리가 구조화되어 안내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5개의 연주실수관리 구성요소(인식개선, 연주동기화, 실수명료화, 과제전략화, 관리자 기화)와 13개의 지도원리 및 48개의 하위 지도전략을 도출하였고 본 모형에서 이들의 관계를 구조화하여 명시하였다.

      • S-141 제방정맥 문맥대정맥 단락의 색전술 치료로 호전된 난치성 간성 혼수

        권슬기,남승우,윤용범,혁춘,정주원,최종경,김선재,주성택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서론: 간성혼수는 출혈, 감염, 요독증, 향정신제의 사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간경변증 환자에서 유발된다. 본 증례는 간기능이 양호한 CTP score A6~B7를 보이지만 난치성 간성혼수로 내원했던 환자였다. 혼수의 드문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제방정맥(paraumbilical vein)과 우측 장골정맥을 경유하여 하대정맥으로 유입되는 portosystemic shunt를 확인하여 중재적 영상의학 시술로 단락을 폐쇄하여 이후 간성혼수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었기에 시술 이후의 경과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4세 여자 환자가 2일 전부터 악화된 West Haven criteria grade 2의 간성혼수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유발 원인없이 최근 3개월 사이에 6차례 간성혼수가 발생하였다. 알코올성 간경변증 및 당뇨로 치료받는 환자로 최근 2년 동안 음주력은 없었다. 4년 전 담석 담낭염으로 담낭절제술을 받았고 2년전에 modified UICC stage 1, BCLC stage 0의 간세포암으로 고주파 열치료 시술 병력 외에 특이 병력은 없었다. 내원 시 검사실 소견은 INR 1.46, albumin 2.8 g/dL, bilirubin 1.9 mg/dL, ammonia 201 mcg/dL로 CTP score B7의 간기능을 보였다. 반복된 간성 혼수의 원인 확인 및 치료를 위해서 복부 CT 혈관조영술 및 제방정맥의 직접 천자에 의한 문맥조영술을 얻고 portosystemic shunt를 확인하였다. Coiling 및 Amplatzer vascular plug을 사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다음날 도플러 초음파를 통해 shunt flow가 소실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시술 6일 후 5시간 동안 혈압의 일시적 감소(수축기 65/이완기 40 mmHg)가 있었으나 생리식염수 주사 후 회복되었고 이후 상태 양호하여 퇴원하였다. 시술 3주후부터 다리 부종 및 복수가 관찰되었고 간성혼수는 재발되지 않았으나 시술 후 2개월 동안에 복수 천자를 2회를 할 정도로 복수가 증가하였다. 이후 다시 호전되어 시술 8개월 후 추적 관찰한 복부 CT 혈관조영술에서는 portosystemic shunt 관찰되지 않고 복수는 소량만 관찰되었으며 당시 검사실 소견은 INR 1.33, albumin 3.4 g/dL, bilirubin 1.8 mg/dL 등으로 간기능은 Child A 상태를 유지하며 간성 혼수 재발이 없었다. 시술 후 1년 뒤인 4개월 전에 환자를 외래에서 마지막으로 만난 후 최근 근황은 알 수 없다. 결론: 간성혼수의 드문 원인 중 하나인 portosystemic shunt를 확인하여 중재적 영상의학 시술을 통해 치료함으로써 재발하는 난치성 간성혼수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시술 1주 이내에 혈역학적인 임상 변화가 있었고 수개월 동안 복수 증가 등 다른 문맥압 항진증의 일시적인 악화가 있었으나 약물투약 등으로 호전되었다.

      • KCI등재

        교사-학생관계 및 부모의 학습관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권슬기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음악교육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음악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심리요인(음악교사-학생관계, 부모의 음악학습관여)과 개인 심리요인(음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A 중학교와 B 중학교의 1, 2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생관계, 부모의 학습관여, 음악적 자기효능감, 음악흥미의 정도를 측정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이 느끼는 교사-학생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학생의 음악흥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로 작용하여 음악흥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학습관여는 음악흥미 향상에 직접적으로는 상관이 없었지만,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음악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흥미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보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음악흥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 심리요인이 음악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요인인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흥미 향상을 위해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갑상선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권슬기,김남일,박영주 대한갑상선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14 No.2

        The gut microbiome affects the enterohepatic recycling of thyroid hormone and the metabolism and absorptionof micronutrients including iodine and selenium. Changes in thyroid function trigger changes in the neuro-muscularfunction of the gut, resulting in a two-way interaction that affects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me. In recentyears, based on animal experiments and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many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thatthe influences in naïve immune cells differentiation or increasing permeabil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endotoxins to blood due to intestinal integrity disruption may affect the progression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or thyroid cancers.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refining the progression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linkbetween the gut microbiome and the thyroid gland.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학생관계가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권슬기,박수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1

        음악에 대한 흥미는 학생의 음악적 동기를 발달시키는 것은 물론, 음악의 기능과 의미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음악흥미가 공고해지는 청소년기의 학생이 음악교사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는 학생의 음악흥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음악교사와의 관계(이해공감, 친밀감, 유능감)와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설문과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설문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교사-학생관계가 음악에 대한 상황적, 개인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사가 유능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의 경우 음악에 대한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감은 교사의 이해공감과 친밀감이 학생의 상황적 음악흥미와 가지는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음악교사가 유능하다는 학생의 지각이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모두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교사가 학생을 이해해주고 친밀하게 대함으로써 유발되는 음악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전문적인 음악 실력과 음악지식 전달에 대한 교수법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학생의 음악흥미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현직 음악교사와 예비음악교사는 학생을 대하는 인격 못지않게 음악적인 전문성과 음악지도능력의 계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Students’ music interest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music as well as in developing their musical motivation. Music interest is consolidated during adolescence, thus the relationship with a music teacher in school can affect the development of music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interest (i.e., situational interest, individual interest) and their perception of mus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e., sympathy, familiarity, capability). Eigh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400 o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action terms revealed that a student's perception of high capability in teachers correlated with higher individual music interest as well as situational music interest. Capabi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s of music interest with sympathy and music interest with familia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c teachers should have a specialty or expertise in music, such as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in music pedagogy. For developing students’ music interest,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musical professionalism by specializing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rough appropriately presenting their personality.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 지원에 대한 교사의 경험*

        권슬기,이승하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achers’ experience in supporting peer relationship of infants aged 5,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peer relationship support. To this end, eight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the children of age 5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looking into the history of relationships' consisted of 'history of conflict and prejudice' and 'the weak and the strong', explaining the teacher's experience of considering the accumulation of relationships when applying for peer relationships. Second, 'entering their own world' represented the appearance of a teacher trying to enter the world of infants to support peer relationships, such as 'invisible world', 'hiding children', and 'detective teacher'. Third, 'the guilt of feeling as a failed teacher' explained the experience of feeling limited as a teacher by supporting peer relationships such as 'what cannot be taught', 'the truth learned late', 'vague decisions', and 'mechanical intervention'. Fourth, 'finding uncompromising differences' consisted of 'range of gaze' and 'parent who does not listen' explained the teacher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with parents. These teacher experience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nditions that must be preceded to support peer relationships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지원하는 교사의 경험을 통해 또래관계 지원에 대한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 5세 학급의 담임교사 8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경험은 4가지의 상위 범주와 11가지의 하위 범주로 귀결되었다. 첫째, ‘관계의 역사 들여다보기’는 ‘갈등과편견의 역사’, ‘약자와 강자’로 구성되어 또래관계 지원 시 관계의 누적을 고려하는 교사의 경험을 설명하였다. 둘째, ‘그들만의 세상에 들어가기’는 ‘보이지 않는 세계’, ‘숨기는 아이들’, ‘탐정이 된 교사’와 같이 또래관계 지원을 위해 유아들만의 세상 속으로 들어가려는 교사의 경험을 대변하였다. 셋째, ‘실패한 교사라고 느끼는 자책감’은 ‘가르칠 수 없는 것’, ‘뒤늦게 알게 된진실’, ‘모호한 결정’, ‘기계적 개입’과 같이 또래관계를 지원하며 교사로서 한계를 느낀 경험을설명하였다. 넷째, ‘좁혀지지 않는 차이 발견’은 ‘시선의 범위’, ‘듣지 않는 부모’로 구성되어 학부모와의 차이를 경험하는 교사의 모습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또래관계 지원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과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함의점을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